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본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본류'''(本流)는 이나 내의 물이 흘러 내려가는 원줄기이다. ==개요== * '''본류'''는 강이나 하천의 물이 흘러 내려가는 원줄기로 강...)
 
잔글 (같이 보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 한강의 본류는 강원도 태백시 금대산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북부와 경기도 남부를 흘러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 팔당댐과 서울시를 거쳐 경기도 파주군에서 다시 임진강과 합류한 뒤 강화만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한강 본류의 발원지에 관해서는 오대산 우통수(于筒水)라는 기록도 있으나,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지형도에서 계측한 결과,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산의 북쪽 계곡에 위치한 검룡소가 우통수보다 27㎞ 상류임이 확인되어 한강의 발원지로 공인되었다.
 
* 한강의 본류는 강원도 태백시 금대산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북부와 경기도 남부를 흘러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 팔당댐과 서울시를 거쳐 경기도 파주군에서 다시 임진강과 합류한 뒤 강화만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한강 본류의 발원지에 관해서는 오대산 우통수(于筒水)라는 기록도 있으나,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지형도에서 계측한 결과,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산의 북쪽 계곡에 위치한 검룡소가 우통수보다 27㎞ 상류임이 확인되어 한강의 발원지로 공인되었다.
  
==덕풍천[德豊川]==   
+
==덕풍천(德豊川)==   
 
*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아래에서 발원하여 한강 본류로 흘러드는 준용하천이다.
 
*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아래에서 발원하여 한강 본류로 흘러드는 준용하천이다.
* 한강의 제1지류로, 유로연장 8.5㎞, 유역면적 19.5㎢이다.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아래에서 발원하여 상사창동·항동·하사창동·춘궁동을 경유하고 교산동·덕풍동·신장동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든다. 중상류 쪽에는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고, 시 중심가를 흐르는 중류에는 주거지 및 상가가 발달되었으며, 한강으로 이어지는 하류 쪽에는 양쪽으로 논이 형성되어 있다.
+
* 한강의 제1지류로, 유로연장 8.5㎞, 유역면적 19.5㎢이다.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아래에서 발원하여 상사창동·항동·하사창동·춘궁동을 경유하고 교산동·덕풍동·신장동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든다. 중상류 쪽에는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고, 시 중심가를 흐르는 중류에는 주거지 및 상가가 발달되었으며, 한강으로 이어지는 하류 쪽에는 양쪽으로 논이 형성되어 있다.
  
 
==관련 기사==             
 
==관련 기사==             
64번째 줄: 64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원류]]
 +
* [[지류]]
 +
* [[강 (자연)|강]]
 
* [[늪]]
 
* [[늪]]
 
* [[댐]]
 
* [[댐]]
77번째 줄: 80번째 줄:
 
* [[지하수]]
 
* [[지하수]]
  
{{한국지리|검토 필요}}
+
{{지형|검토 필요}}

2022년 12월 31일 (토) 16:43 기준 최신판

본류(本流)는 이나 내의 물이 흘러 내려가는 원줄기이다.

개요[편집]

  • 본류는 강이나 하천의 물이 흘러 내려가는 원줄기로 강의 주류(主流)이다. 본류의 반대말은 지류(支流)인데, 이는 다른 강이나 개울에 합류하면서도 바다로 직접적으로 흐르지 않는 물줄기를 가린다. 위와 같은 지류의 정의 때문에 바다로 흘러 들어가지 않는 모든 강과 하천은 지류로 볼 수 있어 본류의 상류인 평강천과 같은 하천은 본류이자 지류라고 할 수 있다.[1]
  • 본류는 강의 주류이며 본줄기이다. 강이나 하천 중에서 유출된 물이 하천을 따라 모일 때 가장 하류에 해당하는 1계통의 하천을 말한다. 한 개의 수계에서 유출량, 유로의 연장, 유역면적 등 수문학적인 양에 대하여 가장 중요한 1계통의 하천이다.

하계(river system,河系)[편집]

  • 본류와 이에 주입하는 모든 지류를 합한 강의 한 계통으로 수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하계는 발달은 크게 확장기와 복합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계의 발달은 대체로 일정한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크게 보아 2개의 시기, 즉 확장기와 복합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확장기는 다시 몇 개의 시기로 세분된다. 비교적 평탄한 지표가 새로운 하계로 발달하는 시기인 확장기의 시초, 즉 하계 발달의 개시기에는 지표의 작은 기복으로 인하여 단편적인 흐름이 있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흐름이 계속되는 신장기(伸張期)에는, 두부 침식에 의한 신장이 이루어져서 하계의 골조(骨組)가 형성된다.
  • 다음에 이어지는 조탁기(彫琢期)에는 분기된 지류에 다시 지류가 생긴다. 그 후 지표가 고르게 하계에 덮이고, 하천밀도(河川密度)가 최대로 되는 만(滿)확장기에 이른다. 그 후는 복합기에 드는데, 소하류들이 본류의 침식에 의해 흡수되어 하천 밀도가 감소된다. 복합기는 하류가 감수(減數)되는 시기이다.
  • 하계의 일부 또는 전체가 모여서 그리는 모양을 하계 모양이라 하는데, 7개가량의 기본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각 하계 및 하류의 각 부분이 부정한 방향으로 흐르며, 전체로는 나뭇가지 모양을 이루는 것이 수지상(樹枝狀)이다. 본류 및 주요 지류는 수지상을 이루고, 이에 흘러드는 소지류는 평행하게 흐른다. 평행상(平行狀)은 상당한 거리에 걸쳐서 본지류가 거의 평행하여 흐르는 것으로 해안 평야와 같이 경사가 고른 토지에 나타난다. 격자상(格子狀):거의 평행하는 본류와 지류가 그들과 직교(直交)하는 짧은 유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적종적(適從的)인 하계이다.
  • 방사상(放射狀)은 원추형 또는 타원형의 화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바깥쪽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필종하천(必從河川)을 이루는 형식이다. 단순한 모양의 분지화산의 내부에 발달하는 구심상(求心狀) 하계도 있다. 환상(環狀)은 본류의 일부 및 다른 지류가 환상으로 배열되는 하계로, 아치구조[穹窿構造] 또는 분지구조(盆地構造)에 적종적으로 발달한다. 난망상(亂網狀)은 많은 곡류 유로가 불규칙적인 그물코[網目]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극히 평탄한 삼각주나 습지를 흐르는 큰 강 등에 나타난다. 불규칙 및 복합의 형태도 있다. 불규칙하계는 이상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불규칙적인 형태이며, 복합하계는 위의 여러 형태 중 몇 가지가 복합된 것이다.

수문(floodgate,水門)[편집]

  • 유량(流量) 조절 또는 수심(水深) 유지를 위하여 수로(水路)에 설치하는 문으로 수문에는 개폐용 문짝이 달려 있다. 하천의 본류에서는 홍수를 방수로에 분류(分流)시키는 지점에, 지류에서는 본천홍수(本川洪水)의 역류를 방지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된다. 해안의 고조방지제(高潮防止堤)에서는 수로와의 합류지점에 수문이 필요하다.
  • 개폐문에는 슬루스게이트 또는 롤러게이트 등의 인상방식(引上方式)이 사용된다. 운하의 갑문(閘門)은 상류와 하류의 2개의 수문으로 칸막이를 하고 그 안에 배를 끌어들여 승강시키는 구조이다. 수문의 문짝은 배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좌우로 열리는 쌍바라지 방식이 사용된다.

하계망(drainage network , channel network,河系網)[편집]

  • 하천의 본류와 지류가 형성하는 전체적인 짜임새를 가리킨다. 빗방울이 지표면에 떨어져 하천으로 유입된 뒤 바다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하천은 하나의 물줄기가 아닌 여러 개의 지류와 본류가 합쳐져 흐르는 것으로, 이러한 하천의 전체적인 짜임새를 하계망이라고 한다. 하계망은 하천의 상류일수록 지류가 많아 복잡하며 하류일수록 본류를 형성하게 되어 단순해진다.
  • 하계망은 유역 분지의 지형, 지질, 기후, 식생 등의 영향을 반영하여 발달한다. 예를 들어 사암과 같은 경암(硬岩)으로 이루어진 지역은 유로가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밀도가 낮은 하계망이 발달하게 된다. 또한 하계망은 모양에 따라 수지상, 격자상, 직교상, 평행상, 방사상, 환상, 구심상, 난맥상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 수지상(樹枝狀)은 본류와 지류가 전체적으로 나뭇가지의 형태로, 발달한 하계망으로 대부분의 하천이 여기에 속한다.
  • 하계망을 구성하는 하천은 구간별로 차수를 매길 수 있다. 최상류의 하천을 1차수 하천이라고 하고, 두 개의 1차수 하천이 만나면 2차수 하천, 다시 두 개의 2차수 하천이 만나면 3차수 하천이 된다. 하계망에서 가장 차수가 높은 하천은 본류이며 하천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하천의 수는 급격하게 줄어든다. 그리고 하천의 길이에 서도 하천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하천의 평균 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각 차수의 하천이 포함된 유역 분지는 하천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면적이 넓어진다.

한강의 본류 남한강(南漢江)[편집]

남한강
  • 한강의 본류이다.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산의 검룡소(儉龍沼)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동북부와 경기도 남부를 흘러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한다.
  • 남한강은 오늘날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하천 명칭은 아니다. 《한국하천일람》에 따르면, 강원도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와 경기도를 흐르는 한강은 달천·섬강·청미천·복하천·북한강·소양강·임진강·안성천을 비롯한 19개의 지류가 있다. 북한강이 한강의 지류로 명시되어 있는 반면에 남한강이라는 명칭은 찾아볼 수 없다.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한강의 본류와 합쳐지는데, 이 합류점 이남의 한강을 북한강에 견주어 편의상 남한강이라 부르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강의 본류는 강원도 태백시 금대산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북부와 경기도 남부를 흘러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 팔당댐과 서울시를 거쳐 경기도 파주군에서 다시 임진강과 합류한 뒤 강화만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한강 본류의 발원지에 관해서는 오대산 우통수(于筒水)라는 기록도 있으나,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지형도에서 계측한 결과,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산의 북쪽 계곡에 위치한 검룡소가 우통수보다 27㎞ 상류임이 확인되어 한강의 발원지로 공인되었다.

덕풍천(德豊川)[편집]

  •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아래에서 발원하여 한강 본류로 흘러드는 준용하천이다.
  • 한강의 제1지류로, 유로연장 8.5㎞, 유역면적 19.5㎢이다.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아래에서 발원하여 상사창동·항동·하사창동·춘궁동을 경유하고 교산동·덕풍동·신장동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든다. 중상류 쪽에는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고, 시 중심가를 흐르는 중류에는 주거지 및 상가가 발달되었으며, 한강으로 이어지는 하류 쪽에는 양쪽으로 논이 형성되어 있다.

관련 기사[편집]

  • 한강유역환경청은 내년부터 국가수질자동측정망과 연계한 소규모 수질감시망 20곳을 구축, 본격 가동한다. 2022년 12월 12일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그 동간 한강수계에는 1995년 국가수질자동측정망이 최초 설치된 후 국가수질자동측정망 22곳을 한강본류에 설치·운영 중이다. 하지만 본류에 많은 지류가 존재해 수질오염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따라 소규모 수질감시망을 산업단지 등 오염 취약지역 인근 지류에 설치해 수질오염원을 보다 근접 감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동 조치와 원인 규명을 통해 수질오염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소규모 수질감시망은 동두천산업단지 인근 신천을 비롯해 부천 오정일반산업단지 인근 굴포천, 안성 금산산업단지 인근 청미천 등 산업단지 인근 지류 등 20곳을 선정, 내년 상반기에 설치해 하반기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측정망은 수온과 DO, pH, 전기전도도, 탁도 등 일반항목과 TOC, 암모니아성 질소(NH3-N)등이다. 질산성 질소(NO3-N), 유류 등을 각 측정소별 선택항목으로 실시간 측정한다.[2]
  • '동진강명칭복원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2022년 12월 28일 세종시와 충북을 거쳐 금강 본류로 합류하는 국가하천 '미호강'의 명칭이 '일제 잔재'라고 주장하며 '동진강'으로 변경할 것을 촉구했다. 세종시와 충북 청주시 기관·단체장으로 구성된 추진위는 이날 세종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국여지승람·대동지지·대한지지 등 각종 지리지와 대동여지도, 1872년 연기현 지도 등에 동진강으로 기록돼 있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일제가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와 항일정신을 꺾기 위해 1914년 동진강 명칭을 미호천으로 격하 변경한 것으로, 민족정기 회복 차원에서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호강은 충북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에서 발원해 충북 서남부와 세종시 동쪽을 거쳐 금강 본류로 합류하는 90㎞ 길이의 국가하천이다. 환경부는 2022년 7월 1일 충북도 건의에 따라 미호천에서 미호강으로 이름을 변경한 바 있다. 추진위는 2022년 12월 20일 청주에 있는 운초문화재단 사무실에서 미호강의 원래 이름이 동진강이라는 사실을 학술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위한 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다.[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본류〉, 《위키백과》
  2. 강영호 기자, 〈한강유역환경청 한강지류 소규모 수질감시망 20곳 구축〉, 《경기일보》, 2022-12-12
  3. 김다소미 기자, 〈"미호강 이름은 '일제 잔재', 동진강으로 바꿔야"〉, 《디트뉴스》, 2022-11-2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본류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