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금남정맥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남정맥

금남정맥(錦南正脈)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주화산에서 시작하여 서북쪽으로 이어져 충청남도 부여군의 부소산에 이르는 산줄기를 가리킨다.

개요[편집]

  • 금남정맥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의 주화산(珠華山)에서 북서로 뻗어 계룡산에 이르고, 계룡산에서 다시 서쪽으로 뻗어 부여의 부소산(扶蘇山) 조룡대(釣龍臺)까지 약 118km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안산(長安山)에서 시작된 금남호남정맥이 끝나는 주화산에서 왕사봉(王師峰)·배티[梨崎]·대둔산(大屯山)·개태산(開泰山, 또는 天護峰)·계룡산·널티[柄崎]·망월산(望月山) 등으로 이어져 부소산의 조룡대에 이른다. 이 산줄기의 동사면(東斜面)을 따라 흐르는 물은 금강상류를 이루고 서사면(西斜面)을 따라 흐르는 물은 만경강(萬頃江)을 이루며, 일부는 금강 하류로 흘러든다.[1]
  • 금남정맥은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시작하여 왕사봉·대둔산을 지나 계룡산으로 이어지고 부여의 부소산에서 끝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금강의 남서쪽을 지나므로 금남정맥이라 하였다. 금남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금남정맥은 금강 상류유역과 만경강 유역을 구분짓는 산줄기이다. 동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금강 상류를 이루며, 서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만경강을 이루고 일부는 금강 하류로 흘러든다. 이 산줄기가 시작되는 주화산에서 남쪽으로 연결되는 호남정맥과 함께 전라북도의 동쪽 산간지방과 서쪽 해안의 호남평야를 경계 짓고 있다. 연결되는 산은 왕사봉·배티(梨峙)·대둔산·황령(黃嶺)·개태산(開泰山 혹은 天護峰, 360m)·계룡산·널티(板峙)·망월산(望月山)·부소산 등으로 그 길이는 약 118km이다.[2]
  • 금남정맥은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시작하여 왕사봉 · 대둔산을 지나 계룡산으로 이어지고 부여의 부소산에서 끝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그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이 산줄기는 금강의 남서쪽을 지나므로 금남정맥이라 한 것이다. 금강 상류유역과 만경강유역을 구분짓는 산줄기로 동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금강 상류를 이루며, 서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만경강을 이루고 일부는 금강 하류로 흘러든다. 이 산줄기가 시작된 주화산에서 남쪽으로 연결되는 호남정맥과 함께 전북특별자치도의 동쪽 산간지방과 서쪽 해안의 호남평야를 경계 짓고 있다.[3]
  • 금남정맥은 금남호남정맥의 서쪽 끝 지점인 주화산에서 호남정맥과 남북으로 나뉘어 북쪽의 대둔산과 부여의 부소산으로 이어지는 137.7㎞의 산줄기이다. 금강의 남서쪽을 지나므로 금남정맥이라고 하였다. 금남정맥은 완만한 구릉지로 이어져서, 10구간으로 구분하여 산행 코스로 활용되고 있다.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남산리와 가척리 가자퇴골 사이의 고개인 가자티고개를 시작으로 됨본, 신앙고개, 청마산, 부여 청마산성, 청마고개, 석목고개, 금성산, 남령공원, 부여여자고등학교, 부소산, 낙화암, 고란사를 거쳐 구드래나루로 마무리된다. 등산객들은 금남정맥을 산행하면서 백제의 주요 문화유산을 만날 수 있는데, 사적으로 지정된 부여 청마산성(扶餘 靑馬山城)과 백제의 도성으로 활용되었던 부여 부소산성(扶餘 扶蘇山城) 외에, 백제 멸망과 관련된 낙화암, 고란사도 접하고 있다. 청마산과 금성산 사이로 국도 제4호가 지나간다.[4]

금남호남정맥[편집]

  •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은 장안산(長安山:1237m)에서 서북으로 뻗어 주화산(珠華山:600 m)까지 약 65km에 이르는 옛 산줄기의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백두대간(白頭大幹)에서 갈라져 금남정맥(錦南正脈)과 호남정맥으로 이어주는 산줄기이다. 장안산에서 수분현(水分峴:530m)·팔공산(八公山:1151m)·성수산(聖壽山:1,059m)·마이산(馬耳山:667m)·부귀산(富貴山:806m)으로 이어져 주화산에서 끝난다. 또 주화산에서는 금남정맥이 시작되어 호남정맥으로 이어진다. 또 이 산줄기의 팔공산 서사면(西斜面)에서 발원하는 천천(天川)이 북류하여 금강을 이루고, 남사면(南斜面)에서 발원하는 오원천(烏院川)이 섬진강을 이룬다.
  • 금남호남정맥은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북쪽 사면에서 장수의 천천(天川)이 시작되어 401㎞의 금강을 이루고 남쪽 사면에서는 임실의 오원천(烏院川)이 시작되어 225㎞의 섬진강을 이룬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다.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 유역의 경계를 이루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과 섬진강유역의 경계를 이룬다. 이 산줄기는 양유역의 기후 차이를 유발하여 연평균기온의 경우 북쪽은 12℃, 남쪽은 13℃이며, 개나리의 개화일도 5일간의 차가 생겨 섬진강 유역은 대개 3월 25일경, 금강 유역은 3월 30일경이 된다.

금남정맥의 지리환경[편집]

  • 금남정맥은 백두대간이 지나는 영취산에서 분기하여 서쪽으로 뻗어내린 금남호남정맥이 조약봉(주화산, 565m)으로 이어지다가 이곳에서 다시 남쪽으로 호남정맥, 북쪽으로 금남정맥이 분기된다. 금남정맥은 북으로 금강과 나란히 치달아 대둔산과 계룡산을 거친 후 서쪽으로 망월산을 지나 부소산 백마강 조룡대에서 끝난다. 금강의 남쪽과 서쪽으로 만항강, 동진강의 분수령이 되어 자연히 군산을 중심으로 한 평야지방과 내륙지방을 양분하고 있다. 금남정맥을 이루는 주요산은 조약봉(주화산, 565m)에서 시작하여 연석산(928m), 운장산(1126m), 인대산(666m), 대둔산(878m), 월성봉(650m), 바랑산(555m), 천마산(287m), 계룡산(845m), 부소산(105m) 등이다.
  • 백두산에서 뻗어 내려오던 백두대간이 설악산 오대산 속리산 덕유산으로 줄기차게 내려오다 전북 장수군 백운산 가기 전 영취산에서 갈래를 쳐 금남호남정맥을 이루어가다 전주 진안간 국도 모래재 위에 있는 조약봉(주줄산)에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갈래를 쳐 운장산-대둔산-계룡산-금성산-부소산으로 이어져 금강 변인 부여 구드레 나루에서 금강으로 스며드는 산줄기로 도상거리 126km로 나 아름다운 명산들을 이어가고 있어 정맥의 꽃이라 불린다. 다만, 현재의 금남정맥은 금강하구에 못 미친 부여에서 맥을 다하다 보니 완전한 금강 남쪽의 울타리가 되지 못한다. 금강 남쪽의 울타리가 되는 산줄기는 장군봉 지나 작은싸리재 직전에 만나는 750봉에서 서쪽 왕사봉 쪽으로 방향을 틀어 이름 없는 야산을 꿰차고 금강하구인 군산의 장계산에서 바다로 스며드는 산줄기이다 보니 정맥의 이름에 대한 논란이 되고 있다. 산자분수령의 원리로 물길의 흐름을 구분하려는 사람들은 이 맥의 이름을 금강정맥, 실질적 금남정맥 등으로, 금남정맥을 금강기맥으로 새 이름을 지어 부른다.
  • 금남정맥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마이산-주화산에서 시작하여 충청남도 금산군의 병산과 대둔산, 공주시의 계룡산을 지나 부여군 부여읍의 부소산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금남정맥 중 부여군의 시작 지점은 공주시 탄천면의 됨봉을 지나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의 신앙고개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해당 산줄기는 초촌면 신암리 보각골고개-감투봉을 지나 부여읍 능산리 조석산-청마산-청마고개로 이어진다. 청마고개를 지나 잘 정비된 길을 지나면 석목고개가 나오며, 석목고개에서 부여읍 쌍북리 금성산으로 들어서게 된다. 금성산에서 부여여자고등학교를 지나 부소산에 이른 후 낙화암에서 산세를 다한다. 부여의 금남정맥은 부여 동남부 구릉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동남부 구릉지는 서남-동북 방향으로 연속적인 구릉 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부여군의 서북부 산지에 비하여 고도가 낮아 100m 정도의 낮은 저산성 구릉지를 이룬다. 동남부 구릉지는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류에 속하며, 대보화강암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흑운모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 진안 지역은 금강과 만경강을 나누는 분수계인 금남 정맥의 동쪽에 있다.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신무산(897m)정상 북쪽 아래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장수군·무주군·진안군의 각 계곡에서 시작되는 하천을 합하여,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를 거쳐 충청남도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면서 전라북도 군산시 앞바다로 흐르는 이다. 길이 401㎞, 유역 면적 9,885㎢으로 낙동강한강 다음으로 긴 강이다. 금강 수역은 동쪽은 백두 대간, 남쪽은 금남 호남 정맥, 서쪽은 금남 정맥으로 분수계를 이루며 용담댐을 거쳐 북쪽의 충청남도 방향으로 흐른다. 주요 지류로는 먼저 장수군의 뜬봉샘에서 시작된 장수천이 있는데, 장수천은 장수군 장계면에서 장계천과 합류한다. 장계천과 합류한 장수천은 진안읍 죽도에서 대량천과 합류하여 상전면 수동리에서 용담호로 유입된다. 또 하나의 물줄기는 진안읍 마이산(금남 호남 정맥) 북쪽 단양리 사양제에서 시작하여 진안읍을 관통하여 운산리에서 용담호로 합류하는 진안천이다. 그리고 운장산(금남정맥)에서 시작하는 정자천은 부귀면을 관통하여 정천면 월평리에서 용담호로 유입되고, 주자천 역시 운장산에서 시작되어 운일암 반일암 계곡을 거쳐 주천면 신양리에서 용담호로 유입된다.

금남정맥의 지맥[편집]

  • 성치지맥(城峙枝脈)은 금남정맥 신선봉(790)을 지나 육백고지(654) 가기 전 동쪽으로 분기하여 선봉(694), 성치산(671), 봉화산(671), 성덕봉(503), 구봉(599), 덕기봉(542), 소사봉(309)을 지나 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봉황천(천내강)이 금강과 합류하는 제원대교지점까지 약 37.5Km의 산줄기이다.
  • 식장지맥(食藏枝脈)은 금남정맥의 대둔산 남동쪽 인대산(662)과 백령고개 사이에 있는 무명봉(610)에서 분기하여 월봉산(543), 금성산(439), 만인산(537), 지봉산(464), 망덕봉(439), 식장산(598), 고봉산(335), 계족산(423)을 거쳐 대전 대덕구 문평동 갑천이 금강에 합류하는 지점까지 약 56.1Km의 산줄기로 금산과 대전지방을 지나간다.
  • 장령지맥(長靈枝脈)은 금남정맥의 대둔산 남동쪽 인대산(661.8)과 백령고개 사이에 있는 무명봉(610)에서 분기한 식장지맥이 월봉산(543), 금성산(439)을 지나 북진하고 금성산(439)에서 동북으로 분기하여 닭이봉(501), 국사봉(668), 대성산(705), 매봉 600), 장령산(655), 도덕봉(407), 마성산(409)을 지나 충북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장계관광지 앞의 대청호가 금강으로 바뀌는 지점까지 약 52Km의 산줄기이다.
  • 안평지맥(安平枝脈)은 금남정맥의 대둔산(879)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오대산(644), 안평산(471), 조중봉(334), 명막산(332), 해철이산, 쟁기봉, 도솔산을 지나 대전시 서구 만년동 갑천과 유등천 합수지점까지 약 37Km의 산줄기이다.
  • 관암지맥(冠巖枝脈)은 금남정맥의 계룡산(846)의 쌀개봉(830)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천왕봉(603), 황적봉(660), 관암산(527), 백운봉, 도덕봉(535), 갑하산(469), 우산봉(574), 수양산(331), 금병산(365), 보덕봉(265), 오봉산(241), 꾀꼬리봉(272), 부용산(226)을 지나 세종시 금남면 부용리의 금강까지 약 42Km의 산줄기이다.
  • 노성지맥(魯城枝脈)은 금남정맥의 성정산(237) 가기 전 동쪽으로 약 1.5k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개코빽이산(195), 노성산(349), 월명산(76), 불암산(60)을 지나 충남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 논산천과 금강의 합수점까지 약 32Km의 산줄기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금남정맥(錦南正脈)〉, 《금남정맥》
  2. 금남정맥〉, 《위키백과》
  3. 금남정맥(錦南正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금남정맥〉, 《향토문화전자대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금남정맥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