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줄기는 물이 한데 모여 개천이나 강으로 흘러 나가는 줄기를 말한다. 물은 산에서 발원하여 산과 산 사이를 구비구비 흘러 내를 이룬다. 산 있는 곳에 물이 있고, 작은 물줄기는 모여 강이 되며, 모든 물줄기는 산세에 따라 형성된다.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에서는 한반도의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하였다.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갈라진 산줄기는 모든 강의 유역을 경계 지었다. 동해안, 서해안으로 흘러 드는 강을 양분하는 큰 산줄기를 대간, 정간이라 하고, 그로부터 갈라져 각각의 강을 경계 짓는 분수산맥을 정맥이라 하였다. 이는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산이 곧 분수령이다. 따라서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이라는 원리를 따른 것이다.
대간과 정간은 한반도의 물줄기를 동서로 흐르게 하는 분수령이며 정맥은 그 강을 울타리처럼 둘러 싼 산줄기다. 이렇게 백두대간을 포함한 15개의 산줄기 이름 중 산이름에서 따온 것은 백두대간과 장백정간이며 나머지 13개의 정맥은 10개의 강 이름에서 따왔다.
한반도 역사와 생태의 중심 물줄기 - 한강[편집]
검룡소, 골지천, 당곡천, 임계천, 송천, 오대천, 어천, 용탄천, 지장천, 석항천, 주천강, 평창강, 옥동천, 동대천, 남천, 사이곡천, 보발천, 어곡천, 하일천, 솔티천, 매포천, 노동천, 죽령천, 단양천, 상리천, 고교천, 장선천, 제천천, 수산천, 동달천, 조동천, 충주천, 달천, 하구암천, 대전천, 영덕천, 구룡천, 오량천, 한포천, 앙성천, 운계천, 법천천, 섬강, 청미천, 연양천, 간매천, 가정천, 금당천, 소양천, 오금천, 한천, 후포천, 곡수천, 양화천, 복하천, 계장천, 향리천, 용담천, 흑천, 도곡천, 양근천, 덕평천, 사탄천, 성덕천, 항금천, 복포천, 하정천, 북한강((백암산, 철령, 고윤산, 금강산, 서천, 양구서천, 수입천, 풍산천, 파포천, 화천천, 용암천, 논미천, 계성천, 지촌천, 마평천, 지암천, 사평천, 월송천, 한계천, 소양강(계방천, 자운천, 내린천, 방내천, 상남천, 방태천, 귀둔천, 가리산천, 한계천, 북천, 임북천, 가아천, 우각천, 어론천, 두무천, 수산천, 추곡천, 오항천, 조교천, 물노천, 부귀천, 품걸천, 품만천, 지내천, 율문천, 만천천), 금산천, 공지천, 덕두원천, 팔미천, 강촌천, 서사천, 가평천, 달전천, 이화천, 산유천, 홍천강(미사천, 가정천, 추곡천, 길곡천, 중방대천, 두미천, 만천, 팔봉천, 양덕원천, 굴지천, 성동천, 오안천, 장전평천, 덕치천, 풍천, 군업천, 성산천, 내촌천, 평천, 삼거천, 장남천), 송산천, 미원천, 조종천, 구운천, 신기천, 월산천, 사기막천, 묵현천, 문호천, 아양천, 삼봉천, 시우천, 진중천, 조안천)), 정암천, 경안천, 산곡천, 덕풍천, 궁촌천, 월문천, 홍릉천, 왕숙천, 고덕천, 성내천, 탄천, 중랑천, 반포천, 봉원천, 안양천, 홍제천, 향동천, 창릉천, 대장천, 도촌천, 굴포천, 계양천, 봉성포천, 장월평천, 국은천, 곡릉천, 임진강((사천, 만우천, 오금천, 문산천, 운천천, 두포천, 눌노천, 설마천, 가월천, 사미천, 석장천, 장현천, 간파천, 한탄강(양원천, 차탄천, 신천, 대전천, 영평천, 포천천, 건지천, 부소천, 자일천, 문혜천, 대교천, 불당천, 김화남대천, 와수천, 사곡천), 황공천, 죽대천, 차곡천, 옥계천, 안월천, 마거천, 고잔천, 중사천, 흑석천, 화개산, 마식령, 추가령)), 양택천, 개화천, 한강, 조강, 예성강, 인천경기만 그리고 황해...
한강으로 직접 유입되는 하천들을 상류로부터 정리한 이름이다. 인천 하천으로 굴포천과 계양천이 눈에 들어온다. 강화 서북단 조강은 남에서 올라오는 한강과 북에서 내리꽂는 임진강과 만나는 한강 하류 끝 물줄기를 말하는데 황해까지 이어진다.
한강 유역 면적은 35,770.41㎢(북한제외 25,953.60), 유로연장 494.44km이다. 하구에서부터 가장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한 발원지는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태봉 북서쪽 계곡이다. 이 물줄기는 충주다목적댐을 거쳐 양평의 두물머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고 파주시 탄현면 통일동산 앞에서 임진강과 합류한 후 하구에 이른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우리 ᄀᆞᄅᆞᆷ 길라잡이'에 나온 한강에 대한 설명이다. 삼국시대 초기 한강과 임진강은 한반도의 중간 허리 부분을 띠처럼 둘렀다 해서 대수(帶水), 고구려에서는 아리수(阿利水)라 했다. 백제는 '욱리하'라 불렀고, 신라는 상류를 이하, 하류를 왕봉하라 불렀다고 한다. 고려 때에는 큰 물줄기가 맑고 밝게 뻗어 내리는 긴 강이란 뜻으로 '열수'라 불렀고, 모래가 많아 사평도(沙平渡) 또는 사리진(沙里津)이라 불리기도 했다.
백제가 동진과 왕래하고 중국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중국식으로 고쳐서 한수(漢水)라 했고, 그 후 옛 이름들은 차츰 사라지고 주로 한수 또는 한강(漢江)이라 불렸다. 한강은 본래 우리말의 '한가람'에서 비롯된 말로 '한'은 '크다, 넓다, 길다'는 뜻이고 '가람'은 강의 옛 표현으로 '한강'은 크고 넓은 강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와함께 한강은 조선시대 경강(京江)이라고도 불렀으며, 외국문헌에는 ‘서울강’이라는 기록도 보인다고 한다. 어쨌든 한강은 한반도의 허리에 해당하는 전 지역을 유역으로 하는 큰 강으로 과거에도,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한반도 역사와 생태의 중심 물줄기이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물줄기 문서는 지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지리
|
계통지리학 • 인문지리 • 인문지리학 • 자연지리 • 자연지리학 • 지대 • 지리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지정학 • 지지 • 지질 • 지질학 • 지형 • 지형도 • 지형지물 • 지형학
|
|
산
|
고개 • 고도 • 고산 • 고산대 • 고산지 • 고원 • 골 • 골짜기 • 구릉 • 구상화산 • 구조곡 • 급경사 • 기슭 • 낭떠러지 • 능선 • 대간 • 동고서저 • 동굴 • 등산로 • 마그마 • 마르 • 만년설 • 민둥산 • 방상절리 • 벼랑 • 분석구 • 분화구 • 비탈면 • 사화산 • 산 • 산간 • 산간지역 • 산경표 • 산괴 • 산기슭 • 산길 • 산등성이 • 산릉 • 산림 • 산림대 • 산마루 • 산맥 • 산봉우리 • 산세 • 산악 • 산악지역 • 산자락 • 산줄기 • 산지 • 산하 • 삼림 • 석회암 동굴 • 설산 • 성층화산 • 순상화산 • 아고산대 • 암벽 • 언덕 • 용암 • 용암동굴 • 운봉 • 운해 • 원시림 • 절리 • 절벽 • 정간 • 정맥 • 정상 • 조산대 • 종상화산 • 주봉 • 주상절리 • 중턱 • 지구대 • 척량산맥 • 최고봉 • 카르스트 • 칼데라 • 케임 • 탑상화산 • 판상절리 • 해발고도 • 협곡 • 화구 • 화산 • 화산지대 • 활화산 • 휴화산
|
|
땅
|
걸리 • 경사 • 고지대 • 광야 • 구조평야(케스타) • 굴 • 길 • 내륙 • 논 • 농지 • 단구 • 단층 • 대륙 • 대지 • 대초원 • 대평원 • 동토 • 들 • 들녘 • 들판 • 땅 • 땅굴 • 땅속 • 리차트 구조 • 맨틀 • 메사 • 명개 • 모래밭 • 모래사막 • 모래언덕(사구) • 목초지 • 뭍 • 미소지진 • 밀림(정글) • 밭 • 백사장 • 벌판 • 범람원 • 본토 • 분지 • 뷰트 • 사구열 • 사막 • 사막포도 • 사바나 • 설원 • 섭입지대 • 소금사막 • 순상지 • 숲 • 숲길 • 습곡(땅주름) • 습원 • 아대륙 • 암석사막 • 열곡 • 영구동토 • 오솔길 • 용암대지 • 육지 • 자갈사막 • 저지대 • 준사막 • 준평원 • 지각 • 지대 • 지면 • 지상 • 지진 • 지진대 • 지층 • 지표 • 지표면 • 지하 • 지협 • 진흙 • 진흙길 • 진흙탕 • 찬정분지 • 초대륙 • 초원 • 초원지대 • 초지 • 충적평야(퇴적평야) • 침식 • 침식곡 • 침식평야 • 탁상지 • 퇴적 • 퇴적물 • 툰드라 • 팜파스 • 평야 • 평원 • 평지 • 표고 • 풀밭 • 해발 • 회랑 • 흑토 • 흑토지대 • 흙 • 흙바닥
|
|
강
|
간헐천 • 강 • 강가 • 강둑 • 강물 • 강변 • 강폭 • 개울 • 개천 • 건천 • 계곡 • 구거 • 국가하천 • 굴곡 • 급류 • 내 • 냇물 • 농업용수로 • 담수 • 대하천 • 댐 • 도랑 • 둑 • 무지개폭포 • 물길 • 물줄기 • 발원 • 방수로 • 배수로 • 복개천 • 본류 • 사행천 • 삼각강 • 삼각주 • 상류 • 샘 • 샛강 • 선단 • 선상지 • 선앙 • 선정 • 수로 • 수면 • 수변 • 수심 • 실개천 • 어귀 • 여울 • 역류 • 연안수로(연안내수로) • 염하 • 온천 • 와지 • 용소 • 용수로 • 우물 • 원류 • 유수지 • 유역 • 이끼폭포 • 인공제방 • 자분정 • 자연제방 • 제방 • 조류세곡 • 중류 • 지류 • 지방하천 • 지표수 • 지하수 • 천 • 천정천 • 최대수심 • 폭포 • 폭포수 • 하구 • 하류 • 하식곡(V자곡) • 하안 • 하안단구 • 하천 • 합류 • 흙탕물
|
|
호수
|
건호 • 늪 • 담수호 • 못 • 배후습지 • 석호 • 소금호(염호, 함수호) • 소택 • 수렁 • 습지 • 연못 • 오아시스 • 우각호 • 웅덩이 • 인공호 • 자연호 • 저수지 • 칼데라호 • 폐색호 • 해자 • 호면 • 호상 • 호소 • 호수 • 호수변 • 호숫가 • 호안 • 화산호
|
|
바다
|
간석지 • 간조 • 간척지 • 개펄 • 갯벌 • 공해 • 근해 • 난류 • 내해 • 다도해 • 대륙대 • 대륙붕 • 대륙사면 • 대양 • 리아스식 해안 • 만 • 만조 • 먼바다 • 모래부리(사취) • 모래톱 • 모래해안(사빈) • 물결 • 물보라 • 밀물 • 바다 • 바닷길 • 바닷속 • 방조제 • 사주 • 산호초 • 쇄파대 • 수도 • 심해 • 심해저 • 심해평원 • 썰물 • 암석해안 • 암초 • 앞바다 • 연안 • 열수분출공 • 염분 • 염습지(염생습지) • 외해 • 운하 • 원양 • 인공어초 • 조류 • 조석 • 천퇴 • 퇴(뱅크) • 파고 • 파도 • 파식대 • 평정해산 • 한류 • 해곡 • 해구 • 해령(해저산맥) • 해류 • 해변 • 해산 • 해수 • 해수면(해면) • 해식동 • 해식애 • 해안 • 해안단구 • 해안선 • 해양 • 해양분지 • 해역 • 해연 • 해저 • 해저단구 • 해저분지 • 해저지형 • 해저협곡 • 해저화산 • 해팽 • 해협 • 후미
|
|
빙하
|
각정(호른) • 곡빙하 • 굴식 • 권곡(카르) • 권곡벽 • 권곡빙하 • 권곡호 • 누나탁(누나타크) • 대륙빙하 • 마식 • 바이칼젠 • 베르크슈른트 • 본류빙하 • 부빙 • 분출빙하(배출빙하) • 빙력토 • 빙력토평원 • 빙모 • 빙벽 • 빙붕 • 빙산 • 빙상 • 빙설 • 빙식 • 빙식계단 • 빙식곡(U자곡) • 빙식지형 • 빙식평원(빙식평야) • 빙원 • 빙저호 • 빙저화산 • 빙퇴구(드럼린) • 빙퇴석(모레인) • 빙하 • 빙하곡 • 빙하빙 • 빙하지형 • 빙하퇴적지형 • 빙하호 • 빙호 • 산록빙하 • 산악빙하 • 설선 • 설식 • 소모대 • 아이스서클 • 암분 • 양배암 • 얼음화산 • 에스커 • 온난빙하 • 유빙 • 융빙수 • 융설수 • 저퇴석 • 종퇴석 • 중앙퇴석 • 즐형산릉 • 지류빙하 • 집적대 • 찰흔(그루브) • 측퇴석 • 케임 • 콜 • 크레바스 • 탁상빙상 • 피오르(협만) • 한랭빙하 • 해빙 • 현곡
|
|
섬과 반도
|
곶 • 군도 • 도서 • 무인도 • 바위섬 • 반도 • 부속도서 • 산호섬 • 섬 • 섬나라 • 쓰레기섬 • 열도 • 유인도 • 인공섬 • 제도 • 하중도 • 헤드랜드 • 호중도 • 화산섬 • 환초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