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신경과(神經科)는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중추 신경부터 뇌신경, 말초신경, 근육이 포함되는 말초신경까지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내과적으로 치료하는 의료 분야이다.
내용[편집]
인체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크게 나뉜다.
중추신경계는 두개골(머리뼈)이나 척추(등뼈)와 같이 단단한 뼈 조직 안에 보호받고 있는 대뇌(큰골), 소뇌(작은골), 뇌간(숨골) 및 척수(등골)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신경 연락망을 뜻하는데, 머리 부분에 분포하는 12쌍의 뇌신경과 몸통과 팔, 다리에 분포하는 31쌍의 척수신경 및 이들 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경계에 발생하는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임상 과목이 신경과이다.
우리나라에서 1983년도 이전에는 신경계 질환에 관심이 있는 일부 내과 혹은 정신과 전문의가 신경과 진료를 하여왔으나 1983년도부터 법적으로 독립된 전문과목으로 공인되었기 때문에 신경과 질환을 다루던 내과와 정신과 전문의들이 전문의 자격시험을 거쳐 신경과 전문의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 이후 새로운 제도하에서 정식으로 신경과 수련을 마친 전문의가 1986년도부터 배출되기 시작하여 대략 2,016명(2020년도 기준)의 신경과 전문의가 국민 보건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분야[편집]
신경계는 인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중요한 장기이기 때문에 신경계에 이상이 발생하면 실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을 모두 나열할 수 없으나 정신을 잃거나 헛소리를 하는 의식장애 증상, 반신마비나 하지마비 등의 마비 증상, 두통 및 신경통, 경련, 손발 저림 혹은 감각이 무뎌지거나 오히려 예민해지는 것과 같은 감각장애 증상, 손발이 떨리거나 저절로 팔다리가 뒤틀리거나 움직여지는 운동이상 증상,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거나 시력감퇴와 같은 시각 장애 증상, 음식을 삼키기 어렵거나 사래가 자주 걸리는 증상, 발음 및 언어장애 증상, 입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증상, 어지럼증이나 끊임없이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 계단을 오르내리기 어렵거나 팔을 들어 올리기 어려운 증상, 걸을 때 술 취한 모양으로 비척대거나, 발을 끌면서 걷거나 부자연스럽게 걷는 등의 보행이상 증상, 간헐적으로 전신에 힘이 빠져 무기력해지는 증상, 노망, 지능 장애, 발달 및 행동 장애 증상 등이 신경과에서 비교적 흔히 접하는 증상에 속한다. 신경계 질환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함으로 신경과는 여러 가지 전문분야로 나누어진다.
뇌혈관의 이상에 의하여 갑자기 발생하는 반신마비와 같이 뇌의 부분적 기능이상 증상이나 의식 변화를 전공하는 뇌졸중(중풍) 분야, 경련 발작을 다루는 간질(전간) 분야, 말초신경이나 근육에 발생하는 질환을 다루는 말초신경 및 근육질환 분야,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 이상 증상을 다루는 운동질환 분야, 대뇌의 전반적인 기능 감퇴로 발생하는 지적 저하 상태를 다루는 치매(노망) 분야, 뇌염이나 수막염같이 신경계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을 전문으로 하는 신경계 감염 분야, 두통 및 여러 가지 신경통을 다루는 통증 분야 및 신경계의 종양(혹)을 다루는 신경계 종양학 분야 등이 대표적이다.
구분[편집]
일반 대중에게 혼동을 초래하는 전문과목으로 신경외과와 정신과를 들 수 있는데, 신경과와 신경외과와의 관계는 일반내과와 일반외과의 관계와 같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된다. 신경과는 신경계에 발생하는 질환을 진단하고, 약물요법이나 대증요법을 통하여 치료를 유도함이 특징이고, 신경외과는 신경계에 발생하는 질환을 수술적 접근 방법으로 치료를 도모한다. 따라서 신경과 진단 과정에서 수술이 필요한 병변이 확인되면 신경외과에 의뢰하여 수술적 치료방법 여부에 대하여 자문한다.
일반인들에게 가장 혼란을 일으키는 신경과와 정신과와의 관계는 임상 증상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으므로 명쾌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신경과는 신경계의 기질적 변화에 의한 해부 생리학적 이상으로 발현되는 임상 측면을 진료하는 분야이고 정신과는 기질적 변화가 동반되지 않는 뇌의 기능적 변화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즉 정신과는 인간의 사고, 감정 및 정서, 인간의 마음을 다루는 임상과로 눈에 드러나는 기질적 이상 보다는 정신적 이상 상태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정신분열, 우울증, 히스테리, 노이로제, 신경과민 등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임상과목이 정신과이며, 신경계에 발생하는 염증, 종양, 혈관폐쇄 등으로 인하여 신경세포가 기질적으로 변화되어 발생하는 이상 상태를 다루는 임상과가 신경과이다.
예를 들면 환자가 스트레스나 어렸을 때의 비정상적 가정환경 등으로 인한 순수한 정신적 문제로 정신이상이 나타났다면 당연히 정신과 진료를 받아야 하며, 뇌염으로 인하여 정신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먼저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함이 원칙이다.[1]
대표 질환[편집]
- 두통
대부분의 성인 남녀가 평생에 한 번 이상은 겪게 되는 두통은 원인이 다양하다. 스트레스, 수면 부족, 피로 등 명확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1차성 두통의 경우 실제로 심각한 질병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2차 성 두통의 경우 뇌 컴퓨터단층촬영(CT) 혹은 뇌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으로 뇌의 질병을 감별할 수 있다. 의사의 임상적인 진단 외에 특이적인 진단 방법이 없으므로 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1차적 두통과는 달리 2차 성 두통은 뇌출혈, 뇌종양 등 여러 가지 질병으로 통증이 기인한다.
- 말초신경병증
말초신경이란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 바깥의 모든 신경 구조물을 말한다. 말초신경계는 우리 몸의 신경계 중 뇌와 척수를 제외한 나머지 신경계를 말하며 체내의 거의 모든 기관에 분포하고 기능 조절에 관여하고 말초신경병증에 의해 일어나는 증상은 감각증상, 운동증상 및 자율신경 증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부분 손발 저림, 감각 저하는 말초신경병증의 증상이기도 하다.
- 뇌졸중
뇌졸중이 발생하는 이유는 뇌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거나(뇌출혈) 둘 중 하나가 일반적이다. 뇌졸중은 단일 질병으로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로 꼽힐 만큼 위험한 질병이고 합병증이나 동반 질환의 영향이 없어 국내에서 사망자를 가장 많이 내는 병이다.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 뇌졸증이 발병하기 쉽다. 뇌졸증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경우가 적지 않은 만큼 평소 주요 위험인자나 증상, 대처방안 등 병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2]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