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란(明卵)은 명태의 알이다. 명태의 알인 명란은 17세기 《승정원일기》 '선장(膳狀) 대로 대구알젓을 봉진(封進)하지 않고 명란젓을 봉진(封進)한 일에 대해 강원도(江原道)에서 조사하여 해당 봉관(封官)을 종중추고(從重推考)할 것을 청하는 사옹원(司饔院) 도제조(都提調)의 계'에 언급되었다. 명란은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알탕에 이용되며 명란젓을 담가 먹는다.[1]
명란젓[편집]
명란젓은 명태의 알인 명란을 소금에 절여 담근 젓이다. 막이 터지지 않은 채로 담그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반찬이나 술안주로 먹는다. 명란젓은 함경도 신포와 서호의 것이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부산에서 많이 생산한다. 한국 음식인 명란젓이 일본과 러시아에도 전해져, 각각 '멘타이코'(일본어: 明太子)와 '이크라 민타야'(러시아어: икра минтая) 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명란젓은 주로 고춧가루를 넣어 맵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붉은색의 명란젓은 식용색소를 입혀 붉은 것이며, 고춧가루로 색을 낸 명란은 약간의 분홍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포슬포슬 녹는 식감에 적당히 비릿하면서 짭조름하니 감칠맛이 돌아 맛이 좋아 한국에서 널리 사랑받는 음식이다. 특히 쌀밥과 궁합이 좋은 반찬이라 여겨지며, 쪽파와 마늘을 다져넣고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넣어 무쳐서 참깨를 뿌려 먹는 방식이 가장 대표적이다.
명란젓은 생으로 먹어도 좋지만 익히거나 요리를 해 먹어도 맛있다. 주로 구워서 먹거나 또는 계란찜 등에 넣어서 쪄서 먹는다. 알탕에도 특유의 모양과 풍미 때문에 많이 들어간다. 일본에서는 라멘이나 오차즈케 위에 고명으로 얹히기도 하며, 우동을 끓일 때 명란젓을 넣어서 맛을 내는 집도 많다.
고춧가루를 넣어 빨갛게 담근 것도 다른 젓갈류에 비해서는 고춧가루 양이 적어 그리 맵지 않은 편이다. 다른 한국음식에 비하면 고춧가루는 색깔을 내는 정도에 불과하다. 그래서 매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사람들도 명란젓을 잘 먹는다.
명란젓은 빨갛다는 인식이 있지만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명란젓은 분홍색, 살구색에 가깝다. 생 닭가슴살 색깔과 비슷하다. 고추가루 양념을 해도 붉은색이 감돌 뿐이다. 다만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명란젓엔 아질산나트륨 발색제가 들어간다. 이는 무색소라고 표기된 제품도 마찬가지다. 아질산나트륨은 균 번식을 억제하여 명란젓의 유통기한을 늘려주지만 유해성 논란도 있다.
술안주로도 자주 쓰인다. 다만 명란의 냄새와 쓴맛이 워낙 강해 술이나 물이나 음료수를 마셨을 때 쓴맛이 느껴질 수 있다. 순수하게 술맛을 즐기고 싶다면 명란보다는 곁들이는 정도의 안주가 적합하다.
명란젓 중 상품으로 꼽히는 것은 껍질이 얇고 톡톡 터져 질기지 않은 것, 명란 본래의 길쭉한 외형이 온전히 유지되어 있는 것, 껍질 속 내용물인 알알이 큼직하여 입자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껍질이 터져서 모양이 흐트러진 명란젓 파치는 떨이 처분되는데 가성비가 괜찮아 찾는 사람들이 있다.
젓갈 중에서 비교적 염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냉장 보관 중에도 빨리 상한다. 따라서 알주머니를 하나씩 랩으로 소분해 냉동보관하는 방법이 장기 보관에 좋다.
한국이든 일본이든 선호도가 높은 고급 식품 취급을 받는지 가격대가 높게 형성돼 있다. 오징어젓의 2~3배에 달할 정도. 명란은 보존성이 낮은데다 해산물의 알인 만큼 가격이 낮기도 사실 힘들기는 하다. 또한 한국의 입장에서 명태는 남획에 의해 말 그대로 '씨가 말라버렸기' 때문에 자체 수급이 불가능에 가깝고 해외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2]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명란〉, 《위키백과》
- 〈명란젓〉,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명란 문서는 동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일반 : 자연, 시공간, 생물, 동물 □■⊕, 식물, 정치, 법률, 군사,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예술, 스포츠, 역사, 역사인물, 인간, 민족, 인체, 건강, 질병, 정신, 성격, 행동, 언어, 수학, 위키 도움말
|
|
동물
|
가금 • 가슴지느러미 • 가죽 • 가축 • 고기 • 귀 • 길짐승 • 꼬리지느러미 • 날짐승 • 눈 • 다리 • 동물 • 동물원 • 들짐승 • 등지느러미 • 똥 • 맹수 • 목 • 물짐승 • 반려동물 • 발톱 • 벌레 • 부리 • 비늘 • 뼈 • 뿔 • 산짐승 • 살 • 새끼 • 생선 • 수컷 • 아가미 • 알 • 암컷 • 야생동물 • 어미 • 육식동물 • 이빨 • 입 • 잡식동물 • 젖 • 지느러미 • 짐승 • 척삭 • 척삭동물 • 척추 • 척추동물 • 초식동물 • 코 • 턱 • 털 • 해충 • 허파 • 혀 • 회
|
|
포유류
|
가젤 • 강아지 • 개 • 개미핥기 • 고래 • 고릴라 • 고슴도치 • 고양이 • 곰 • 기린 • 나무늘보 • 낙타 • 너구리 • 노루 • 노새 • 뉴트리아 • 늑대 • 다람쥐 • 담비 • 당나귀 • 돌고래 • 돼지 • 두더지 • 들소 • 똥개 • 라마 • 라이거 • 말 • 망아지 • 매머드(맘모스) • 멧돼지 • 면양 • 물개 • 물범 • 물소 • 미어캣 • 바다사자 • 바다코끼리 • 바다표범 • 박쥐 • 반달곰 • 반려견 • 백호 • 버새 • 벌거숭이두더지쥐 • 범고래 • 북극곰 • 불곰 • 비버 • 사슴 • 사자 • 산양 • 삵 • 설치류 • 소 • 송아지 • 수달 • 순록 • 스라소니 • 아메리카들소(버팔로) • 야크 • 양 • 얼룩말 • 엘크 • 여우 • 염소 • 영양 • 영장류 • 오랑우탄 • 오소리 • 울버린 • 원숭이 • 유인원 • 인간 • 자칼 • 재규어 • 젖소 • 족제비 • 쥐 • 천산갑 • 청솔모 • 치타 • 침팬지 • 캥거루 • 코끼리 • 코뿔소 • 코알라 • 코요테 • 토끼 • 판다 • 페럿 • 포유류 • 표범 • 퓨마 • 하마 • 하이에나 • 해달 • 해양포유류 • 햄스터 • 호랑이 • 흑돼지 • 흑염소
|
|
조류
|
가마우지 • 갈매기 • 거위 • 고니(백조) • 공작 • 구관조 • 기러기 • 깃털 • 까마귀 • 까치 • 꾀꼬리 • 꿩 • 날개 • 달걀(계란) • 닭 • 도요새 • 독수리 • 두견새(두견) • 두루미(학) • 따오기 • 딱따구리 • 뜸부기 • 매 • 맹금류 • 메추리 • 메추리알 • 물떼새 • 물새 • 박새 • 백로 • 벌새 • 병아리 • 부엉이 • 비둘기 • 뻐꾸기 • 삼족오 • 새 • 새알 • 소쩍새 • 수리 • 수리부엉이 • 수탉 • 알바트로스 • 암탉 • 앵무새 • 오리 • 올빼미 • 왜가리 • 원앙 • 저어새 • 제비 • 조류 • 종다리(종달새, 노고지리) • 직박구리 • 참새 • 철새 • 청둥오리 • 칠면조 • 타조 • 텃새 • 파랑새 • 펠리컨(사다새) • 펭귄 • 학 • 해오라기 • 홍학 • 황새
|
|
파충류
|
거북 • 공룡 • 구렁이 • 능구렁이 • 도마뱀 • 독사 • 바다거북 • 방울뱀 • 백사 • 뱀 • 보아뱀(왕뱀) • 비단뱀 • 살무사(살모사) • 시조새 • 아나콘다 • 악어 • 용 • 이구아나 • 이무기 • 익룡 • 자라 • 청룡 • 카멜레온 • 코브라 • 파충류 • 황룡
|
|
양서류
|
개구리 • 도롱뇽 • 두꺼비 • 맹꽁이 • 무당개구리 • 양서류 • 올챙이 • 청개구리 • 황소개구리
|
|
어류
|
가오리 • 가물치 • 가자미 • 개복치 • 고등어 • 곤이 • 관상어 • 광어(넙치) • 귀상어 • 금붕어 • 꼼장어(먹장어) • 꽁치 • 노가리 • 농어 • 다금바리 • 대구 • 도다리 • 도미(돔) • 돛새치 • 메기 • 멸치 • 명란 • 명태 • 무태장어 • 물고기 • 물고기알 • 민물고기 • 민물장어 • 민어 • 바다장어(붕장어, 아나고) • 방어 • 배스 • 백상아리 • 뱀장어 • 뱅어 • 병어 • 복어 • 붕어 • 블루길 • 비단잉어 • 빙어 • 산천어 • 삼치 • 상어 • 송어 • 시샤모 • 실치 • 심해어 • 쏘가리 • 어류 • 연어 • 열대어 • 열빙어 • 옥돔 • 우럭 • 잉어 • 자갈치 • 자바리 • 장어 • 전기뱀장어 • 전어 • 정어리 • 조기 • 쥐치 • 참치(다랑어) • 철갑상어 • 청어 • 칠성장어 • 캐비아 • 홍어 • 황새치
|
|
곤충
|
각다귀 • 갈색거저리 • 개미 • 고치 • 곤충 • 굼벵이 • 귀뚜라미 • 꿀벌 • 나방 • 나비 • 노린재 • 누에 • 누에고치 • 딱정벌레 • 러브버그 • 말벌 • 매미 • 메뚜기 • 모기 • 무당벌레 • 물방개 • 밀웜 • 바구미 • 바퀴벌레 • 반딧불이 • 방아깨비 • 번데기 • 벌 • 베짱이 • 벼룩 • 변태(탈바꿈) • 병정개미 • 빈대 • 사마귀 • 사슴벌레 • 성충 • 소금쟁이 • 송충이 • 쇠똥구리 • 애벌레 • 여왕개미 • 여왕벌 • 여치 • 유충 • 이 • 일개미 • 일벌 • 잠자리 • 장수풍뎅이 • 진드기 • 집파리 • 초파리 • 파리 • 풍뎅이 • 하늘소 • 하루살이 • 호랑나비 • 호박벌 • 흰개미
|
|
무척추동물
|
가재 • 갑각류 • 강장동물 • 개불 • 갯지렁이 • 거머리 • 거미 • 게 • 골뱅이 • 곰벌레 • 굴 • 극피동물 • 기생충 • 낙지 • 다슬기 • 달팽이 • 두족류 • 랍스터 • 말미잘 • 멍게 • 무척추동물 • 문어 • 물곰 • 미더덕 • 바닷가재(랍스터) • 불가사리 • 산호 • 삼엽충 • 새우 • 선충 • 성게 • 소라 • 십이지장충 • 앵무조개 • 연체동물 • 오징어 • 요충 • 재첩 • 전갈 • 전복 • 절지동물 • 조개 • 주꾸미(쭈꾸미) • 지네 • 지렁이 • 촌충 • 편충 • 편형동물 • 플라나리아 • 한치 • 해면동물 • 해삼 • 해파리 • 홍합 • 홍해파리 • 환형동물 • 회충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