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대륙빙하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륙빙하

대륙빙하는 남극 지방이나 그린란드 등지에서 볼 수 있는 대륙을 덮고 있는 빙하이다.

개요[편집]

  • 대륙빙하는 대륙에 있는 빙하로서, 그린란드와 남극대륙을 뒤덮고 있다. 그린란드에서는 약 700m, 남극대륙에서는 2,250m의 두께이며, 내륙의 높은 곳에서 해안으로 천천히 흘러내려 바다에 이르면 빙산이 된다. 강력한 침식력에 의해 육지의 기복이 거의 깎여 빙하가 녹아 없어지면 평탄한 지형이 남는다. 빙상(氷床)·대륙빙상·빙상빙하라고도 한다. 얼음의 두께는 매우 두꺼워 그린란드에서는 약 700m, 남극대륙에서는 2,250m에 이르며, 그린란드에서는 3,000m 이상에 달하는 것도 발견되었다. 크고 작은 기복이 모두 뒤덮여 대빙원(大氷原)을 이루고, 산맥의 정상부만이 섬과 같이 두부(頭部)를 내놓고 있는데 그 모양에 따라 빙상 ·빙개(氷蓋) 또는 빙모(氷帽)라고 불린다. 대륙빙하는 내륙의 높은 곳으로부터 해안으로 향하여 아주 천천히 흘러내려 선단(先端)이 바다에 이르면 끝부분은 무너져서 빙산이 된다. 남극대륙에서는 두꺼운 빙상이 바다에 이르러 빙붕(氷棚)을 이루고 그 선단이 무너져서 테이블 모양의 거대한 빙산을 형성한다. 대륙빙하는 강력한 침식력이 있어 육지의 기복이 거의 깎여 없어지고, 토양도 거의 완전히 쓸려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빙하가 녹아 없어진 자리에는 평탄한 지형이 펼쳐지고 빙하에 깎인 암면이 노출된다. 제4기 홍적세의 빙기에는 북부 유럽의 대부분과 북아메리카 북부에서 북동부에 걸친 지역이 뒤덮였는데, 이들 지방에는 대륙빙하가 형성한 빙식평야를 비롯한 각종 빙식지형과 빙퇴적평야가 널리 발달하였다. 독일에서는 이와 같은 메마른 빙식평야를 하이데(Heide)라고 한다.[1]
  • 대륙빙하육지와 육지 주위를 덮고 있는 거대한 얼음덩어리이다. 현재 대륙빙하는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에서만 관찰된다. 과거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에는 유라시안 빙상(Eurasian Ice Sheet)이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 북부를, 로런타이드 빙상(Laurentide Ice Sheet)이 북아메리카 대륙을, 파타고니아 빙상(Patagonian Ice Sheet)이 남아메리카 대륙의 남부를 각각 덮고 있었다. 대륙빙하의 면적은 50,000㎢보다 큰 것을 말하며, 50,000㎢보다 작은 남극 지역의 빙원이나 고산 지역의 산악빙하(Alpine Glacier)는 빙모(ice cap)라고 부른다. 현재 있는 대륙빙하 중 남극의 빙상은 올리고세 초기에 형성되었으며, 플라이오세 동안 남극 대륙을 다 덮을 때까지 성장과 후퇴를 반복했다. 그린란드 대륙빙하는 플라이오세 후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육지 위에 얼음이 생기자마자 빠른 속도로 커졌다. 빙상의 표면은 매우 차갑지만, 대륙빙하의 바닥은 얼음의 압력으로 생긴 지열 때문에 상대적으로 따뜻하다. 얼음이 녹고, 얼음과 지표 사이에 융빙수(melt-water)라고 불리는 얼음 녹은 로 흐르는 층이 만들어진다. 얼음과 지표 사이의 융빙수는 얼음이 흐르는 속도를 가속하는 역할을 한다. 대륙빙하에서 얼음의 소멸은 빙상의 끝으로 이동한 얼음이 분리되어 빙하의 형태로 떨어져 나가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 대륙빙하는 대륙의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빙하이다. 현재 그린란드와 남극대륙을 뒤덮은 광대한 대륙빙하가 있으며 얼음의 두께는 매우 두꺼워 그린란드는 약 700m, 남극대륙은 2,250m이며, 그린란드에서는 3,000m 이상에 달하는 것도 발견된 적 있음. 크고 작은 기복이 모두 뒤덮여 대빙원(大氷原)을 이루고, 산맥의 정상부만이 섬과 같이 두부(頭部)를 내놓고 있는데 그 모양에 따라 빙상, 빙개(氷蓋), 빙모(氷帽) 등으로 불린다.

남극의 대륙빙하[편집]

  • 동남극 대륙빙하는 서남극 빙상과 남극종단산맥으로 구분되며, 경도 45°W에서 168°E에 놓여 있는 빙상을 말한다. 동남극 빙상은 빙상의 하부가 남극 대륙 위에 있어 육성 빙상으로 구분한다. 동남극 빙상에 포함된 물의 양은 해수면을 약 53.5m 높일 수 있을 정도로 서남극 빙상에 포함된 양보다 훨씬 많다. 동남극 빙상의 두께는 최대 4,800m에 이른다. 동남극 지역은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영하 100°C 가까이 떨어지는 지역이다. 현재 동남극 대륙빙하의 얼음은 1년에 약 570억 톤가량 소멸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서남극 대륙빙하는 남극종단산맥으로 나뉜 서남극 위에 있는 빙상을 말하며, 빙상의 하부가 해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해양성 빙상으로 구분한다. 대륙의 끝에서 해양과 만난 빙상은 로스 빙붕(Ross Ice Shelf)이나 론 빙붕(Ronne Ice Shelf)과 같은 빙붕이나, 아문센해로 흘러드는 분출 빙하(oulet glaciers)의 형태로 바뀐다. 서남극 빙상은 1년에 약 150㎢가 소멸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서남극 빙상은 지난 50년 동안 10년에 0.1°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간분지[편집]

  • 산간분지(warped basin,山間盆地)는 지층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변형되어 형성된 분지로서 단층, 습곡은 없다. 대륙빙하 또는 대량의 퇴적물의 중량 때문에 땅이 내려앉아 만들어진다. 곡강분지라고도 한다. 주변에 뚜렷한 단층이나 습곡은 없고, 다만 지층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변형됨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북아메리카의 5대호 지방은 대륙빙하의 중량에 의해서 땅이 내려앉아 이루어진 산간분지이다. 또 대량의 퇴적물이 쌓여 땅이 내려앉아 이루어진 산간분지로는 아프리카의 빅토리아호 ·차드호, 오스트레일리아의 에어호, 중국의 후광분지(湖廣盆地) 등을 들 수 있다.

누나탁[편집]

  • 누나탁(nunatak)은 대륙빙하에 의한 침식작용을 받아서 기반암이 톱니모양으로 남아있는 지형이다. 그린란드 해안에서 많이 보이고, 대륙빙하가 녹은 뒤, 가파른 산으로 남는다. 대륙빙하(大陸氷河)에 의한 침식작용 과정에서 빙하에 낀 곳 등에서 기반인 암석이 아직 완전히 침식되지 않고 가느다랗게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보통 격심한 빙식(氷蝕)을 당해서 톱니처럼 날카로운 지형을 보인다. 특히 그린란드 해안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대륙빙하가 녹아 없어진 뒤에는 가파른 급사면을 지니는 산으로 남는다. 북유럽 및 북아메리카 북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산악빙하[편집]

  • 산악빙하(mountain glacier,山岳氷河)는 대륙빙하에 대응하여, 고산지방에 발달한 빙하를 지칭한다. 산지지형에 형태와 운동상태가 결정되며, 곡빙하, 카르빙하(圈谷), 산록빙하, 빙모(氷帽) 등이 있다. 대륙빙하에 대응하는 말이다. 빙하의 형태나 운동은 산지 지형에 의하여 지배되며 곡빙하 ·카르빙하[圈谷氷河] ·산록빙하 ·빙모(氷帽) 등의 종류가 있다. 곡빙하는 골짜기를 따라 이동하며, 수지상(樹枝狀) 빙하와 알프스형 빙하로 나뉜다. 산록빙하는 곡빙하가 산록에서 에이프런 모양으로 복합한 것이며, 알래스카에서 전형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알래스카형 빙하라고도 한다. 권곡빙하는 산꼭대기 부근에 쌓인 만년설(萬年雪)로부터 발달한 것이다.

뉴펀들랜드앤래브라도주[편집]

  • 뉴펀들랜드앤래브라도주(Newfoundland & Labrador)는 캐나다의 동쪽에 있는 주. 주도는 세인트존스이다. 뉴펀들랜드주는 뉴펀들랜드섬과 래브라도반도 동부의 래브라도 지방으로 이루어진 주로서 산지구릉이 많고, 플라이스토세(世)의 대륙빙하에 의하여 형성된 빙하호와 피오르드가 많다. 기후는 냉온대 또는 툰드라 기후로, 인구의 대부분이 뉴펀들랜드섬에 거주한다. 뉴펀들랜드섬(면적 11만 700㎢)은 거의 3각형이며 대서양과 세인트로렌스만(灣) 사이에 위치한다.
  • 캐나다 본토와는 북쪽은 벨아일 해협, 서쪽은 세인트로렌스만, 남서쪽은 캐벗 해협으로 각각 격리되어 있고,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며, 주변에는 작은 이 많다. 남쪽 앞바다에는 프랑스령 상피에르·미켈론 등의 섬이 있다. 이곳의 지형은 완만한 기복을 이루나, 대체로 남부가 높고 북동쪽에 이를수록 점차 낮아지며, 빙식작용을 받았기 때문에 캐나다 본토와 함께 빙하호가 많다. 대륙성 기후이나 바다의 영향을 받아 여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도 -10℃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특히 멕시코만류와 래브라도해류의 한·난류가 교차하는 앞바다에서는 여름에 농무(濃霧)가 끼는 경우가 많으나, 이른바 조경(潮境)이 발달한 데다가 세계 굴지의 그랜드 뱅크를 끼고 있어 수산업이 발달하였다. 어획물은 세계 1위를 자랑하는 대구를 비롯하여 청어·연어·고등어·가자미 ·새우 등이 많이 잡힌다. 저지대는 침엽수림이 무성하나, 400m 이상의 고지는 툰드라를 이루므로 삼림 면적은 섬의 35%에 그친다.

그린란드 대륙빙하[편집]

  • 그린란드 대륙빙하의 면적은 약 1,710,000㎢로 그린란드 표면의 80%가량을 덮고 있는 얼음덩어리이다. 남극 대륙빙하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륙빙하이며 두께는 대체로 2km 이상이고 3km를 넘는 곳도 있다. 얼음의 부피는 약 2,850,000km³에 이르고, 이 대륙빙하가 녹으면 전 세계 해수면이 7.2m가 상승할 것이라고 한다. 해양 퇴적물에 나타난 증거로는 그린란드에 1,800만 년 전인 마이오세 중기에 얼음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1,100만 년에서 1,000만 년 전에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마이오세에서 플라이오세 후기에 일어난 그린란드 대륙 융기의 영향으로 얼음이 현재 크기까지 확장하였다.
  • 대륙빙하는 남북 방향으로 거의 2,900km(1,800마일) 길이이며 최대 너비는 북쪽 가장자리 근처인 위도 77°N에서 1,100km(680마일)이다. 평균 두께는 약 1.5km(0.9마일)이며 가장 두꺼운 부분은 3km(1.9마일) 이상이다. 큰 대륙빙하 외에도 더 작은 만년설(예: Maniitsoq 및 Flade Isblink)과 빙하가 주변을 76,000~100,000㎢(29,000~39,000제곱 마일) 덮고 있다. 2001년 보고에 따르면 그린란드의 얼음은 빙산과 녹음 때문에 약 564기가 톤씩 소멸하며, 강설량보다 매년 약 44기가 톤씩 더 순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그린란드 대륙빙하의 소멸 속도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1996년에 연간 약 96km³ 소멸한 얼음은 2005년에 약 220km³ 소멸하였으며, 2007년에 이르러 약 592km³가 소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7년에는 강설량도 적어 순 소멸이 65km³로 나타났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대륙빙하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