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保險業) 또는 보험사업(保險事業)은 보험이라는 무형의 상품을 보험 가입자에게 공급하고 그 대가로 받은 보험료를 관리·운영하여 사고가 발생하거나 만기가 도래하였을 때 소정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보험업법(保險業法)에서 보험업이란 보험상품의 취급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보험의 인수(引受), 보험료 수수 및 보험금 지급 등을 영업으로 하는 것으로서 생명보험업·손해보험업 및 제3보험업을 말한다. 여기서 보험회사의 면허, 자본, 조직, 관리, 감독, 해산 따위를 규정한 법률을 말한다. 보험사업의 경영형태는 14세기 이탈리아에서 개인기업으로 시작되었으며, 17세기에 생긴 영국의 로이드(Lloyd's)가 이 형태로 성공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5세기부터 유럽 여러 나라에서는 조합형태가 생겼으며, 독일에서는 17세기에 공영조직이 시작되었고, 주식회사나 상호회사가 탄생한 것은 산업혁명을 전후한 18세기의 일이다. 오늘날 보험사업의 형태는 민영과 공영으로 대별할 수 있다. 민영에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와 개인기업,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상호회사와 협동조합 등이 있다. 공영에는 국가가 직접 관장하는 직접국영(사회보험·수출보험)과 국가가 출자한 특수법인이 관장하는 간접국영(보험감독원)이 있다. 한국의 보험업법에는 민영보험의 형태를 주식회사와 상호회사로 제한하고 있다.[1][2]
보험업 유형[편집]
손해보험업[편집]
손해보험업(損害保險業)은 '보험업법'에 따라, 보험자가 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기는 피보험자의 재산상의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업을 말한다. 우연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의 보상을 약속하고 금전을 수수하는 사업을 말한다.[3]
해상보험업[편집]
해상보험업(海上保險業)은 항해 중에 생기는 선박이나 화물의 피해를 보상하는 해상 보험을 보험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그 대가로 보험료를 받는 사업을 말한다.[4]
권원보험업[편집]
권원보험업(權原保險業)은 부동산의 소유권 같은 권리(title)를 보증해 주고 수수료를 받는 사업을 말한다. 부동산등기부를 열람하여도 발견할 수 없는 흠이나 부담(제한) 등을 이유로 불의의 손해를 입는 수가 있다. 이에 대비하여 부동산의 소유권을 보증해 주는 부동산업의 하나다. 미국은 권리보증회사(title insurance company)가 많고 부동산을 거래할 때 일반인도 많이 이용한다. 2001년 11월 23일 퍼스트 아메리칸 권원보험회사(FATIC)가 최초로 금융위원회로부터 사업인가를 받아 권원보험을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처음에 삼성화재, LG화재, 메리츠화재, 동부화재 등이 참여하였으나, 실적이 저조하여 현재에는 삼성화재, the K손해보험 등이 영업하고 있다.[5]
고용보험사업[편집]
고용보험사업(雇傭保險事業)은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실업급여사업, 모성보호 사업으로 구분된다. 첫째,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은 근로자를 해고시키지 않고 고용을 유지하거나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직자를 채용하여 고용을 늘리는 사업주에게 소요비용을 지원함으로써 고용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하여 훈련을 실시하는 사업주 또는 근로자에게 당해 훈련을 위하여 부담한 비용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둘째, 실업급여사업은 산업구조조정, 조직 및 기구 축소 등 기업 사정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실직하는 근로자에게 생활 안정 및 재취직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셋째, 모성보호 사업은 모성보호와 일·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국가가 필요한 정책과 그에 수반하는 재정적 지원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육아휴직급여 및 출산 전후 휴가급여가 있다.[6]
관련 기사[편집]
- 2022년 1분기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들의 당기순이익이 2021년 동기 대비 13.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회사 중에서는 증권업과 보험업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18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2022년 1분기 결산 실적' 자료에 따르면 연결 재무제표 기준 608개사의 당기순이익은 41조 6910억 원으로 2021년 동기 대비 13.79% 줄었다. 다만,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660조 9141억 원, 50조 5105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24.18%, 14.43% 증가했다. 금융회사 가운데서는 증권사와 보험사의 감소세가 뚜렷했다. 금융업체 43개사의 합산 순이익은 9조 9008억 원으로 2021년 동기 대비 5.71% 줄었다. 영업이익도 12조 9898억 원으로 5.61% 감소했다. 증권업과 보험업 순이익은 1조 1652억 원, 1조 6978억 원으로 각각 36.36%, 34.1% 감소했다. 반면, 금융지주(6조 1346억 원, 2021년 동기 대비 16.31%↑)와 은행(6658억원, 11.02%↑)은 성장했다. 보험업은 손해보험과 생명보험의 온도 차가 극명했다. 정태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손해보험 호조 원인으로 신계약 감소에 따른 양호한 사업비율,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영향에 따른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 등을 꼽았다. 반면, 생명보험은 주 수입원인 보험사업과 투자 부문 부진 등으로 호실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한편, 코스피 상장사 중 흑자 기업 비중은 작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608개사 가운데 1분기 순이익 흑자를 달성한 기업은 476개사(78.29%)로 전년 동기(504개사)보다 28개사 감소했다.[7]
- 국내 보험사 해외점포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미국 등 주요 점포의 보험료 상승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2022년 5월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1개 보험회사의 해외점포 38개의 2021년 당기순이익은 9080만 달러(약 1039억 원)로 2021년 대비 99.1% 증가했다. 2021년에는 신한생명(베트남), 코리안리(미국), DB손보(미국) 등 3개 점포가 신규 진출해 해외점포가 2021년 말 대비 3개가 늘어났다. 보험업에서는 9060만 달러(약 1145억 원)의 이익을 거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 따라 생명보험사의 영업이 다소 위축됐지만, 손해보험사의 미국 등 주요 점포가 보험료 수입 증가하며 순이익이 2021년 대비 47.3% 증가했다.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는 점포에서는 20만달러(약 3억원)의 이익이 났으며 생보사의부동산임대업 법인이 임대율을 개선하며 2021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생보사는 보험업 외 해외점포 순이익 증가 등으로 전체 점포의 실적은 개선됐으나,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보험업 해외점포의 대면 영업 위축이 지속되고 있다. 손보사는 실적 개선세를 보였으나, 계열사 및 현지 진출 한국기업 의존 등으로 수익 구조는 취약한 상태다.[8]
- ↑ 〈보험업법〉, 《국가법령정보센터》
- ↑ 〈보험사업〉, 《두산백과》
- ↑ 〈손해보험업〉, 《네이버 국어사전》
- ↑ 〈해상보험업〉, 《네이버 국어사전》
- ↑ 〈권원보험업〉, 《부동산용어사전》
- ↑ 〈고용보험사업〉, 《실무노동용어사전》
- ↑ 양지훈 기자, 〈코스피 상장사, 1분기 순이익 전년比 13.8%↓…증권업 36.4%↓〉, 《파이낸셜투데이》, 2022-05-18
- ↑ 김유진 기자, 〈코로나19에도 작년 보험사 해외점포 순이익 2배 증가〉, 《조선비즈》, 2022-05-24
참고자료[편집]
- 〈보험업〉, 《네이버 국어사전》
- 〈보험사업〉, 《두산백과》
- 〈보험업법〉, 《국가법령정보센터》
- 〈손해보험업〉, 《네이버 국어사전》
- 〈해상보험업〉, 《네이버 국어사전》
- 〈권원보험업〉, 《부동산용어사전》
- 〈고용보험사업〉, 《실무노동용어사전》
- 양지훈 기자, 〈코스피 상장사, 1분기 순이익 전년比 13.8%↓…증권업 36.4%↓〉, 《파이낸셜투데이》, 2022-05-18
- 김유진 기자, 〈코로나19에도 작년 보험사 해외점포 순이익 2배 증가〉, 《조선비즈》, 2022-05-24
같이 보기[편집]
이 보험업 문서는 자동차 판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판매
|
1인신조 • 그레이 임포터 • 대리점 • 등록세 • 딜러 • 딜러사 • 레몬마켓 • 레몬법 • 로드샵 • 만하임 지수 • 매니저 • 미끼매물 • 병행수입 • 사고처리 • 쇼룸 • 수입차 • 수출차 • 시승 • 신차 • 연식 • 영업관리 • 영업사원 • 영업소 • 영업소장 • 영업수당 • 영업지원 • 임포터 • 입고 • 입하 • 자동차세 • 중고차 • 중고차 딜러 • 중고차 수출 • 중고차 탁송 거래 • 차량관리 • 차테크 • 출고 • 출고가 • 출고장 • 출고증 • 출고일 • 출문 • 취득세 • 취등록세 • 취소차 • 카마스터 • 코어차지 • 탁송 • 탁송료 • 피치마켓 • 허위매물
|
|
자동차 리스 • 렌트
|
가산금 • 개인리스 • 공공자전거 • 공유 • 공유경제 • 공유자전거 • 구독 • 구독 서비스 • 구매형 렌터카 • 금융리스 • 단기렌터카 • 단기렌트 • 대여 • 대차료 • 라이드셰어링 • 라이드헤일링 • 렌탈 • 렌탈료 • 렌터카 • 렌터카 회사 • 렌트 • 리스 • 리스료 • 리스이자 • 리스 회사 • 반납 • 반납형 렌터카 • 보증 • 보증금 • 보증서 • 비대차료 • 사고대차 • 승차공유 • 신용 • 신용등급 • 신용정보 • 신용정보회사 • 신용조회 • 신용평가 • 신용평가회사 • 신차 리스 • 신차 장기렌터카 • 운용리스 • 월렌트 • 유예 • 유예금 • 유예리스 • 인수금 • 인수형 렌터카 • 자동차 리스 • 잔가 • 장기렌트 • 장기렌터카 • 재리스 • 준장기렌터카 • 중고차렌터카 • 중고차 장기렌터카 • 중장기렌터카 • 차량공유 • 차주 • 초단기렌터카 • 카셰어링 • 카푸어 • 카풀 • 카헤일링 • 택시헤일링 • 회수 • 휴차료
|
|
자동차보험
|
4대보험 • 가계보험 • 개인보험 • 건강보험 • 격락손해금 • 고용보험 • 공적보험 • 공제 • 공제조합 • 교육보험 • 국민연금 • 근재보험 • 기술보험 • 기업보험 • 기업종합보험 •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 단체보험 • 대물 • 대인 • 대차 • 동산보험 • 동산종합보험 • 동일증권 • 렌터카공제조합 • 마디모 • 만기환급금 • 면책 • 면책금(자기부담금) • 민간보험 • 배당 • 배당금 • 배상 • 배상책임보험 • 변상 • 변제 • 보상 • 보상금 • 보증보험 • 보험 • 보험가액 • 보험가입자 • 보험계리사 • 보험계약 • 보험계약자 • 보험금 • 보험료 • 보험사 • 보험사고 • 보험사기 • 보험사기범 • 보험설계사 • 보험수익자 • 보험업 • 보험업자 • 보험요율 • 보험위부 • 보험자 • 보험자대위 • 보험제도 • 보험중개사 • 부정액보험 • 사망보험 • 사보험(사영보험) • 사회보험 • 산재보험 • 상해보험 • 상호보험 • 생명보험 • 생존보험 • 손해배상 • 손해보험 • 손해보험사 • 손해사정 • 손해사정사 • 손해액 • 손해율 • 수령인 • 수익률 • 수익자 • 수입보험 • 수출보험 • 실손의료보험 • 양로보험 • 어린이보험 • 연금 • 연금보험 • 영리보험 • 오토바이보험 • 요율 • 우체국보험 • 운송보험 • 운전자보험 • 위부 • 위자료 • 인보험 • 임직원 한정운전 특약 • 자동차보험 • 자상 • 자손 • 자차 • 자차보험 • 잔존물 • 잔존물대위 • 장기요양보험 • 재물보험 • 재보험 • 재보험사 • 재보험요율 • 재산종합보험 • 저축보험 • 정기보험 • 정액보험 • 조합 • 조합원 • 종신보험 • 종합보험 • 책임보험(의무보험) • 청구권 • 청구권대위 • 탁송보험 • 피보험자 • 하이바이크 • 해상보험 • 해약환급금 • 화재보험
|
|
모터쇼
|
광저우 모터쇼 •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 나스카 • 뉴욕 오토쇼 • 도쿄 모터쇼 • 디트로이트 모터쇼(북미 국제 오토쇼) • 로스앤젤레스 오토쇼 • 르망 24시 • 모터쇼 • 베이징 모터쇼 • 부산모빌리티쇼(부산국제모터쇼) • 상하이 모터쇼(오토 상하이) • 서울 모터쇼 • 시카고 오토쇼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 월드카 어워즈 • 인디카 시리즈 • 제네바 모터쇼 • 파리 모터쇼 • 포뮬러원 •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산업 : 산업 □■⊕,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산업
|
가업 • 경박단소 • 과학 • 과학기술 • 과학자 • 기술 • 기술력 • 기술자 • 범위 • 법인 • 분야 • 비즈니스 • 사업 • 산업 • 산업구조 • 산업기술 • 산업안전 • 산업안전보건 • 산업재해(산재) • 산업혁명 • 산업화 • 생업 • 서비스 • 소부장 • 업종 • 업체 • 영역 • 업태 • 원시산업 • 유민착소 • 유통 • 인적 제약산업 • 자본적 제약산업 • 자영업 • 제조 • 중후장대 • 첨단산업
|
|
1차산업 (농업 등)
|
광산업 • 광업 • 근교농업 • 농림수산업 • 농사 • 농업 • 농축산업 • 담수어업 • 도시농업 • 목축업 • 산림업 • 수산업 • 수직농업 • 양봉업 • 양식업 • 어업 • 원교농업 • 원양어업 • 원예업 • 임업 • 재배업 • 채굴업 • 채취업 • 축산업 • 화훼재배업
|
|
2차산업 (제조업 등)
|
가공업 • 가구산업 • 가스업 • 감리업 • 건설기계업 • 건설업 • 건축업 • 경공업 • 공업 • 기계업 • 바이오산업 • 반도체산업 • 방위산업(군수산업) • 보수업 • 봉제업 • 생산업 • 석유산업 • 석유화학업 • 설계감리업 • 설계업 • 섬유업 • 수공업 • 수도업 • 수리업 • 수송기계업 • 식품업 • 에너지업 • 엔지니어링업 • 우주산업 • 자동차산업 • 전기업 • 전기통신업 • 전력업 • 전기기계업 • 전자산업 • 정유업 • 제강업 • 제과업 • 제빵업 • 제약업 • 제조업 • 제철업 • 조선업 • 중공업 • 중화학공업 • 철강업 • 측량업 • 토목업 • 화학공업 • 화학산업
|
|
3차산업 (서비스업)
|
건설기계대여업 • 경매업 • 공간대여업 • 관광산업 • 관광업 • 교통업 • 구매대행업 • 구매업 • 금융업 • 대부업 • 대여업 • 도매업 • 도소매업 • 레저업 • 렌탈업 • 리스업 • 모빌리티산업 • 무역업 • 물류업 • 미용업 • 배달업 • 보건업 • 보관업 • 보험업 • 부동산업 • 부동산중개업 • 상공업 • 상업 • 서비스업 • 선박업 • 선박운송업 • 소매업 • 소비업 • 쇼핑업 • 수송업 • 숙박업 • 신탁업 • 여객운송업 • 여행업 • 외식업 • 요식업 • 용역업 • 운송업(운수업) • 유통업 • 유흥업 • 은행업 • 의료업 • 임대업 • 접객업 • 주류업 • 중개업 • 증권업 • 차량운송업 • 창고업 • 철도운송업 • 택배업 • 통신판매업 • 투자업 • 판매업 • 항공업 • 항공운송업 • 해외구매대행업(해외직구대행업) • 해운업 • 호텔업 • 화물운송업
|
|
4차산업 (지식산업)
|
공간정보산업 • 공공서비스업 • 광고업 • 교육업 • 데이터베이스업 • 메타버스산업 • 모바일산업 • 방송업 • 방송통신업 • 보안업 • 상담업 • 소프트웨어 개발업 • 소프트웨어산업 • 소프트웨어 유통업 • 신문산업 • 신용정보업 • 언론산업 • 연구개발업 • 연구업 • 인공지능산업 • 인쇄업 • 인쇄출판업 • 인터넷산업 • 자료처리업 • 잡지산업 • 정보기술업 • 정보서비스업 • 정보업 • 정보처리업 • 정보통신업 • 지식산업(지식기반산업) • 출판업 • 컨설팅업 • 통신업 • 하드웨어산업 • 학술업
|
|
5차산업 (예술산업)
|
게임산업 • 공연업 • 디자인업 • 만화산업 • 문학산업 • 문화산업 • 미디어산업 • 미술산업 • 비디오물제작업 • 스포츠산업 • 애니메이션산업 • 엔터테인먼트산업 • 영화산업 • 예술산업 • 웹툰산업 • 음악산업 • 콘텐츠산업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