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위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위험 표지판 '''위험'''(危險)이란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거나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위험 표지판.png|썸네일|300픽셀|위험 표지판]]
 
[[파일:위험 표지판.png|썸네일|300픽셀|위험 표지판]]
'''위험'''(危險)이란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거나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304f5e1b67e43a2ad37e9faf68ef9d1 위험]〉, 《네이버국어사전》 </ref>
+
'''위험'''(危險)<!--위험-->이란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거나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304f5e1b67e43a2ad37e9faf68ef9d1 위험]〉, 《네이버국어사전》 </ref>
  
 
== 내용 ==
 
== 내용 ==
9번째 줄: 9번째 줄:
 
한국어에서는 위험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고유어로는 아슬아슬, 간당간당이 있지만, 기본 뜻이 달라서 딱 맞아떨어지는 고유어로 보기는 어렵다.
 
한국어에서는 위험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고유어로는 아슬아슬, 간당간당이 있지만, 기본 뜻이 달라서 딱 맞아떨어지는 고유어로 보기는 어렵다.
  
== 물류현장 위험요소 ==
+
== 음주운전 위험성 ==
[[파일:한국산업보건공단 재해건수 비교 자료.png|썸네일|300픽셀|한국산업보건공단 재해건수 비교 자료]]
+
'[[음주운전]]'이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물류현장은 다양한 위험이 잠재되어 있는 공간이다. 또한 대형장비들이 사용되는 항만도 산업재해를 비켜갈 수 없는 물류현장이다.
 
  
현장 안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 물류산업의 산업재해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산업보건공단의 산업재해현황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물류산업과 관련된 산업재해는 2018년 5,055건에서 2019년 5,950건으로 1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고]] 및 운수관련 서비스 업종에서의 산업재해건수의 증가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 행동능력이 떨어지고 신체적인 영향을 끼쳐 시야가 제한적이고 판단능력을 떨어트려 교통사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이 떨어지고 갑작스러운 빛의 노출에 일시적으로 시력을 상실한다. 위험의 발견이 지연되어 신호위반, 보행자사고, 정면출동사고 등이 많이 발생한다. 이성적 판단력이 저하된다. 적발이나 사고의 위험보다는 순간의 이득을 우선하고 충동적인 음주운전을 감행하여 과속과 잦은 진로변경, 난폭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간 지각능력이 저하되어 거리감각, 방향감각 상실로 역주행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음주운전은 운전행동능력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쳐 운전능력을 저하시키고 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잔이라도 술을 마신 상태라면 언제든지 사고위험성이 크고 특히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대처가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음으로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운전을 삼가야 한다.<ref name='도로교통공단'>도로교통공단 - https://www.koroad.or.kr/kp_web/index.do</ref>
  
한국산업보건공단의 자료를 살펴보면 2018년에 비해 2019년 재해건수는 육상 및 수상운수업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했다. 특히 창고 및 운수관련서비스업에서는 2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상승세가 심상치 않아 보인다. 철도·궤도·삭도·항공 운수업은 2019년 466건의 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8년 재해건수인 431건에 비해 36.7% 증가했다. 육상 및 수상운송업은 2019년 3,528건으로 2018년 4,056건에 비해 13% 감소했지만 창고 및 운수관련 서비스업은 2019년 1,956건으로 2018년 658건에 비해 197.3%로 대폭 증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
;음주운전 기준
 +
「도로교통법」제44조 제4항에 "제1항에 따라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퍼센트 이상인 경우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음주한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판단능력과 운동능력이 떨어져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통사고 가능성이 높아 한 잔의 술이라도 마셨을 때는 운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ref name='도로교통공단'></ref>
  
2019년 발생형태별 산재현황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사고는 육상 및 수상 운수업에서 사업장 외 교통사고가 1,837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 업종을 다 포함하면 1,954건으로 전체 산업재해에 32.8%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를 제외하면 넘어짐으로 인한 산업재해가 860건으로 14.5%차지하며 가장 많은 산업재해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일어날 수 있는 떨어지고, 넘어지고, 부딪치고, 끼이고, 물체에 맞아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비율은 전체의 44.0%로 사업장 외 교통사고보다 10% 이상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재의 위험요소가 교통사고의 위험보다 더 높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불균형 및 무리한 동작과 업무상 질병에 대한 비중도 17.1%로 적지 않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ref> 신인식 기자, 〈[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020 물류현장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요소들]〉, 《물류신문》, 2021-04-02 </ref>
+
;음주운전 위험성
 +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 행동능력이 떨어지고 신체적인 영향을 끼쳐 시야가 제한적이고 판단능력을 떨어트려 교통사고 가능성이 증가한다. 판단능력이 저하되어 위험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순간적인 판단이 늦어져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다.
 +
 
 +
*자기 능력을 과대평가하여. 주위의 만류에도 이 정도의 술로는 괜찮다고 하며 굳이 운전대를 잡는 등 자기의 운전기술을 자랑하고 싶어하는 충동을 느낄 수 있다.
 +
 
 +
*운전이 난폭해지고 조급한 행동이 많아진다.이성적 판단력이 저하된다. 적발이나 사고의 위험보다는 순간의 이득을 우선하고 충동적인 음주운전을 감행하여 과속과 잦은 진로변경, 난폭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핸들, 급브레이크 등 운전이 난폭해지고 신호를 무시하는 등 행동이 조급해진다.
 +
 
 +
*눈의 기능이 저하된다.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이 떨어지고 갑작스러운 빛의 노출에 일시적으로 시력을 상실한다. 위험의 발견이 지연되어 신호위반, 보행자사고, 정면출동사고 등이 많이 발생한다 .정상적인 사람도 야간에는 눈의 기능이 20~30% 저하되는데 음주 후에는 더욱 심하게 저하되고 시야가 좁아져 보행자나 옆 자동차 등 주변의 위험물을 보지 못할 수 있다.
 +
 
 +
*공간 지각능력이 저하되어 거리감각, 방향감각 상실로 역주행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
 
 +
*졸음 운전을 할 수 있다. 알코올을 마시면 잠이 잘 오기 때문에 음주운전 중에는 졸음이 오기 쉽다.
 +
 
 +
;음주운전 문제점
 +
*주의력·판단력·운동능력 등이 저하된 상태의 운전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고를 유발한다.
 +
 
 +
*음주로 인해 잘못된 운전 조작이나 운전 조작 생략 등에서 오는 사고가 잦다.
 +
 
 +
*대상의 움직임과는 상관없이 주정차 된 차량이나 도로 상의 정지물체, 운행 중인 다른 차, 보행자 등을 충격할 수 있다.
 +
 
 +
*음주운전과 무면허 운전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
*음주사고로 인한 처벌이 두려워 도주하게 된다.뻥소니 사고의 절반이 음주운전자이다.<ref name='도로교통공단'></ref>
 +
 
 +
==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시스템 ==
 +
[[파일: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구간 위험도 예측 → 교통안전 위험지도 표출.png|썸네일|300픽셀|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구간 위험도 예측 → 교통안전 위험지도 표출]]
 +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시스템인 'T-Safer(세이퍼)'국도에 적용해 2022년 8월 18일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
 
 +
T-Safer는 교통안전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사고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교통사고 예측 시스템으로, 교통안전공단이 KAIST와 협업해 최초로 개발한 시스템이다.
 +
 
 +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5월부터 17번 국도 여수∼순천 구간 48km와 21번 국도 전주∼익산 구간 23km를 시범사업 구간으로 정하고 교통사고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T-Safer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
 
 +
T-Safer는 기관별로 산재된 운전자 운행특성 정보, GIS 정보, 교통사고정보, 속도정보, 차량운행정보 등 교통안전 관련 데이터를 통합해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도로 구간을 500m 단위의 링크로 구분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각 구간마다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0~4단계로 예측하고 교통안전 위험지도에 표출한다.
 +
 
 +
구분된 링크 중 위험도가 3단계 이상인 구간은 위험요인 분석과 함께 종합 솔루션인 세이프티 리포트(Safety Report)를 작성해 매달 15일까지 도로운영자에게 제공한다.
 +
 
 +
솔루션이 포함된 리포트를 참고해 교통안전 개선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교통사고 예방대책에도 활용한다.
 +
 
 +
T-Safer 시스템은 폐쇄회로(CCTV) 화면을 기반으로 자동차 속도, 교통량, 위험운전 행동을 분석해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질 경우 실시간으로 전광판(VMS)을 통해 운전자에게 교통사고 위험성을 알려주는 기능도 선보인다.
 +
 
 +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국도 구간에서의 시범운영 결과에 따라 기타 국도구간, 도심지역 등 다양한 분야로 T-Safer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
 
 +
또 장기적으로 T-Safer를 플랫폼에 구현해 교통안전 담당자가 바뀌더라도 일관되고 과학적 안전관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해 나갈 계획이다.<ref> 국토교통부,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4784 AI로 교통사고 위험 예측…국토부 ‘T-Safer’ 시범운영]〉,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2-08-16 </ref>
  
 
==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개선 ==
 
==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개선 ==
32번째 줄: 74번째 줄:
  
 
행안부는 앞으로도 고령자 및 장애인들이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고 접수된 안전신고가 잘 처리되고 있는지 실태 점검을 강화해 안전신문고를 통해 국민이 안전 위험요인이 감소된 것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ref> 김원진 기자,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629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397만건 개선…안전신문고 전년비 2.6배]〉, 《대한전문건설신문》, 2022-03-14 </ref>
 
행안부는 앞으로도 고령자 및 장애인들이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고 접수된 안전신고가 잘 처리되고 있는지 실태 점검을 강화해 안전신문고를 통해 국민이 안전 위험요인이 감소된 것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ref> 김원진 기자,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629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397만건 개선…안전신문고 전년비 2.6배]〉, 《대한전문건설신문》, 2022-03-14 </ref>
 
== 소홀하기 쉬운 가정에서의 위험요소 ==
 
*가구는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배치한다.
 
*계단에는 손잡이를 설치한다.
 
*손이 닿지 않는 곳은 사다리를 사용한다.
 
*전기기구의 코드는 걸어다니는 곳에 설치하지 않는다.
 
*과다한 왁스는 위헙하다.
 
*안정된 속도(천천히)로 걷는다.
 
*구두에 걸리지 않도록 바지길이를 적당히 유지한다.
 
*엎지러진 물이나 기름은 즉시 닦아낸다.
 
*계단에 물건을 놓지 않는다.
 
*물건을 운반 할 때 시야가 보이도록 한다.
 
*층계나 출입이 빈번한 통로는 밝게 한다.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장난감 및 물건 등은 정리정돈하여 둔다.
 
*어두운 곳에서 더듬 거리는 것을 피한다.
 
*계단의 위나 아래에 깔판등 미끄러운 것을 놓지 않는다.
 
*부서진 마루나 마모된 바닥은 미리 수선한다.
 
*무거운 물건을 함부로 들거나 옮기기 위해 무리한 동작, 급격한 동작은 돌발적요통의 원인이 된다.
 
*맞지 않는 공구는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작은 위험도 방치하면 큰 위험이 된다.
 
*샤워장이나 욕조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잡이를 설치한다.
 
*의자 등 불안전한 발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비오는 날 현관에 우산꽂이를 준비하고 흘린 빗물은 즉시 닦는다.
 
*무딘 칼이라도 함부로 다루지 않는다. 손을 베이거나 절단 되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
 
*추락사고는 높은 곳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키와 비슷한 곳에서 주로발생한다는 것을 명심 해야 한다.
 
  
 
{{각주}}
 
{{각주}}
62번째 줄: 79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namu.wiki/w/%EC%9C%84%ED%97%98 위험]〉,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9C%84%ED%97%98 위험]〉, 《나무위키》
* 〈[https://www.busan.go.kr/depart/safelife01 소홀하기 쉬운 가정에서의 위험요소]〉, 《부산광역시》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304f5e1b67e43a2ad37e9faf68ef9d1 위험]〉, 《네이버국어사전》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304f5e1b67e43a2ad37e9faf68ef9d1 위험]〉, 《네이버국어사전》
* 신인식 기자, 〈[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020 물류현장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요소들]〉, 《물류신문》, 2021-04-02
+
* 도로교통공단 - https://www.koroad.or.kr/kp_web/index.do
 +
* 국토교통부,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4784 AI로 교통사고 위험 예측…국토부 ‘T-Safer’ 시범운영]〉,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2-08-16
 
* 김원진 기자,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629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397만건 개선…안전신문고 전년비 2.6배]〉, 《대한전문건설신문》, 2022-03-14
 
* 김원진 기자,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629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397만건 개선…안전신문고 전년비 2.6배]〉, 《대한전문건설신문》, 2022-03-14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손실]]
 
* [[손실]]
* [[창고]]
 
* [[사진]]
 
* [[동영상
 
 
* [[표지판]]
 
* [[표지판]]
 +
* [[자동차]]
 +
* [[음주운전]]
 +
* [[교통사고]]
  
 
{{교통|검토 필요}}
 
{{교통|검토 필요}}

2022년 10월 9일 (일) 08:58 기준 최신판

위험 표지판

위험(危險)이란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거나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1]

내용[편집]

전자제품의 설명서나 표지판 등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인데, 경고보다도 더욱 강한 의미를 줄 때 쓰이는 말이다. 경고는 그나마 주의를 주는 의미이지만, 위험은 그렇게 하지 말라는 명령의 의미가 강하다.

표지판 등의 이미지 색상은 빨간색이며, 주로 해골이나 느낌표가 들어간다.

한국어에서는 위험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고유어로는 아슬아슬, 간당간당이 있지만, 기본 뜻이 달라서 딱 맞아떨어지는 고유어로 보기는 어렵다.

음주운전 위험성[편집]

'음주운전'이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 행동능력이 떨어지고 신체적인 영향을 끼쳐 시야가 제한적이고 판단능력을 떨어트려 교통사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이 떨어지고 갑작스러운 빛의 노출에 일시적으로 시력을 상실한다. 위험의 발견이 지연되어 신호위반, 보행자사고, 정면출동사고 등이 많이 발생한다. 이성적 판단력이 저하된다. 적발이나 사고의 위험보다는 순간의 이득을 우선하고 충동적인 음주운전을 감행하여 과속과 잦은 진로변경, 난폭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간 지각능력이 저하되어 거리감각, 방향감각 상실로 역주행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음주운전은 운전행동능력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쳐 운전능력을 저하시키고 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잔이라도 술을 마신 상태라면 언제든지 사고위험성이 크고 특히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대처가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음으로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운전을 삼가야 한다.[2]

음주운전 기준

「도로교통법」제44조 제4항에 "제1항에 따라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퍼센트 이상인 경우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음주한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판단능력과 운동능력이 떨어져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통사고 가능성이 높아 한 잔의 술이라도 마셨을 때는 운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2]

음주운전 위험성
  •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 행동능력이 떨어지고 신체적인 영향을 끼쳐 시야가 제한적이고 판단능력을 떨어트려 교통사고 가능성이 증가한다. 판단능력이 저하되어 위험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순간적인 판단이 늦어져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다.
  • 자기 능력을 과대평가하여. 주위의 만류에도 이 정도의 술로는 괜찮다고 하며 굳이 운전대를 잡는 등 자기의 운전기술을 자랑하고 싶어하는 충동을 느낄 수 있다.
  • 운전이 난폭해지고 조급한 행동이 많아진다.이성적 판단력이 저하된다. 적발이나 사고의 위험보다는 순간의 이득을 우선하고 충동적인 음주운전을 감행하여 과속과 잦은 진로변경, 난폭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핸들, 급브레이크 등 운전이 난폭해지고 신호를 무시하는 등 행동이 조급해진다.
  • 눈의 기능이 저하된다. 음주운전을 하게 되면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이 떨어지고 갑작스러운 빛의 노출에 일시적으로 시력을 상실한다. 위험의 발견이 지연되어 신호위반, 보행자사고, 정면출동사고 등이 많이 발생한다 .정상적인 사람도 야간에는 눈의 기능이 20~30% 저하되는데 음주 후에는 더욱 심하게 저하되고 시야가 좁아져 보행자나 옆 자동차 등 주변의 위험물을 보지 못할 수 있다.
  • 공간 지각능력이 저하되어 거리감각, 방향감각 상실로 역주행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 졸음 운전을 할 수 있다. 알코올을 마시면 잠이 잘 오기 때문에 음주운전 중에는 졸음이 오기 쉽다.
음주운전 문제점
  • 주의력·판단력·운동능력 등이 저하된 상태의 운전으로 다양한 유형의 사고를 유발한다.
  • 음주로 인해 잘못된 운전 조작이나 운전 조작 생략 등에서 오는 사고가 잦다.
  • 대상의 움직임과는 상관없이 주정차 된 차량이나 도로 상의 정지물체, 운행 중인 다른 차, 보행자 등을 충격할 수 있다.
  • 음주운전과 무면허 운전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음주사고로 인한 처벌이 두려워 도주하게 된다.뻥소니 사고의 절반이 음주운전자이다.[2]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시스템[편집]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구간 위험도 예측 → 교통안전 위험지도 표출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시스템인 'T-Safer(세이퍼)'를 국도에 적용해 2022년 8월 18일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T-Safer는 교통안전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사고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교통사고 예측 시스템으로, 교통안전공단이 KAIST와 협업해 최초로 개발한 시스템이다.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5월부터 17번 국도 여수∼순천 구간 48km와 21번 국도 전주∼익산 구간 23km를 시범사업 구간으로 정하고 교통사고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T-Safer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T-Safer는 기관별로 산재된 운전자 운행특성 정보, GIS 정보, 교통사고정보, 속도정보, 차량운행정보 등 교통안전 관련 데이터를 통합해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도로 구간을 500m 단위의 링크로 구분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각 구간마다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0~4단계로 예측하고 교통안전 위험지도에 표출한다.

구분된 링크 중 위험도가 3단계 이상인 구간은 위험요인 분석과 함께 종합 솔루션인 세이프티 리포트(Safety Report)를 작성해 매달 15일까지 도로운영자에게 제공한다.

솔루션이 포함된 리포트를 참고해 교통안전 개선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교통사고 예방대책에도 활용한다.

T-Safer 시스템은 폐쇄회로(CCTV) 화면을 기반으로 자동차 속도, 교통량, 위험운전 행동을 분석해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질 경우 실시간으로 전광판(VMS)을 통해 운전자에게 교통사고 위험성을 알려주는 기능도 선보인다.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국도 구간에서의 시범운영 결과에 따라 기타 국도구간, 도심지역 등 다양한 분야로 T-Safer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 T-Safer를 플랫폼에 구현해 교통안전 담당자가 바뀌더라도 일관되고 과학적 안전관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해 나갈 계획이다.[3]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개선[편집]

행정안전부 포스트

2021년 안전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494만여건의 안전신고 중 80%인 397만여건이 개선됐다.

안전신문고는 국민 누구나 생활 속 안전 위험 요인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찍어 쉽게 신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홈페이지(safetyreport.go.kr)나 앱(APP, '안전신문고')을 통해 신고가 가능하다.

지난 2021년 접수 건수는 494만건으로 이는 전년 대비 2.6배 규모이며, 하루 최대 1만7548건으로 일평균 1만3537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2021년 안전신문고에 접수된 신고현황을 분석해 보면, 불법주정차 신고 285만건(57.6%), 도로·시설 파손 등 안전신고 140만건(28.3%), 생활불편신고 48만건(9.7%), 코로나19 신고 21만건(4.4%)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37만건(27.1%)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59만건(12.0%), 인천 37만건(7.5%) 등 수도권에서 전체 신고의 46.6%를 차지했다.

행안부는 앞으로도 고령자 및 장애인들이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고 접수된 안전신고가 잘 처리되고 있는지 실태 점검을 강화해 안전신문고를 통해 국민이 안전 위험요인이 감소된 것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4]

각주[편집]

  1. 위험〉, 《네이버국어사전》
  2. 2.0 2.1 2.2 도로교통공단 - https://www.koroad.or.kr/kp_web/index.do
  3. 국토교통부, 〈AI로 교통사고 위험 예측…국토부 ‘T-Safer’ 시범운영〉,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2-08-16
  4. 김원진 기자, 〈일상 생활 속 잠재적 위험요소 397만건 개선…안전신문고 전년비 2.6배〉, 《대한전문건설신문》, 2022-03-14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위험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