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교통방송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교통방송(交通放送)이란 많이 늘어난 자동차로 인해 교통 혼잡이 심해지면서 차 안에서 주로 들을 수 있는 라디오 방송을 말한다. 전국에는 서울시가 만든 서울교통방송(TBS) 외에도 도로교통공단이 부산·대전 등 전국 12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한국교통방송(TBN)이 있다.

서울교통방송[편집]

TBS 교통방송(交通放送, 영어: Traffic Broadcasting System, TBS) 또는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는 교통정보는 물론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지역 공영 방송국이다. 1990년 3월 20일부터 설립되었고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 센터이다. 처음에는 라디오 방송만 송출하다가 15년 후 텔레비전 방송이 개국되었고 텔레비전 방송 개국 3년 후 영어 전문 라디오 방송 채널이 개국되었다. 이 영어 전문 라디오 방송 채널은 대한민국 최초로 개국한 것으로, 시청자들의 높은 호응을 받았다.

1990년 6월 11일에 서울특별시 주변 지역(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일부)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TBS FM(95.1㎒)이 개국 되었고, 2005년 3월 3일에 케이블 채널인 TBS TV가 개국 되었으며, 2008년 12월 1일에는 'Right here! Right now!'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100%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최초의 종합편성 FM 영어 전문 라디오 채널인 TBS eFM(101.3㎒)이 개국 되었다.

교통 관련 방송 이외에도 2011년부터 프로축구 서울 연고 구단인 FC 서울의 스포츠 경기를 중계하는 등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에 관련된 여러 가지 방송 프로그램을 내보낸다. 2020년 2월 17일부터 서울시 산하 사업소에서 서울특별시 출연 기관인 미디어재단으로 전환되었다. 서울시 산하 사업소 시절에는 대표는 지방부이사관, 또는 개방형 임기제 공무원으로 보했으나[3], 미디어재단으로 전환한 이후에는 대표와 직원 모두 민간인 신분이 되었다.

TBS 교통방송가 재단법인과 출범함과 동시에 영문명도 'Seoul Traffic Broadcasting'으로 변경되었다. TBS는 새로운 CI에 대해 교통, 기상 정보 중심의 TBS 교통방송 (Traffic Broadcasting System)의 좁은 의미에서 벗어나 '시민들에게 더 가까이, 보다 진실되고 정의로운, 미래 혁신 미디어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상세
  • 한국명: TBS 교통방송
  • 한자표기: 交通放送
  • 영문표기: Traffic Broadcasting System
  • 약칭: TBS
  • 형태: 민영방송, 지역방송국, 케이블, IPTV
  • 방송 영역: 수도권 지역
  • 창립일: 1990년 3월 20일
  • 개국일: 1990년 6월 11일(라디오), 2005년 3월 3일(TV)
  • 주요 주주: 서울특별시청
  • 본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에스플렉스센터
  • 사장: 이강택
  • 슬로건: 시민의 눈으로 한걸음 더

연혁[편집]

  • 1988년 03월 29일: 1988 서울 올림픽 대비 TBS 교통방송 설치 계획 수립(경찰청)
  • 1990년 03월 20일: TBS 교통방송 본부 설치조례 공포(서울시)
  • 1990년 05월 01일: 시험 방송 실시
  • 1990년 06월 11일: 종로구 도렴동에서 9시 51분에 tbs FM 개국(호출부호: HLST, 주파수: *95.1㎒, 출력: 5㎾)
  • 1991년 01월 01일: TBS 교통방송 지역방송실 운영 개시(5개 지역)
  • 1995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5주년
  • 1996년 12월 17일: 교통정보 서비스용 TRS (주파수 공용 무선 통신 시스템)운영
  • 1997년 05월 17일: 방송국 청사 이전 종로구 도렴동 → 중구 예장동
  • 1997년 06월 10일: TBS 교통방송 남산시대 개막
  • 1997년 09월 05일: 교통정보 ARS 서비스 개시
  • 1998년 12월:정시 시보음이 3초시보에서 멜로디 형태로 변경되었다.
  • 2000년 04월 14일: ㈜로티스와 교통정보 제휴 협약 체결
  • 2000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10주년
  • 2000년 07월 24일: TBS 교통방송 인터넷 방송 개시(실시간 오디오 서비스)
  • 2000년 11월 05일: 송신소를 남산 송신소에서 관악산 송신소로 이전
  • 2003년 10월 21일: 인터넷 TBS 교통방송 (iTBS) 개국
  • 2004년 03월 25일: ㈜NHN과 업무제휴
  • 2004년 03월 31일: KBS 인터넷과 동영상 교통정보 모바일 서비스 제휴
  • 2004년 06월 17일: 인터넷 TBS 교통방송 휴대폰 서비스 개시
  • 2005년 03월 03일: 유료 방송 채널 tbs TV서울(현 tbs TV) 개국
  • 2005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15주년
  • 2005년 12월 01일: 지상파 DMB 오디오 채널 tbs DMB(tbs V-Radio) 개국
  • 2007년 07월 30일: 기관명을 TBS 교통방송본부에서 TBS 교통방송으로 변경
  • 2008년 07월 23일: 영어 FM 방송 허가 승인(남산 송신소)
  • 2008년 12월 01일: 영어 FM 방송 tbs eFM 개국(호출부호: HLSW, 주파수: 101.3㎒, 출력: 1㎾)
  • 2009년 10월 01일: 지상파 DMB Radio tbs DMB(현 TBS World) 비주얼 라디오 방송으로 전환
  • 2009년 10월 01일: 지상파 DMB TV(#Love tbs) 개국
  • 2010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0주년
  • 2011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1주년
  • 2011년 11월 30일: 지상파 DMB 오디오 채널 tbs DMB(TBS World) 방송 종료
  • 2012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2주년
  • 2013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3주년
  • 2013년 10월 14일 tbs eFM 중국어방송 개시
  • 2013년 12월 31일: 지상파 DMB TV(#Love TBS) 종료
  • 2014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4주년
  • 2014년 12월: HD 전환
  • 2015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5주년
  • 2016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6주년
  • 2016년 07월 04일: 방송사 신청사 이전 중구 예장동 →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로 이전
  • 2016년 09월 26일 : TBS FM 김어준의 뉴스공장 첫방송
  • 2017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7주년
  • 2017년 06월 12일: 라디오 계획 정파 주기 변경(매주 화요일 02시~05시 → 매월 첫째 주 화요일 02시~05시)
  • 2018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8주년
  • 2019년 0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9주년
  • 2020년 02월 17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재단법인 출범 (tbs 교통방송 →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 2020년 06월 11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개국 30주년
  • 2021년 02월 17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출범 1주년
  • 2021년 03월 22일: TBS eFM 베트남어 방송 개시(주말)
  • 2021년 06월 11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개국 31주년
  • 2022년 02월 17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출범 2주년
  • 2022년 06월 11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개국 32주년

방송 현황[편집]

TBS FM
  • 주파수: FM 95.1㎒, 호출부호: HLST
  • 가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부분 지역,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
TBS eFM
  • 주파수: FM 101.3㎒, 호출부호: HLSW
  • 가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부분 지역
TBS TV
  • 채널: 216번(KT 올레TV), 245번(LG U+ TV), 167번(SK B TV), 316번(양천, 북인천: 225번)(LG헬로비전), 216번(SK브로드밴드), 153번(딜라이브), 92-2, 169번(대구: 79-2)(CMB), 347번(HCN)
  • 가시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전 지역, 수도권 외 일부 지역

라디오 시보 (FM/eFM)[편집]

'이순간 내곁에 TBS~' FM 95.1㎒ 시민의 방송 TBS에서 OO시를 알려드립니다. (TBS FM - FM 95.1㎒)

'TBS eFM' The Time is OO(AM/PM) (TBS eFM - FM 101.3㎒)

'TBS eFM' TBS 为您报时 (晚/凌晨) OO点 (TBS eFM - FM 101.3㎒)

'TBS eFM' Xin Thông Báo Bây Giờ Là OO Giờ (TBS eFM - FM 101.3㎒)

한국교통방송[편집]

TBN 한국교통방송(韓國交通放送, 영어: Traffic Broadcasting Network)은 도로교통공단에서 운영하는 교통정보 전문 FM 방송이다.

상세
  • 한국명: TBN 한국교통방송
  • 한자표기: 韓國交通放送
  • 영문표기: Traffic Broadcasting Network
  • 약칭: TBN
  • 형태: 공영 방송
  • 개국일: 1997년 12월 20일
  • 주요 주주: 도로교통공단
  • 본사: 강원도 원주시 혁신로 2 (반곡관설동)
  • 사장: 이우호 (본부장)
  • 계열사: TBS 교통방송

역사[편집]

도로교통법 제123조(사업)에 명시된 '도로교통안전에 관한 홍보 및 방송', 공단 「정관」 제5조(사업) 제3호에 명시된 도로교통안전에 관한 홍보 및 방송과 교통정보의 수집 제공'를 근거로 들어 설립되었다. 1997년 12월 20일에는 광주교통방송부터 최초 개국으로 실시하며, 1997년 12월 23일에는 부산교통방송에 추가 개국으로 1999년 7월 14일에는 대전교통방송이 개국하였으며, 1999년 7월 30일에는 대구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 2000년 2월에는 경주에 FM중계소를 설치하였으며, 2000년 12월에는 서산, 충주에 FM중계소를 설치하였으며, 2001년 1월에는 광양, 진주, 울진 등에도 FM 중계소를 설치하였다.

2001년 10월 30일에는, 전북체신청으로부터 전주교통방송으로 허가를 받았고, 2001년 11월 13일에는 원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으며, 2001년 11월 30일에는 인천교통방송이 개국하였으며, 2002년 5월 15일에는 전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 2003년에는 원주교통방송을 강원교통방송으로 개명하였다. 2005년 10월 31일에는 TBN 교통방송에서 TBN 한국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바꿨다. 2005년 12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 YTN 임대채널 DMB를 통하여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공익채널이라는 특성으로 주파수 포화 문제로 FM 방송의 개국 흐름이 주춤하던 2010년대 이후로도 지역 광역권별로 방송이 잇달아 개국하면서 방송권역이 확대되고 있다. 2012년 7월 23일에 울산교통방송이 개국하였으며, 2013년 8월 26일에는 창원교통방송이 개국하였으며, 2014년 7월 9일에는 경북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 2015년 4월 30일 서울 DMB 방송을 종료하였으며, 서울방송센터는 전국방송 제작과 네트워크 유지관리 업무를 계속하고 있다.

2015년 11월 30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에서 강원도 원주시 반곡관설동으로 이전하였으며, 서울방송센터는 서초구 염곡동 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로 옮겼다.

2016년 8월 18일 제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

2018년 1월에는 창원교통방송에서 경남교통방송으로, 인천교통방송에서 경인교통방송으로, 전주교통방송에서 전북교통방송으로 각각 방송국명을 변경하였다.

2020년 1월 1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시작하였다. 정기정파는 마지막주 월요일 2시~6시이다.

2020년 11월 24일 충북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

뉴스 및 교통정보[편집]

  • TBN 뉴스 (평일): 10:00, 14:00, 16:00, 18:00
  • TBN 정오뉴스 (평일): 12:00
  • 교통정보 (06:00~22:00): 매시 15분, 30분, 45분, 55분
  • 교통정보 (11~12시, 14~16시, 20~22시): 매시 30분

방송 프로그램[편집]

다음은 TBN 서울방송센터에서 만드는 전국방송만 나열 (2022년 봄 개편 기준)

  • 6:00 굿모닝 코리아 - 박진희(평일) / 문주은(주말) (전국)
  • 8:52, 19:52 TBN 희망칼럼 (전국)
  • 11:00 평일 오토쇼 으라차차 - 김경식 / 주말 뉴스라이더 - 문희정 (전국)
  • 평일 14:05 방방곡곡 - 박철 / 주말 14:00 신나는 운전석 - 선우경 (전국)
  • 주말 16:00 TBN 가요충전소 - 김상태 (전국)
  • 21:53 함께해요 같이 사전
  • 22:00 낭만이 있는 곳에 - 김승현(평일) / 원미연(주말) (전국)
  • 24:00 한밤의 교차로 - 평일 이다슬 / 주말 안효진 (전국)
  • 02:00 음악에게 길을 묻다 - (전국)
  • 04:00 드라이브 IN 가요 - 홍태혁 (전국)
  • 지역방송시간대 7:00 ~ 10:55, 12:05 ~ 13:55, 16:00 ~ 21:53 (평일 한정)
  • 지역방송시간대 7:00 ~ 10:55, 12:00 ~ 13:55, 18:00 ~ 21:53 (주말 한정)

매일 새벽 5시 42분에는 TBN 재난재해 리포트가 방송된다.

설날과 추석 교통특별방송기간에는 특집 프로그램으로 'TBN 네트워크'가 아침 9시에 특별 편성된다.

라디오 시보[편집]

매 정시 1분 전에 교통 캠페인을 방송한 후 주파수·국명고지·호출부호 멘트(예: 대구교통방송 = '대구 FM 103.9, 김천 FM 95.9㎒ TBN 대구교통방송입니다. HLDU')와 로고송 후 시보멘트를 방송한다.

시보 멘트 부분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시보 ○시를 알려드립니다.'를 사용하다가 2008년 6월 22일 도로교통공단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도로교통공단 TBN에서 ○시를 알려드립니다.'로 바뀌었으며, 2011년 4월(DMB는 5월 1일)부터 '선진 교통문화의 리더 도로교통공단에서 ○시를 알려드립니다.'로 시보멘트를 변경하였다. 그 후 2019년 1월부터 '배려하는 교통문화의 동반자 도로교통공단에서 ○시를 알려드립니다.'로 시보멘트가 사용되고 있다.

시보음의 변화는 초기에는 표준 3초 시보를 사용하였다가 2009년 대구교통방송이 자체 멜로디 시보를 처음 도입한 것이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2011년 3월부터 기존 멜로디 시보음을 같은 음에 다른 버전으로 변경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각 지역별 시보멘트
  • 경인본부: FM 100.5㎒ TBN 경인교통방송입니다. HLSU
  • 강원본부 : TBN 강원교통방송입니다. HLSV
  • 전북본부: FM 102.5㎒ TBN 전북교통방송입니다. HLCM
  • 광주본부: FM 97.3㎒ TBN 광주교통방송입니다. HLDM
  • 충북본부: FM 103.3㎒ TBN 충북교통방송입니다. HLEO
  • 대구본부: TBN 대구교통방송 짝홀수 시보(00시, 01시, 02시, 03시, 04시, 05시, 06시, 07시, 08시, 09시, 11시, 13시, 15시, 17시, 19시, 20시, 21시, 22시, 23시) : FM 103.9㎒ TBN 대구교통방송 입니다. HLDU
  • 대구본부: TBN 대구교통방송 짝수 시보(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 대구 FM 103.9, 김천 FM 95.9㎒ TBN 대구교통방송입니다. HLDU
  • 경북본부: FM 103.5㎒ TBN 경북교통방송입니다. HLEF
  • 제주본부: FM 105.5㎒ TBN 제주교통방송입니다. HLEH
  • 울산본부: FM 104.1㎒ TBN 울산교통방송입니다. HLCV
  • 부산본부: FM 94.9㎒ 부산교통방송입니다. HLDN
  • 경남본부: FM 95.5㎒ TBN 경남교통방송입니다. HLEE
  • 대전본부: FM 102.9㎒ TBN 대전교통방송입니다. HLDT

전국 네트워크[편집]

지역본부 개국일 방송국 위치 교통정보무료제보 문자참여(100원)
TBN서울방송센터 2005년 12월 1일(DMB 개국)

2015년 4월 30일(DMB 폐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42 080-272-8000 #9977(전국방송)
TBN광주교통방송 1997년 12월 20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82번길 40 080-333-8000 #0973
TBN부산교통방송 1997년 12월 23일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68 080-450-8000 #0949
TBN대전교통방송 1999년 7월 14일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17 080-665-8000 #6001
TBN대구교통방송 1999년 7월 30일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20 080-664-8000 #1039
TBN강원교통방송 2001년 11월 13일 강원도 원주시 동부순환로 183 080-363-8000 #1059
TBN경인교통방송 2001년 11월 30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251 080-357-8000 #5001
TBN전북교통방송 2002년 5월 15일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정여립로 1097-10 080-776-8000 #1025
TBN울산교통방송 2012년 7월 23일 울산광역시 중구 함월7길 11 080-947-8000 #1041
TBN경남교통방송 2013년 8월 26일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천로94번길 82-4 080-210-8000 #9550
TBN경북교통방송 2014년 7월 9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삼흥로 95 080-240-8000 #3456
TBN제주교통방송 2016년 8월 18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기자길 101 080-248-8000 #1055
TBN충북교통방송 2020년 11월 24일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밀레니엄2로 45-25 080-220-8000 #1033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교통방송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