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ghao1116 (토론 | 기여) |
(차이 없음)
|
2023년 1월 20일 (금) 14:27 기준 최신판
광역교통(廣域交通)이란 둘 이상의 대도시를 오가는 교통수단을 뜻한다.
광역교통 2030[편집]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019년 10월 '광역교통 2030'을 발표했다. '광역교통 2030'은 앞으로 10년간 대도시권 광역교통의 정책 방향과 광역교통의 미래모습을 제시하는 기본구상으로 광역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의 3대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세계적 수준의 급행 광역교통망 구축 ▲버스·환승 편의증진 및 공공성 강화 ▲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혁신 ▲혼잡·공해 걱정 없는 미래교통 구현의 4대 중점 과제와 대도시권 권역별 광역교통 구상을 담고 있다.
우선 국토부는 주요거점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역철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수도권 주요거점을 광역급행철도로 빠르게 연결하여, 파리, 런던 등 세계적 도시 수준의 광역교통망을 완성할 계획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2023년), 신안산선(2024년)은 계획대로 차질없이 준공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 B·C노선은 조기 착공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수도권 인구의 77%가 급행철도의 수혜지역에 해당하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
추가로, 급행철도 수혜지역 확대를 위하여 서부권 등에 신규노선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4호선(과천선) 등 기존 광역철도 노선을 개량하여 급행운행을 실시하고, 인덕원~동탄 등 신설되는 노선도 급행으로 건설해 급행 운행비율을 현재의 2배 이상(16%→35%)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대도시권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간다.
유기적인 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수인선, 대곡~소사 등 동서·남북축을 보강하고, 사상~하단선(부산·울산권), 광주 2호선(광주권) 등 도시내 이동성 강화를 위한 도시철도를 지속해서 확충할 계획이다. 아울러, 일광∼태화강('21, 부산·울산권) 등 기존 철도노선을 활용한 광역철도 운행으로 수송능력을 증대할 예정이다.
광역버스의 대폭 확대와 함께 서비스도 향상한다.
우선 M버스 운행지역을 지방 대도시권까지 확대하는 등 운행노선을 대폭 확충하고, 정류장 대기 없이 M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 노선으로 예약제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어서 속도 경쟁력과 대용량 수송능력을 갖춘 고속 BTX(Bus Transit eXpress) 서비스를 도입하여 기존 광역버스보다 이동시간을 30% 이상 단축할 계획이다. 고속 전용차로와 함께 정체가 심한 종점부 구간에는 지하에 전용차로 및 환승센터를 설치하여 이동속도를 30% 이상 향상하는 방안을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할 예정이다.
선제적 광역교통대책으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쪼개기·연접개발 방식으로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을 회피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대책의 수립기준을 2배로 강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지구지정 단계부터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에 착수하여 입주시기와 광역교통시설 개통시기의 시차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광역교통시설의 투자체계를 개편하고, 광역교통정책의 이행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예컨대 광역교통 시설 및 운영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현재 5% 수준인 광역교통 투자비율을 상향하는 한편, 대도시권역별 위원회, 광역교통갈등관리위원회 등 광역교통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가 함께 참여하여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마음껏 숨 쉴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 도시를 실현한다.
2020년부터 광역버스 노선에 2층 전기버스를 운행하는 등 대중교통 수단을 CNG, 수소 등 친환경차량으로 전환하고, 역사(驛舍) 등에 공기정화시설을 확충하여 '미세먼지 안심지대'로 조성해 나간다.
최종 목적지까지 끊김 없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전통적 대중교통 수단(광역버스, GTX 등)과 공유형 이동수단(전동킥보드, 공유자전거 등)을 결합하여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자가용 수준의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시 내 모든 교통수단을 분석하여 개인별 최적 통행플랜을 제시하고 일괄 예약과 결제까지 가능한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1]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1~'25)[편집]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021년 7월,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1~'25)'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1~'25)'은 '경계를 넘어 권역의 상생발전을 이끄는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을 비전으로 권역별 여건을 고려한 추진전략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권역별 광역교통망 계획과 광역교통 개선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역별 광역교통시설 및 통행 현황, 장래 여건 진단에 기초한 권역별 추진전략, 광역교통망 구축·운영 계획을 제시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및 광역BRT 등 광역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광역버스 준공영제 확대를 통해 대중교통 공공성을 강화한다.
아울러,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적기에 추진하고, 광역급행철도와 연계하여 환승센터를 적기에 구축하는 한편, 합리적 광역교통 요금체계도 확립할 계획이다.
부산·울산권은 일반철도의 광역철도 활용 및 신규 광역철도 추진 등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확충한다.
광역도로, 광역BRT 확충 등으로 권역내 연계를 강화하고, 광역환승할인 확대 및 통합요금제 시행도 추진한다.
대구권은 광역철도 확충 및 대중교통 환승·연계체계 강화, 광역도로 신설·확장 등을 통한 소통애로 구간 개선을 추진한다.
아울러, 대구·경북 광역교통 거버넌스 구축 및 광역교통 모니터링 전담기관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광주권은 신규 광역철도 추진, 광역버스체계 및 통합요금제 도입 등을 통해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확충한다.
광역교통 이용자의 환승 편의 증진을 위해 기존 도시철도역사 중심의 환승 및 연계교통망 구축 등 지역 간 이동성도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권은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BRT, 광역환승센터 등 전반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해 원활한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광역버스 확대 및 광역교통 요금체계 구축,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통합교통서비스 도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시행계획에 반영된 광역교통시설은 총 122개로 광역철도 41개, 광역도로 25개, 광역BRT 12개, 환승센터 44개 등이다.[2]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편집]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생활권이 광역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광역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년 설립됐다. 수도권을 비롯 전국 5개 대도시권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컨트롤타워로서 광역철도, 도시철도, 광역도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광역버스, 환승센터 구축 등의 사업을 맡고 있다.
대광위는 국민의 약 80%가 대도시권에 거주하면서 발생하는 광역교통문제를 해결해나갈 예정이다. 지자체 간 사무조정을 전담하는 최초의 국가기관이며 국가와 지자체 간 협업형 조직이다.
대광위는 국토부가 수행했던 광역교통계획 수립과 M버스 면허 등의 광역교통 업무를 담당한다. 또 지자체간 협의 지연이나 행정·투자의 사각지대 발생 등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위원회는 상임위원장(정무직)과 교통전문가, 관계부처 실장급, 대도시권 부단체장 등으로 구성된 30인 이내의 합의기구로 운영된다.
위원회 아래에 관할 권역의 안건 심의·의결을 위한 권역별 위원회 및 상정안건의 사전 검토·조정을 위한 실무위원회를 둔다.
광역교통본부는 상임위원을 겸임하는 본부장 아래에 기획총괄과, 광역교통정책국, 광역교통운영국 등 2개국 7개과로 구성된다.
광역교통정책국은 광역교통계획을 수립·정비하는 역할을 맡는다.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담당하는 광역교통정책과, 광역버스 노선총괄계획·노선조정·준공영제를 담당하는 광역버스과, 교통비절감을 위한 광역알뜰카드·연락운송 협의를 담당하는 광역교통요금과로 구성된다.
광역교통운영국은 광역도로·혼잡도로, 광역철도·도시철도 사업을 총괄하는 광역시설운영과, BRT 계획·설계·건설을 총괄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과, 환승센터 계획·설계·건설을 총괄하는 광역환승시설과로 이뤄진다.[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김창길 기자, 〈광역교통 2030, '대도시권 광역교통망' 대대적 재편 꿈꿔〉, 《토목뉴스》, 2019-11-01
- ↑ 〈광역철도 등 향후 5년간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계획 마련〉, 《소비자를위한신문》, 2021-07-06
- ↑ 류승훈 기자, 〈광역교통문제 컨트롤타워 역할 ‘대도시권 광역교통위’ 19일 출범〉, 《대한전문건설신문사》, 2019-03-12
참고자료[편집]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나무위키》
- 박기용 기자, 〈대도시 광역 교통수단, 으뜸은 ‘철도’〉, 《한겨레》, 2019-04-24
- 김승종 기자, 〈전국 대도시권 광역교통문제 컨트롤타워 인프라 확충·첨단미래교통 구현 ‘진두지휘’〉, 《제주일보》, 2021-10-17
- 김창길 기자, 〈광역교통 2030, '대도시권 광역교통망' 대대적 재편 꿈꿔〉, 《토목뉴스》, 2019-11-01
- 〈광역철도 등 향후 5년간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계획 마련〉, 《소비자를위한신문》, 2021-07-06
- 류승훈 기자, 〈광역교통문제 컨트롤타워 역할 ‘대도시권 광역교통위’ 19일 출범〉, 《대한전문건설신문사》, 2019-03-12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