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주평야(安州平野)는 평안남도 서북부, 청천강 하류에 있는 평야이다. 주산물은 쌀이며, 용강(龍岡)의 목화와 남포(南浦)ㆍ숙천(肅川)의 사과가 유명하다.
- 안주평야는 청천강 남안, 자모산맥 서부에 이루어진 평야이며, 시생대의 변성퇴적암이 노출하여 곳곳에 100m 이하의 파란상 구릉이 기복 되어 있는 넓이 300km2의 대평야이다. 연안의 배수가 불량한 소택지는 수리 관개 공사로 넓은 지역에 걸쳐 논이 개발되어 곡창을 이루게 되었다. 쌀이 주산이며, 안주·신안주·입석 등이 그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1]
- 안주평야는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경계를 이루는 청천강 하류 남안의 안주군과 평원군 일대에 펼쳐진 평야이다. 청천강 북안의 박천평야(博川平野)와 합하여 안주·박천평야라고도 한다. 안주평야의 경계를 확실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동쪽은 자모산맥(慈母山脈)을 경계로 대동강 유역과 분리되며, 남쪽은 평원군 어파현(魚波峴)의 이북으로 안주군과 평원군 북부, 즉 청천강 하류 및 황해안에 이르는 지역을 포함한다. 안주평야의 여러 강이 청천강으로 흘러들고 있다. 안주 동쪽의 합탄강(合灘江)과 안주 북쪽에서 청천강과 합류하는 신천(信川) 유역의 범람원이 넓은 편이다. 신안주(新安州)와 대교천(大橋川) 일대의 범람원은 해안 평야로 이어진다.[2]
- 안주평야는 평남 북부에 펼쳐져 있는 평야이다. 평북의 남부 일대에 발달한 박천평야(博川平野)와 합하여 안주 ·박천평야라고도 한다. 영유(永柔) 동쪽의 어파현(魚波峴:138m) 이북 지역으로, 동쪽은 남북 방향으로 뻗은 자모산맥(慈母山脈)을 경계로 하여 그 동쪽의 대동강(大同江) 유역과 분리되어 있는데, 대체로 안주시와 평원군의 북부에 해당한다. 지층은 시생대(始生代)의 변성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년기에 이른 100m 이하의 파랑상(波浪狀) 구릉이 전개되어 있다. 연 강수량은 800∼900mm로 적은 편이며 특히 5, 6월에는 건조하다. 이에 따라 청천강 이남의 파랑상 구릉지대에서는 격년으로 논과 밭을 교대로 경작하는 독특한 내한농업(耐旱農業)이 발달하였고, 벼농사에서도 육도(陸稻)를 많이 경작하고 있다. 안주탄전지대에서는 양질의 갈탄이 생산된다. 석탄 ·금 ·철 등의 지하자원도 풍부하다. 안주평야의 중앙을 국도와 경의선(京義線)이 남북으로 종관(縱貫)하여 교통의 대간선을 형성하고 있고 또 안주와 순천(順川) 사이, 숙천(肅川)과 순천 사이를 연결하는 동서 방향의 도로가 나 있다.[3]
한국의 평야[편집]
- 평야는 형성 원인에 따라 크게 퇴적평야와 침식평야로 나눌 수 있다. 퇴적평야는 하천·빙하·바람 등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평야를 말한다. 가장 보편적인 퇴적평야는 하천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가리켜 충적평야라고 한다.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빙하의 퇴적작용으로 형성된 퇴적평야의 예로는 빙력토 평원(氷礫土平原)이 있다. 침식평야는 하천·빙하·바람·파랑 등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평야를 말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구조평야가 있다. 구조평야는 지질구조가 그대로 평야를 이룬 지형을 의미하는데, 과거 지질시대에 형성된 지층이 오랜 기간 지각변동을 받지 않은 채로 하천·빙하·바람 등의 침식작용을 받아 남아있는 평야이다.
- 한국의 평야(平野)는 주로 한반도의 서부와 남부 해안, 큰 강의 하류 지역에 넓게 형성되어 있다. 교통기관이 발달하고, 평야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오던 중 상공업이 성행하여 도시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평야 지대의 농촌은 일반적으로 북쪽의 낮은 산을 등지고 논과 강을 바라보는 곳에 자리 잡은 경우가 많다. 북쪽의 산은 겨울철의 거센 바람을 막아주며, 남향의 산기슭은 햇볕을 잘 받아 따뜻하게 해준다. 그리고 강물이나 시냇물은 농사를 짓는 데 꼭 필요하다.
- 평야 지역의 농촌에서는 물을 대기 쉬우면 논으로 이용하며, 홍수 때 물에 잠기던 곳을 둑으로 막고 수문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바닷물을 막아 물을 빼내고 논으로 만드는가 하면 경사진 곳은 층층이 논두렁을 쌓아 논밭으로 개간하기도 하며, 둑을 쌓아 저수지를 마련하기도 한다. 한국의 대표적인 곡창지대는 만경강 유역의 호남평야와 낙동강 유역의 김해평야로서 갈수록 현대화가 추진, 발전되고 있다. 또한 물이 많지 않은 곳에는 밭을 일구어 보리, 감자, 옥수수 등 작물과 배추, 무 등 채소를 재배한다.
- 한국의 평야는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평야의 핵심부는 대개 하천의 토사가 쌓여 이루어진 범람원이고, 평야에서 '들'이라고 불리는 곳은 거의 전부 이러한 범람원이다. 평야 주변의 구릉지, 즉 야산도 기복이 아주 작으면 평야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곳은 여러 면에서 범람원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하천의 범람에 의한 침수의 위험이 없을 뿐 아니라 대개 기반암의 풍화토인 적색토로 덮여 있고, 밭ㆍ과수원ㆍ목장ㆍ임야 등으로 이용된다.
북한의 평야[편집]
북한은 백두산과 금강산, 칠보산과 같은 명산부터 수많은 산과 봉우리가 높게 솟은 지역이다. 하지만 이런 북한에도 꽤나 거대한 평야가 위치해 있다.
- 평양평야(평안도)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평양평야는 그리 넓지 않지만 안주평야, 박천평야와 접해있어 대평야의 모습을 보여주며 거대한 대동강이 흐르고 있다.
- 용천평야는 압록강 하류에 있다. 그렇기에 유명한 신의주가 자리 잡고 있으며 삼각주로 구성된 평야이지만 크기는 그리 크지 않다.
- 재령평야(황해도)는 평양 밑에 있는 평야지대로 '나무리벌'이라고 불린다. 나무리벌은 '먹고 입고 쓰고도 남는다'는 뜻이다. 재령평야의 크기는 남쪽과 견주어봐도 작지 않으며 재령평야를 통과하는 재령강은 하류에서 대동강과 만나게 된다.
- 함흥평야(함경도)는 백두대간의 동쪽에 위치한 작은 평야이다. 성천강이라는 강이 흐르며 만들어내었고 동해로 빠지게 된다.
- 길주평야는 함흥평야의 위에 있다. 서쪽의 평야처럼 서로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산맥이 가로지르며 꽤 멀리 떨어져 있다.
안주평야의 지형과 생태[편집]
- 안주평야의 대부분은 산지가 침식되어 낮아진 침식평야로서 서상봉(西上峰, 513m)·마두산(馬頭山, 536m)·상산(上山, 528m)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100m 이하의 낮은 파랑상의 평야이다. 지층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變成堆積岩)으로 되어 있으며, 안주탄전이 있는 서북부만 제3기층이 점상(點狀)으로 분포하고 있다.
- 기후는 해안에 위치하여 평안남도 내륙 지방에 비하면 온화한 편이나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기후이다. 연평균기온은 9℃ 내외이나 겨울에는 한랭한 북서계절풍이 낮은 평야 지대로 불어닥쳐 몹시 춥다. 반대로 여름에는 남부 지방에 못지 않은 더위를 나타낸다. 주요 도시인 안주는 1월 평균기온 11.1℃, 8월 평균기온 25.1℃, 연평균기온 8.9℃를 나타내고 있다. 연 강수량은 800∼900mm로 적은 편이며 특히 5, 6월에 비가 적다. 이에 따라 청천강 이남의 파랑상 구릉지의 논과 밭에서 격년으로 밀·조·콩·팥·메밀 등의 잡곡을 교대로 경작하는 독특한 내한농업(耐旱農業)이 발달하였고 벼농사도 육도(陸稻)를 중심으로 경작하였다.
- 수리시설의 발달로 수도(水稻)의 재배가 증가되면서 북한 지방의 곡창을 이루게 되었으며, 면화 재배와 양잠 등도 성하며 또 사과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지하자원으로는 서북부의 안주탄전이 있어 양질의 갈탄을 생산한다. 안주평야의 중앙을 경의선(京義線)과 국도가 남북으로 종관하고 있으며, 평안남도와 평안북도의 내륙 지방과는 개천선으로 연결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안주평야의 주요 도시로는 의주공로(義州公路)의 성읍(城邑)인 안주, 경의선 개통으로 발달한 신안주, 지방 중심지인 숙천 등이 있다.
- 안주는 평양에 이어 정치·경제의 중심지였으나 경의선이 신안주를 통과하게 되자 그 세력을 빼앗겨 발달이 정체되었다. 그러나 석유화학공업의 발달로 다시 활기를 띠었다. 신안주는 경의선과 개천선의 분기점으로 급속히 발전하였으며 숙천은 안주와 같이 고구려 때부터 있었던 고읍으로 1416년(태종 16)에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던 지방 중심지이다.
- 안주평야는 북으로 박천평야, 남으로 평양평야로 연속되는 관서 지방의 대평야 지대로 청천강과 서한만에 접해 있어 산업과 교통의 일익을 담당하는 중요한 평야이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평야〉, 《나무위키》
- 〈평야〉, 《위키백과》
- 〈안주시〉, 《나무위키》
- 〈안주시〉, 《위키백과》
- 〈안주평야〉, 《위키백과》
- 〈한국의 평야〉, 《위키백과》
- 〈안주평야(安州平野)〉, 《두산백과》
- 〈평야(平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주평야 (安州平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소영 기자, 〈“북한, 6월 중순 모내기율 80% 그쳐”〉, 《농민신문》, 2022-06-29
같이 보기[편집]
이 안주평야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평안남도)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산이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