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 |
| ==최근 현황== | | ==최근 현황== |
− | ===장내기능시험 직각주차 추가=== | + | ===장내 기능시험 직각주차 추가=== |
− | 2016년 12월 22일부터 장내기능시험은 경사로, 좌/우회전, 직각주차, 신호 교차로, [[가속]]이 추가됐다. 주행거리도 300m 정도로 길어지면서 시험을 보는 데 15분 정도 걸렸다. 학과시험은 30문항에서 1000문항으로 늘었고, 도로주행은 평가항목이 87개에서 59개로 줄었다. [[경찰청]] 관계자는 “운전면허시험을 간소화시킨 2010년 이전의 장내기능시험 합격률은 69.6%였는데 2016년 10월 기준 92.8%까지 치솟았다”며 “2016년 말 새로운 코스를 적용하면 다시 70%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2015년 10월 19일부터 11월 22일까지 운전면허가 없는 응시생 40명에게 변경되는 장내기능시험을 적용하니 합격률이 80%였다. 새로 추가된 신호 [[교차로]] 구간에서 신호를 위반하거나 앞 범퍼가 정지선을 넘으면 감점이 아니라 바로 실격이다. 가장 어려운 코스는 주차 능력을 검증하는 직각주차였다. 2010년 이전에도 있었지만 도로 폭이 3.5m에서 3m로 좁아졌고 [[바퀴]]가 [[차선]]을 밟은 경우, 주차 완료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은 경우, 지정 시간인 2분을 초과한 경우 각각 10점이 감점된다. 또한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에선 두 기자 모두 감점을 당했다. 현행 시험에서는 출발하고 종료할 때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아도 된다. 새 시험에서는 방향을 전환할 때, 출발할 때, 종료할 때 모두 방향지시등을 켜야 한다. 김호진 도로교통공단 면허시험처 차장은 “가장 많이 실수하는 게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출발하는 것”이라며 “시험이 까다로워지면서 사소한 것에서 실수를 줄여야 합격권 내에 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ref>이성원 기자,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021010023 직각주차·경사로… ‘불면허’ 시험 예고]〉, 《서울신문》, 2016-10-21</ref> | + | 2016년 12월 22일부터 장내 기능시험은 경사로, 좌/우회전, 직각주차, 신호 교차로, [[가속]]이 추가됐다. 주행거리도 300m 정도로 길어지면서 시험을 보는 데 15분 정도 걸렸다. 학과시험은 30문항에서 1,000문항으로 늘었고, 도로 주행은 평가항목이 87개에서 59개로 줄었다. [[경찰청]] 관계자는 “운전면허시험을 간소화시킨 2010년 이전의 장내 기능시험 합격률은 69.6%였는데 2016년 10월 기준 92.8%까지 치솟았다”며 “2016년 말 새로운 코스를 적용하면 다시 70%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2015년 10월 19일부터 11월 22일까지 운전면허가 없는 응시생 40명에게 변경되는 장내 기능시험을 적용하니 합격률이 80%였다. 새로 추가된 신호 [[교차로]] 구간에서 신호를 위반하거나 앞 범퍼가 정지선을 넘으면 감점이 아니라 바로 실격이다. 가장 어려운 코스는 주차 능력을 검증하는 직각주차였다. 2010년 이전에도 있었지만 도로 폭이 3.5m에서 3m로 좁아졌고 [[바퀴]]가 [[차선]]을 밟은 경우, 주차 완료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은 경우, 지정 시간인 2분을 초과한 경우 각각 10점이 감점된다. 또한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에선 두 기자 모두 감점을 당했다. 현행 시험에서는 출발하고 종료할 때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아도 된다. 새 시험에서는 방향을 전환할 때, 출발할 때, 종료할 때 모두 방향지시등을 켜야 한다. 김호진 도로교통공단 면허시험처 차장은 “가장 많이 실수하는 게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출발하는 것”이라며 “시험이 까다로워지면서 사소한 것에서 실수를 줄여야 합격권 내에 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ref>이성원 기자,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021010023 직각주차·경사로… ‘불면허’ 시험 예고]〉, 《서울신문》, 2016-10-21</ref> |
| | | |
| {{각주}} | | {{각주}} |
2021년 5월 24일 (월) 16:58 판
직각주차(直角駐車)는 도로방향에 대해 도로의 연석이나 주차장 벽면과 자동차가 직각을 이루도록 주차하는 방식이다. T자 주차 또는 티자 주차라고 불린다.
주차방법
직각 후진주차
직각 후진주차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주차 방법이다. 주차할 때에는 가능한 브레이크만 사용해 주차하도록 한다. 첫 단계는 주차된 차량인 A와 B 사이를 나란히 5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진입하며, 주차된 차량과의 거리가 중요한데 1m가 넘지 말아야 좀 더 쉽게 들어갈 수 있다. 그 다음 자신의 차의 뒤범퍼 선이 B 차량의 중간에 이르렀다고 생각하면 정지한다. 그리고 핸들을 오른쪽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 후, 후진 기어를 넣고 서서히 주차 공간 안으로 진입한다. 이때 오른쪽 사이드미러를 통해 자신의 차의 조수석 쪽 뒤범퍼와 B 차량의 운전석 쪽 앞 모서리의 간격을 확인한다. 이어서 왼쪽 사이드미러를 통해 운전자의 차와 A 차량의 조수석 쪽 모서리와의 간격을 확인한다. 만약, 공간이 좁다면 오른쪽 뒷바퀴를 B 차량에 가깝게 붙인다는 느낌으로 핸들을 조작하는 것이 좋다. 그 다음 자동차가 주차 공간의 1/3 지점까지 들어가 옆 차와 수평이 됐다고 생각되면 핸들을 풀어 정중앙에 놓고 후진을 한다. A, B 차량 사이의 간격을 직접 고개를 돌려 확인한 후 만약 어떤 한쪽에 너무 붙게 되면 간격이 넓은 차 쪽으로 핸들을 조금 풀어 앞으로 갔다가 다시 핸들을 정중앙에 놓고 후진해 진입한다. 그 후, 옆 차와 사이드미러 위치가 비슷해지면 차를 세운다.[1]
직각 전진주차
직각주차를 전진으로 많이 사용하진 않지만 조경보호 문제로 전면 주차를 요구하는 주차장이 많아져 주차방법을 익혀 놓는 것이 좋다. 주차 과정이 바로 눈앞에 보여 주차가 더 쉽다고 느껴지지만, 실제로 많은 운전자들이 후진 주차보다는 전진 주차가 더 어렵다고 말한다. 주차공간이 넓은 편이라 해도 한 번에 차를 넣기는 쉽지 않아 두세 번 정도는 넣었다 뺐다를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첫 단계는 주차되어 있는 차량 A와 평행하게, 1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진입한다. 후진 주차와는 반대로 주차된 차량과 자신의 차 거리가 멀수록 더 쉽게 주차할 수 있다. 운전자 차의 오른쪽 사이드미러가 A 차량의 왼쪽 끝선에 이르면 정지한다. 그 다음 핸들을 오른쪽으로 끝까지 돌려 주차 공간 안으로 진입한다. 운전자는 오른쪽 보다는 왼쪽의 상황을 더 잘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내 차를 B 차량에 가깝게 붙인다는 느낌으로 들어가면 도움이 된다. 진입할 때는 오른쪽 사이드미러를 통해 자신의 차 조수석 옆면이 A 차량의 모서리에 닿는지 확인하고 이어 왼쪽 앞범퍼가 B 차량의 모서리에 닿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 다음 전진 주차는 거의 한 번에 넣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차 공간으로 진입하던 중간 다시 후진해야할 일이 생길 수 있는데, 이때에는 핸들을 정중앙에 놓고 후진해야 양쪽 옆 차와 부딪히지 않는다. 후진한 다음에는 다시 양쪽 차량과의 간격을 확인하면서 핸들을 조금씩 돌려 진입한다.[1]
최근 현황
장내 기능시험 직각주차 추가
2016년 12월 22일부터 장내 기능시험은 경사로, 좌/우회전, 직각주차, 신호 교차로, 가속이 추가됐다. 주행거리도 300m 정도로 길어지면서 시험을 보는 데 15분 정도 걸렸다. 학과시험은 30문항에서 1,000문항으로 늘었고, 도로 주행은 평가항목이 87개에서 59개로 줄었다. 경찰청 관계자는 “운전면허시험을 간소화시킨 2010년 이전의 장내 기능시험 합격률은 69.6%였는데 2016년 10월 기준 92.8%까지 치솟았다”며 “2016년 말 새로운 코스를 적용하면 다시 70%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2015년 10월 19일부터 11월 22일까지 운전면허가 없는 응시생 40명에게 변경되는 장내 기능시험을 적용하니 합격률이 80%였다. 새로 추가된 신호 교차로 구간에서 신호를 위반하거나 앞 범퍼가 정지선을 넘으면 감점이 아니라 바로 실격이다. 가장 어려운 코스는 주차 능력을 검증하는 직각주차였다. 2010년 이전에도 있었지만 도로 폭이 3.5m에서 3m로 좁아졌고 바퀴가 차선을 밟은 경우, 주차 완료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은 경우, 지정 시간인 2분을 초과한 경우 각각 10점이 감점된다. 또한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에선 두 기자 모두 감점을 당했다. 현행 시험에서는 출발하고 종료할 때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아도 된다. 새 시험에서는 방향을 전환할 때, 출발할 때, 종료할 때 모두 방향지시등을 켜야 한다. 김호진 도로교통공단 면허시험처 차장은 “가장 많이 실수하는 게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출발하는 것”이라며 “시험이 까다로워지면서 사소한 것에서 실수를 줄여야 합격권 내에 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2]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직각주차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교통 : 교통 □■⊕, 교통수단, 운전, 운송, 도로, GTX역, KTX역, 수도권 지하철역, 인천 지하철역, 부산 지하철역, 대구 지하철역, 대전 지하철역, 광주 지하철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구, 국가어항, 한국철도, 중국철도, 일본철도
|
|
교통
|
BIS • ITS • UTIS • 감응신호시스템 • 경로 • 광역교통 • 교통 • 교통경찰 • 교통량 • 교통로 • 교통망 • 교통방송 • 교통법규 • 교통상황 • 교통수단 • 교통시설 • 교통신호 • 교통안내 • 교통약자 • 교통약자법 • 교통약자 스마트 횡단 시스템 • 교통 인프라 • 교통정보 • 교통정체 • 교통체계 • 교통체증 • 교통카드 • 교통혼잡 • 교통혼잡구간 • 구간 • 급행 •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 • 대중교통 • 도로교통 • 도시 교통정보 시스템(UTIS) • 도착정보시스템 • 버스우선신호체계 • 버스정보시스템(BIS) • 수상교통 • 시설 • 신호 • 신호기 • 신호등 • 신호체계 • 완행 • 육상교통 •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ITS) • 철도교통 • 최단경로 • 통근 • 항공교통 • 해양교통 • 환승터미널
|
|
교통사고
|
112 • 2차사고 • 가해 • 가해자 • 가해차량 • 견인 • 경미 • 고의 • 고의사고 • 고장 • 과실 • 교통사고 • 교통사고 후 미조치 • 구조 • 구조대 • 구호 • 긴급 • 긴급출동 • 다중추돌 • 단독사고 • 단순도주 • 당사자 • 대물 • 대물배상 • 대물사고 • 대인 • 대인배상 • 대인사고 • 대형사고 • 도망 • 도주 • 도주차량 • 도주치상 • 로드킬 • 마약운전 • 만취 • 만취사고 • 만취운전 • 면허정지 • 면허취소 • 목격자 • 무단횡단 • 무단횡단사고 • 무면허운전 • 물피도주 • 미수리 • 미수선 • 미수선 수리비 • 미조치 • 반사조끼 • 배상 • 배상금 • 버스사고 • 보행자사고 • 보호장구 • 부주의 • 분손 • 분손매각 • 뺑소니 • 사건 • 사고 • 사고처리 • 사고현장 • 삼각경고판 • 선박사고 • 소실 • 손괴 • 손상 • 손해 • 스키드마크 • 승용차사고 • 승합차사고 • 신고 • 신고자 • 신호위반 • 쌍방과실 • 안전 • 안전수칙 • 안전장비 • 안전조끼 • 약물운전 • 연락처 • 연쇄추돌 • 오손 • 오토바이사고 • 위험 • 유기 • 유기도주 • 음주 • 음주단속 • 음주운전 • 음주측정 • 음주측정거부 • 이중청구 • 인명구조 • 임의전손 • 자동차사고 • 자전거사고 • 잔고장 • 잔존물 • 잔존물대위권 • 재난 • 재난로봇 • 재해 • 전복 • 전복사고 • 전손 • 전손검사 • 전손매각 • 전손부활 • 전손사고 • 전손차량 • 전손처리 • 절대전손 • 접촉사고 • 정면충돌 • 조치 • 주의 • 준사고 • 중앙선침범 • 차대차사고 • 차량번호 • 차량사고 • 차량전복 • 참사 • 천재지변 • 철도사고 • 청구 • 추돌 • 추돌사고 • 추락 • 추락사고 • 추정전손 • 충돌 • 충돌사고 • 킥보드사고 • 타이어 펑크 • 택시사고 • 트럭사고 • 파손 • 파오손 • 피해 • 피해자 • 피해차량 • 합의 • 합의금 • 항공사고 • 헬멧 • 현장 • 혈중알콜농도 • 화물차사고 • 횡단보도사고 • 횡단사고 • 후진사고(역돌사고) • 훼손
|
|
치료
|
119 • 가슴 • 간병 • 간병사 • 간병인 • 간호 • 간호사 • 간호학 • 갈비뼈 • 감염 • 건강 • 검사 • 검사비 • 경상 • 경상환자 • 경증 • 고열 • 골절 • 과잉진료 • 관절 • 구급 • 구급차(앰뷸런스) • 귀 • 근육 • 급성 • 급성질환 • 기절 • 나이롱환자 • 난치 • 내과 • 뇌진탕 • 뇌출혈 • 눈 • 다리 • 대증요법 • 도수치료 • 동공 • 두통 • 뜸 • 링거액 • 마비 • 마약 • 마취 • 만성 • 만성질환 • 맥박 • 머리 • 목 • 목숨 • 몸 • 몸통 • 무릎 • 물리치료 • 물리치료사 • 박동 • 반신 • 반신불수 • 발 • 발열 • 배 • 병 • 병동 • 병신 • 병실 • 병실사정 • 병원 • 병원급 의료기관 • 보호자 • 복약 • 복용 • 부상 • 부상사고 • 부상자 • 부작용 • 부항 • 불구 • 불구자 • 불치 • 뼈 • 사망 • 사망률 • 사망사고 • 사망자 • 사상 • 사상자 • 사지 • 상급병실 • 상급종합병원 • 상반신 • 상처 • 상해 • 상해등급 • 상해사고 • 생명 • 생사 • 성형 • 성형수술 • 성형외과 • 소방 • 소방관 • 소방서 • 손 • 손가락 • 손상 • 수술 • 수술실 • 수액 • 신경 • 신경과 • 신체 • 심장 • 심장마비 • 심정지 • 심폐소생술 • 안과 • 약 • 약국 • 약물 • 약사 • 약학 • 어깨 • 얼굴 • 엉덩이 • 외과 • 요양 • 요양병원 • 위중 • 위중증 • 유족 • 응급 • 응급실 • 응급처치 • 응급치료 • 응급환자 • 의료 • 의료기관 • 의료기구 • 의료기기 • 의료법 • 의료사고 • 의료인 • 의사 • 의약분업 • 의약품 • 의원 • 의원급 의료기관 • 의학 • 이비인후과 • 이송 • 인공호흡 • 인대 • 인명사고 • 인명피해 • 인사사고 • 인체 • 일반병실 • 임플란트 • 입 • 입원 • 입원비 • 입원실 • 입원치료 • 입퇴원 • 장애 • 장애인 • 재활 • 재활운동 • 재활치료 • 전신 • 전치 • 절단 • 정형외과 • 제약 • 제약회사 • 조제 • 종합병원 • 주사 • 주사기 • 중경상 • 중상 • 중상해 • 중증 • 중환자 • 중환자실 • 즉사 • 증상 • 증세 • 지혈 • 진단 • 진단서 • 진료 • 진료과목 • 진찰 • 진통 • 진통제 • 질병 • 질식 • 질환 • 찰과상 • 처방 • 처방전 • 척추 • 체온 • 추나요법 • 출혈 • 치과 • 치과의사 • 치료 • 치료비 • 치료제 • 치사율 • 치상 • 치유 • 침 • 침대 • 코 • 타박상 • 통원 • 통원치료 • 통증 • 퇴원 • 투약 • 팔 • 폐 • 피 • 피부 • 하반신 • 한방병원 • 한약 • 한약사 • 한의사 • 한의학 • 해열제 • 허리 • 혈압 • 호흡 • 혼절 • 환각 • 환자 • 환자이송 • 회복 • 후유장해 • 후유증 • 흉터 • 휠체어 • 휴가 • 휴식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