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에스커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스웨덴 풀루피엘레트 국립공원(Fulufjället)의 에스커

에스커(영어 : esker)는 빙하가 흐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둑 모양의 언덕이다. 높이는 20~30m, 길이는 수십 km이며 빙하 속의 갈라진 틈으로부터 흘러든 이 하상(河床)에 모래, 자갈 따위를 퇴적시켜 생긴다.[1]

내용

빙퇴적지형

에스커는 빙하의 말단 부근에서 빙하 아래의 융빙수를 따라 퇴적된 긴 언덕이다. 빙하가 아니라 유수가 퇴적시키는 지형이므로 분급(分級)이 양호하며, 유수의 흐름에 따라 구불구불한 모양으로 생겨나기도 한다.

거대한 빙하의 밑으로는 얼음이 녹은 물이 흐르며 하천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러한 하천은 빙하 밑으로 얼음터널을 뚫고 흐르게 된다. 이러한 융빙수에 의한 하천은 일반 하천과 마찬가지로 지표면을 흐르는 과정에서 토사를 침식하고 운반하며 퇴적시키는데, 이로 인해 얼음터널을 따라 하천이 운반ㆍ퇴적한 퇴적물이 길게 쌓이게 된다. 이후 기온상승 등으로 빙하가 후퇴하여 사라지면, 지표면에는 빙하 밑을 흐르던 하천의 퇴적작용에 의해 생긴 제방(bank) 모양의 지형이 남게 되는데, 이를 에스커라 한다. 이는 능선을 뜻하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하였다.

즉, 에스커는 빙하 밑 융빙수 하천의 바닥, 하상(河床)의 위치에 해당하며, 일반 하천의 하상과 달리 하천의 위가 빙하로 덮여있었기 때문에 터널 모양의 단면으로 나타난다. 보통 높이 5∼50m, 너비 10∼200m에 이르는 경우가 많으며 길이는 수백 m에서 길게는 수백 k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모양은 직선, 곡선 등 다양하고, 하천의 유로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곡류하천 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단면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측면은 경사가 급하고 정상부는 평평한 편이며, 하류측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아일랜드, 스웨덴 등 북부 유럽과 캐나다 등 과거 대륙빙하로 덮였던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에스커의 또 하나의 특징은 다른 빙하퇴적지형이 분급(分級)이 불량한데 반해, 하천 작용에 의한 퇴적작용을 받은 에스커의 퇴적물질은 분급이 양호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모래와 자갈 등이 입도에 따라 집중적으로 나타나므로 지역에 따라서는 이 에스커의 퇴적물을 건설공사 등의 골재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면 에스커는 사라지고 지면은 평평해진다.

빙하지형

빙하

빙하

빙하(氷河)는 수년간 떨어진 눈의 덩어리가 쌓여 육지의 일부를 덮는 두꺼운 얼음층이다.

빙하는 지구의 특정 지방에서 눈이 녹지 않고 쌓여서 오랜 시간에 걸쳐 단단한 얼음층을 형성한 것이며 이것이 중력에 의해 마치 강처럼 흐르는 현상 및 그런 현상이 관측되는 얼음 지형 자체를 뜻한다. 사람들이 흔히 말할 때는, 높은 산지에 있는 만년설도 빙하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강설량이 융설량보다 많은 지역에서 차츰 얼음 층이 누적되는 것이다. 융설수가 빙정의 쐐기작용을 통해 설식와지를 형성하면 그곳에 만년설이 집적되면서 발달한다. 눈 사이의 빈 공간은 재빨리 메워지며 눈송이 결정은 모두 으스러지고 새롭게 결정을 이루게 된다. 마침내는 밀리미터 내지는 센티미터 단위의 얼음 결정으로 구성된 단단하고 치밀한 얼음층이 된다. 그 속에 갇혀 있던 많은 공기 방울은 압착되거나 빠져나가게 되므로, 얼음층은 빛을 상당히 투과시킬 수 있다. 바닷물이 파랗듯이 이 두껍고 큰 얼음 역시 파랗게 보이며, 이를 블루-아이스(Blue-ice)라고 한다. 바닷물처럼 새파랗고 거무튀튀하게 되는 건 아니고 밝고 화사한 하늘색에 가까운데, 그 청명한 색이 보통 아름다운 게 아니다. 빙하는 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동안 지면을 깎아 암설을 운반한다. 이렇게 운반되는 암설들은 빙하의 말단부 및 측부에 퇴적되게 되는데 이들을 모두 빙퇴석이라고 한다. 빙하의 침식력이 워낙 강해서, 집채만한 바위부터 모래나 점토까지 모두 운반하여 퇴적시키는 양상을 보인다.[2]

빙하는 천천히 움직이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로, 중력과 높은 압력으로 천천히 흘러내린 눈으로부터 형성된 것을 말한다. 빙하의 얼음은 지구에서 가장 큰 민물을 담고 있는 영역이며 지구상의 모든 물에서 가장 크다고 하는 바다 다음으로 크다. 빙하는 넓은 영역의 극권을 덮고 있지만 열대 지방에서는 가장 높은 산에만 한정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빙하는 융해와 동결을 되풀이하며 주로 네베라 불리는 눈을 이루고 있다. 이 눈은 일상적인 눈으로 취급한다. 이 빙하의 얼음은 얼음과 설층 아래에서 압력을 받아 융해하여 얼음 알갱이로 바뀐다. 이 알갱이 층은 일정한 세월이 흐르면 한층 더 압축되어 빙하의 얼음(glacial ice)이 된다. 게다가 눈의 온도에 변화가 있으면 수 시간에 걸쳐 각 표면에 울퉁불퉁한 결정으로 성질이 바뀌기 시작한다.[3]

빙하지형

빙하지형(氷河地形)은 빙하의 생성과 이동에 따른 각종 침식 및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지형이다.

빙하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상 변화에 따라 생성, 이동, 소멸하기도 하는데, 중력에 의해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하천처럼 침식, 운반, 퇴적작용을 일으킨다. 그러나 하천에 비하여 그 무게나 규모가 매우 커서 침투력이나 하각력(下刻力) 및 측방침식력이 훨씬 강하고, 유체인 하천에 비해 고체인 빙하는 이동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침식 및 퇴적작용의 특성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하천의 작용에서는 볼 수 없는 특수한 지형들을 형성하는데, 크게 빙하의 침식에 의한 빙식지형(氷蝕地形)과 퇴적에 의한 빙퇴적지형(氷堆積地形)으로 구분된다.

빙하지형은 남극대륙·그린란드를 비롯해서 중부유럽 이북 및 미국 북부로부터 캐나다·알래스카에 걸친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안데스·로키·히말라야·알프스 등 고도가 높은 산맥에서 발달한다. 현재에는 빙하가 없는 곳들에도 빙하지형이 존재하는데, 이는 과거 지금보다 기온이 낮았던 빙기(氷期)에 형성된 것들이다. 한반도 관북지방 함경산맥 관모봉에 남아있는 제4기 빙기의 빙하에 의해 형성된 권곡들과 백두산 주변의 U자곡 등이 그러한 예이다.

빙식지형
빙하에 의한 지표면의 변화

빙하는 충분한 압력을 가지고 있을 때는 소성(塑性)이 있어 매우 완만하게 이동한다. 이동할 때 거대한 무게로 인한 강한 침식력을 발휘하여 골짜기의 경우 측면과 바닥을 깎아 여러 가지 모양의 빙식지형을 형성한다. 빙식을 받은 산지는 다른 산지에 비해 일반적으로 기복이 크며, 알프스와 히말라야 산맥의 많은 산봉우리처럼 날카롭고 뾰족한 모양의 산정(山頂)을 형성하곤 한다. 골짜기가 시작되는 산정 부근에는 반원상의 거대한 와지(窪地)가 형성되곤 하는데, 이를 권곡(圈谷, Kar)이라 한다. 또 권곡과 권곡이 접하는 산 정상부에는 호른(Horn)이라는 뾰족한 봉우리가 형성된다.

산악의 골짜기에 형성된 곡빙하(谷氷河)가 이동할 때에는 하천의 침식으로 생기는 V자곡과는 달리 내부가 둥근 곡선면을 이루며 넓게 트인 U자곡이 형성된다. 또 U자곡이 해안으로 이어져 바닷물이 들어서면 노르웨이, 뉴질랜드, 칠레 남부, 미국 알래스카의 해안에서 볼 수 있는 피오르(fjord) 해안을 형성하기도 한다.

빙하가 침식한 와지에 물이 고여 호수가 되면, 북아메리카의 오대호나 북유럽의 많은 호수와 같은 빙하호(氷河湖)를 형성하며, 그밖에 대륙빙하의 침식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지형으로 빙식평야, 누나탁(nunatak) 등을 들 수 있다.

빙식을 받은 암석의 표면에는 빙하가 이동하면서 남긴 자국인 찰흔이 남으며, U자곡의 바닥에서는 정상부가 둥글게 깎인 기반암의 돌기들이 널리 나타나는데, 양의 등과 비슷하게 보여 양배암(羊背岩)이라고 불린다.

빙퇴적지형

빙하는 성장, 이동 후 어느 지점에서는 소멸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빙하가 운반한 퇴적물을 퇴석(堆石:moraine) 또는 빙퇴석이라고 한다. 빙하에 의해서 운반된 퇴석은 빙하가 녹아 없어지게 되면 다양한 퇴적지형을 형성하며, 퇴석은 미세한 돌가루부터 커다란 암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물질로 구성된다.

퇴석은 빙하가 운반한 위치에 따라 저퇴석, 측퇴석, 중앙퇴석, 종퇴석 등으로 분류하며, 이러한 퇴석은 하천에 의한 퇴적물과 달리 분급(分級)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퇴석 중에는 집채보다 큰 거대한 바위도 있는데, 빙하에 의해 이런 바위가 상당히 먼 곳까지 운반되어 나타나는 것을 표석(漂石)이라 한다. 표석은 빙하의 기원과 이동방향을 알려주는 주요한 단서가 된다.

이밖에 빙퇴구(氷堆丘:drumlin)나 에스커(esker) 등의 빙하지형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지형들을 비롯하여 불규칙적인 퇴석에 의하여 여러 모양의 퇴적지형을 형성하기도 한다.[4]

동영상

각주

  1. 에스커〉, 《네이버국어사전》
  2. 빙하〉, 《나무위키》
  3. 빙하〉, 《위키백과》
  4. 빙하지역〉, 《네이버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에스커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