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길
바닷길은 배를 타고 바다를 통해 가는 길을 가리킨다.
개요
- 바닷길은 바다 한가운데 길이 생기는 현상은 해당 구간의 조수간만(潮水干滿)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바닷물이 낮아지는 썰물 때 바다 아래 모래언덕이 발달한 곳이 수면 위로 드러나는 원리다.
진도의 바닷길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 의신면 일원 해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나타나는 지형이다. 진도의 바닷길은 2000년 3월 14일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지정구역은 3,826,374㎡이며 보호구역은 28,318㎡이다. 진도의 바닷길은 조수간만의 차이로 수심이 낮아질 때 고군면 회동리와 의신면 모도리 사이에 길이 2.8㎞, 폭 10∼40m의 바닷길이 드러나는 현상이다. 1975년에 주한 프랑스 대사인 피에르 랑디(Pierre Landy)가 진돗개의 상태를 보러 왔다가 이를 보고 '한국판 모세의 기적'이라고 프랑스 신문에 소개한 뒤 세계적인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신비의 바닷길'이라고도 불린다. 진도의 바닷길은 지형적 요인과 함께 달과 태양의 위치가 1년 중 지구에 가장 강한 인력을 미칠 때, 모래나 자갈 등이 쌓여서 이루어진 모래톱(사주)이 물 밖으로 드러나면서 인근의 섬과 연결되는 지형이다.
-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 육지와 모도(茅島) 사이를 잇는 길이 나타나는데, 바다가 갈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해류의 영향으로 발달한 바다 밑의 모래층은 바닷물이 빠질 때는 차가 다닐 수 있을 만큼 단단하다. 우리나라에서 바다 갈림 현상을 볼 수 있는 곳은 충청남도 보령시 무창포를 비롯해 약 20여 곳이 있는데, 그중 진도의 바닷길이 규모가 가장 크다. 매년 4월 말과 5월 말 각각 하루 약 1∼2시간에 걸쳐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국내외의 많은 관광객이 모이며 진도군에서는 때를 맞추어 영등제라고 하는 지역축제를 개최한다. 영등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뽕할머니와 용왕에게 어업과 농사의 풍년을 비는 행사이다.[1]
진주 바닷길에서의 축제
- '현대판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진도 '신비의 바닷길'이 열리는 시기이다. 관광객 중 일부는 붉은색 장화를 신고 아직 바닷물이 남아있는 바닷길로 들어가 해산물을 잡기도 했다. 진도 앞바다에서는 관광객 1,000여 명이 직접 바닷길을 걷는 체험을 했다. 2023년 신비의 바닷길은 진도 본섬 쪽보다 맞은편 섬인 모도 쪽 바닷길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중단됐던 '신비의 바닷길 축제'가 4년 만에 재개됐다. 신비의 바닷길은 진도 본섬인 고군면 회동과 의신면 모도 사이의 바다에 길이 생기는 현상이다. 바다 가운데 폭 30~40m 규모로 2.8㎞가량 길이 드러나는 광경이 장관을 이룬다. 바닷길이 열리는 동안 육지에서는 가수들의 공연과 민속놀이 등이 열려 분위기를 띄운다. 바닷길 축제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행사로도 알려져 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까지 10년간 축제장을 찾은 500여만 명 중 56만여 명(11.2%)이 외국인이다. 진도는 경기도 화성시(제부도)와 충남 보령시(무창포) 등 바다 갈림 현상이 나타나는 전국 20곳 중 바닷길의 규모가 가장 크다.[2]
실크로드 바닷길
- 중국의 남동해안에서 시작하여 동중국해·인도양·페르시아만(灣) 또는 홍해를 거쳐 중동 여러 나라에 이르는 바닷길이다. 이 바닷길에 의하여 비단·도자기 등의 중국 물자가 서남아시아로, 유리·향신료 등의 서남아시아 물자가 중국으로 운반되었다. 동진(東晉)의 법현(法顯)과 당(唐)나라의 의정(義淨) 등은 인도에서 돌아올 때 이 바닷길을 오가는 남해선(南海船)에 편승하였다. 송(宋)·원(元)나라 때에는 대형화된 중국선이 인도 남부의 퀼론 이동(以東)의 대양을 항해하였고, 퀼론 이서(以西)는 흘수(吃水)가 비교적 얕은 페르시아·아랍선의 활동 해역이 되었다. 13세기의 페르시아 시인 사디의 저서에는 페르시아에서 중국으로 황, 중국에서 비잔틴으로 자기, 비잔틴에서 인도로 비단, 인도에서 시리아로 강철, 시리아에서 예멘으로 유리, 예멘에서 페르시아로 무늬옷감을 실어 나른다고 내용이 실려 있다. 15세기에 쓴 이븐 마지드의 저술을 보면, 페르시아만의 호르무즈섬에서 출발하여 인도를 경유, 중국에 이르는 바닷길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북 인도의 신드에 도착하여 인도 서해안을 남하, 실론섬(지금의 스리랑카)의 남단을 우회, 미얀마의 마르타반만에 기항(寄港)하였다가 말레이반도의 서해안을 남하하여 남해무역(南海貿易)의 중심지인 말라카에 닿는다. 이어 싱가포르에 들렀다가 말레이반도 동해안에 있는 파타니, 성클라를 거쳐 타이의 수도 아유타야에 이른다. 인도차이나의 캄보디아와 참파를 거쳐 중국의 광저우(廣州)·취안저우(泉州)에 닿는다.
- 남중국에서 동남아시아와 믈라카 해협을 거쳐 인도양과 페르시아 만까지 이르는 해상 교역로를 이름한 것이다. 계절풍을 이용한 항해술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이 바닷길(바다 실크로드)이 본격적인 교역로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남중국에서 동남아시아와 믈라카 해협을 거쳐서 인도양과 페르시아만까지 이르는 해상 교역로이다. 이 길을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다양한 문화들이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부터 이 길을 이용하던 인도인에 의해 불교와 힌두교 문화가 전파되면서 인도 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이후에는 이슬람 세력이 성장하면서 이슬람 상인들에 의해 이슬람교가 전파되기도 하였다. 송대부터는 중국인들의 동남아시아 진출이 확대되면서 중국 문화도 이곳에 전해지게 되었다. 명나라 시기에는 정화(鄭和)가 대선단을 이끌고 이 바닷길을 통해 아프리카까지 진출하기도 하였으며, 신항로가 개척된 이후에는 유럽인들이 이 바닷길을 장악하면서 아시아 침략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보령시 바닷길
- 신비의 바닷길로 유명한 무창포해수욕장은 주변 섬들과 어우러진 낙조가 매우 아름다운 곳이다. 해수욕장 주변에 무창포항 수산시장·무창포타워·닭벼슬섬 인도교 등 가볼 만한 곳이 가득하다. 바다와 울창한 숲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둘레길은 명소가 됐다. 오봉산해수욕장은 고운 규사질의 백사장과 해안선을 따라 푸른 소나무가 13만㎢ 넓이로 자생하는 청정 해수욕장이다. 섬의 남쪽 해안에 형성돼 서해에서도 남해안의 해수욕장과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보령해저터널 개통으로 핫플레이스로 떠오르면서 필수 관광 코스가 됐다. '바다에 홀로 있는 산'이라고 해 이름이 지어진 독산해변은 홀뫼해변이라고도 불린다. 독대섬 양옆으로 갯벌과 금빛 모래사장이 갈매기 날개처럼 좌우로 펼쳐져 있는 천혜의 비경을 자랑한다. 갯벌에는 조개·맛살·골뱅이 등이 많아 생태체험장으로도 손색이 없다. 잔잔한 바다를 붉게 물들이며 사라지는 낙조가 장관을 연출한다. 보령 냉풍욕장은 땅속의 찬 공기가 더운 공기 쪽으로 밀고 나오면서 바람이 발생하는 대류현상으로 외부온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세게 분출한다. 이런 원리로 기온이 연중 섭씨 10~15도를 유지해 불볕더위가 지속 될 경우 밖의 온도와 10도에서 20도까지 차이가 난다.
탄도 바닷길
- 탄도는 대부도 본섬과 선감도, 불도에 이어 네 번째 큰 섬으로 1.2km 떨어진 곳에 누에섬이라는 작은 무인도를 거느리고 있다. 탄도와 누에섬 사이에는 하루 두 번 썰물 때 4시간씩 갯벌이 드러나기 때문에 도보로 갯벌을 탐험할 수 있다. 이때 바다가 갈라지면서 잠시 생기는 길을 '탄도바닷길'이라고 부른다. 성경에서 모세가 바닷길을 연 일과 비슷하다고 해서 흔히 '탄도바닷길 모세의 기적'이라고 일컫곤 한다. 탄도 바닷길은 대부해솔길 6코스의 끝에서부터 시작된다. 탄도에서 연결된 진입로를 따라 10여 분쯤 걸어가면 바다 한가운데 우뚝 솟은 등대 전망대와 풍력발전기를 볼 수 있다. 탄도 바닷길 일대에 일몰이 내리면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내기 때문에 안산 9경 가운데 하나로 꼽힌 곳이다.
증도 바닷길
- 해남군 송지면 대죽리 마을 앞에는 죽도(대섬)와 증도(시루섬)의 두 개의 섬에 바닷길이 열린다. 두 섬은 간조(썰물) 때에 노루목 ~ 죽도 간 1,2km의 연륙되는 육계도(신비의 바닷길)이 열린다. 죽도는 사리 때만 바닷길이 열리지만 증도는 간조 때마다 바닷길이 열려 사람들은 이런 현상을 보면 모세의 기적 같다고 한다. 이곳은 하루에 두번 바닷길이 열리는 썰물 때 여름에는 조개잡이 체험장이 운영되며 가족들과 함께 체험 장소로도 인기를가 높은 곳이다. 특히 이곳은 일몰이 아름다워 섬과 섬 사이로 지는 일몰 사진 찍기 좋은 명소로도 각광받고 있다.
동영상
각주
- ↑ 〈진도의 바닷길 (珍島의 바닷길)〉, 《ㅎ나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최경호 기자, 〈4년만에 마음도 '뻥'…세계 놀란 '모세의 기적' 1시간 바닷길〉, 《중앙일보》, 2023-04-22
참고자료
- 〈바다〉, 《위키백과》
- 〈진도의 바닷길 (珍島의 바닷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종익 기자, 〈신비한 바닷길 보령… 머드보다 진한 매력 흠뻑〉, 《서울신문》, 2023-07-27
- 최경호 기자, 〈4년만에 마음도 '뻥'…세계 놀란 '모세의 기적' 1시간 바닷길〉, 《중앙일보》, 2023-04-22
- 프림커피, 〈대천 가볼만한곳 서해바다 무창포해수욕장 신비의 바닷길〉, 《네이버블로그》, 2021-12-01
- 이수영 기자, 〈신비의 바닷길이란, 진도 바다 한 가운데에 길이?〉, 《매일경제》, 2015-03-23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