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94번째 줄: |
94번째 줄: |
| | | |
| {{:캅카스 같이 보기}} | | {{:캅카스 같이 보기}} |
| + | {{:러시아유럽 같이 보기}} |
| {{:중앙아시아 같이 보기}} | | {{:중앙아시아 같이 보기}} |
| + | {{:페르시아 같이 보기}} |
| | | |
| {{세계의 바다|검토 필요}} | | {{세계의 바다|검토 필요}} |
− | {{세계지리}} | + | {{세계의 소금호}} |
| | | |
| [[분류:카스피해]] | | [[분류:카스피해]] |
105번째 줄: |
107번째 줄: |
| [[분류:서아시아]] | | [[분류:서아시아]] |
| [[분류:중앙아시아]] | | [[분류:중앙아시아]] |
| + | [[분류:페르시아]]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카스피해(영어: Caspian Sea, 문화어: 가스삐해)는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를 이루는 세계 최대의 내륙호이다. 러시아 남서부,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이란 북부로 둘러싸여 있으며 면적은 371,000km²에 달하여 그 안에 한반도 전체가 들어가고도 남는다. 카스피해는 세계 최대의 내륙해(內陸海)이다. 바다라고 부르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세계 최대의 함수호이다. 비록 다른 대양과 통하지 않으나 호수라기에는 크기가 워낙 압도적으로 큰 관계로 거의 바다로 보아왔고 결국 2018년 카스피해 연안국들은 카스피해를 바다로 정의했다.[1]
카스피해는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과 러시아,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캅카스(Kavkaz) 지역으로 둘러싸여있다. 남북 길이 약 1,200km, 평균 너비 약 300km에, 최대 수심 약 1,000m, 평균 수심 약 200m로 내륙해로서는 세계 최대이다. 카스피해의 물은 보통 해수의 반 정도의 염분(평균 14‰)을 포함하는 함수호(鹹水湖)의 특성을 가지며 해수에 비하여 황산나트륨의 양이 많다. 함수호를 이루는 이유는 제3기 중기까지는 카스피 저지방의 전역이 고지중해(古地中海)에 잠겨 있었으나 그후 지중해에서 지각변동에 따라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수온은 남북에 따라 심한 차이가 있으며 겨울에는 북쪽에서 0℃ 이하, 남쪽에서 13℃를 나타내며 북쪽의 1/3은 결빙한다. 여름에는 수온이 비교적 같아 25∼30℃에 이른다. 수상 교통으로는 아제르바이잔 바쿠(Baku)의 석유, 염류, 중앙아시아의 목화, 캅카스의 목재 등의 수송이 이루어진다. 수산자원으로는 워브라라는 바닷물고기류가 가장 풍부하고 그 밖에 철갑상어, 청어 등이 많이 잡힌다. 연안에는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를 비롯하여 러시아의 아스트라한(Astrakhan), 투르크메니스탄의 크라스노봇스크(Krasnovodsk), 이란의 반다르이토르카만(Bandar-i-Torkaman), 반다르이팔레비(Bandar-i-Pahlevi) 등의 도시가 유명하다.
카스피해는 격심한 증발과 유입하천의 유량 부족에 따라 수면이 낮아지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약 50년 동안에 수위가 해면하 26m에서 28m로 낮아졌으며 아울러 수면 면적도 감소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북쪽은 염분이 말라붙은 나지(裸地)와 갈대가 무성한 습지 등의 면적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후조건도 악화되고 있다. 수면의 저하에 대처해서 구(舊)소련 정부와 과학 아카데미에서는 페초라강(江)의 유역 변경에 의해서 이곳으로 흘러드는 볼가강 유량의 증대, 식림(植林) 사업, 북쪽 카스피해 지역의 담수화 계획 등을 세웠던 바가 있고, 1952년 볼가-돈운하(Volga-Don Canal)가 완성됨으로써 카스피해는 흑해, 지중해, 발트해, 백해와 연결되어 소련 경제 동맥의 일부로 편입되기도 하였다. 카스피해는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보고로도 유명하다. 이로 인해 인접국들 간 자원을 두고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특히 구소련이 붕괴된 후 신생국인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이곳에 위치함으로써 복잡해졌다. 자원을 둘러싼 이들 국가와 다른 인접국인 러시아, 이란 간의 갈등이 계속되어 왔고, 이곳의 자원에 투자하고자 하는 다른 선진국들의 영향 등도 있어 자원을 둘러싼 국제 분쟁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2]
카스피해는 러시아(다게스탄 공화국, 칼미크 공화국, 아스트라한주), 아제르바이잔, 이란(길란주, 마잔다란주, 골레스탄주),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사이에 있다. 아조프해와 쿠마마니치 운하, 볼가-돈 운하로 연결되어 있다. 쿠마마니치 운하에는 배가 다닐 수 없다. 볼가-돈 운하로 돌아가는 루트를 단축하기 위해 쿠마마니치 운하를 유라시아 운하로 확장할 계획이 있다.
카스피해는 고생대 이후 분열되기 시작한 판게아가 로라시아와 곤드와나 두 대륙으로 분열되면서 두 대륙 사이의 얕은 바다는 생물의 보고가 되었다. 이 지역을 테티스해라고 부르는데 카스피해는 그 시절 테티스해의 남은 흔적이다. 아프리카와 인도 아대륙이 북상하며 테티스해, 그리고 파라테티스 호수의 남은 부분이 지중해, 흑해, 카스피해로 쪼개지고 나머지는 육지가 되었다. 이 중 지중해와 흑해는 대서양 수계와 연결되어 있지만 카스피해는 완전히 고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아랄해도 원래 테티스해에 속했다. 즉 내륙에 있어서 증발에 의해 염해가 된 사해와는 다르게 원래부터 바다였던 곳이다. 옛날에 흑해, 카스피해, 아랄해의 수위가 지금보다 높았던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모두 자연적으로 이어져 있어 모두 대양과 이어진 바다였다.
수면 저하[편집]
카스피해의 면적은 약 37만 1,000㎢로 한민의 실효 지배령의 4배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이며 서해와 일본의 면적과 거의 비슷하다. 면적뿐 아니라 수량도 약 68,000km³으로 세계 최대 규모이며 최대 수심 약 1025m, 평균 수심 약 210m 정도로 수심도 깊다. 다만 이 일대는 증발량이 많아서 조금씩 면적이 줄어들고 있으며 카스피해의 주변은 해수면 아래 30m 정도의 저지대이다. 또한 카스피해의 밑바닥은 두 개의 분지 지형이 연결된 형태이며, 북부 지역과 남부 지역에 깊이 들어간 지점이 있고 가운데 부분의 수심은 비교적 얕다. 이것과 비슷한 대표적인 사례는 아랄해가 있다. 카스피해는 예전 아랄해와는 달리 면적도 9배나 되고 평균 수심도 10배 이상 되기에 좀 더 길게 버티고는 있지만, 아랄해나 카스피해나 주위 하천에서 공급받는 물로 유지되고 있는지라 그 하천의 물을 빼앗아가면 결국 말라붙는 것은 시간 문제일 것이다. 단, 완전히 고립된 아랄해와는 달리 카스피해는 일단은 흑해와 운하로 연결되어 있긴 하다. 2013년 기준 카스피해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청어의 수가 10년 전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였으며 청어를 먹이로 삼는 철갑상어도 먹이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다.
분쟁 문제[편집]
카스피해를 두고 호수인지 바다인지를 두고 관련국들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카스피해가 호수라면 연안국들만의 협의가 가능하지만, 바다로 인정되면 그 전체가 해안 국가의 주권에 예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해안선으로부터 12해리 지역까지는 해안 국가의 배타적 권리가 인정되고, 이를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주권이 제한을 받게 된다. 또 호수라면 연안국들만 자유롭게 이용 및 항해할 수 있는 반면, 바다일 경우 특정한 주권이 없기 때문에 페르시아만에서처럼 전 세계 국가가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다. 유전(油田)을 가진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등 3개국은 카스피해를 바다로 보고 '바다인 카스피해의 영해, 경제수역, 대륙붕에 대한 독점적 권리는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자원이 없는 이란은 카스피해를 호수로 보고 '연안국은 호수인 카스피해에 대해 균등한 권리를 갖는다'며 카스피해를 공유하는 5개국이 20%씩 천연자원을 균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러시아의 경우 구소련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에 부분적인 권리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여오다, 카자흐스탄에서 텐기스 유전이 발견되자 바다론(論)으로 입장을 전환하였다.[3]
카스피해 주변 국가 간에 10년에 이르는 영해 확정협의가 계속되고 있다. 카스피해를 바다로 할 것인지 호수로 할 것인지 특히 3가지가 문제가 된다. 즉 광물 자원(석유. 천연가스), 어업, 그리고 국제 수역으로서 입지 특히 흑해나 발트해에 달하는 볼가강으로의 연결은 내륙국인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에게 있어 중요하다. 카스피해는 바다로서는 국외선의 통과를 허락하는 국제 조약이 유효하게 되었지만 호수가 되면 의무가 없어진다. 이것에는 환경 문제도 관계한다. 또, 카스피해에서는 구 소련의 함정을 이어받은 러시아 해군의 위용이 막강하다. 2018년 8월 12일에 러시아, 이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악타우에서 카스피 해 연안 5개국 정상회담을 가지고, 카스피 해를 특수한 지위의 바다라고 정의하면서 22년에 걸친 영유권 분쟁을 끝내고, 카스피해의 법적지위에 관한 협정에 합의했다. 2022년 4월 1일. 카자흐스탄, 터키,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등 4개국이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카스피해 횡단 회랑의 물류 잠재력을 높이는 동시에 국제 운송 시스템 속에 통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자원 개발[편집]
카스피해와 그 주변은 각종 자원이 많은데,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로 유명하며 캐비어로도 유명하다. 카스피해의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량은 각각 500억 배럴과 8조 4000억m³로 추산되는 등 21세기 마지막 석유자원의 보고로도 알려져 있다. 카스피해는 20세기 초 제정 러시아의 바쿠 유전 개발 이래 소련과 이란의 독무대였으나, 몇 년 전부터 이 일대 석유자원에 눈길을 돌린 미국이 소련 붕괴 뒤 독립한 주변국들에 접근을 가속화하여 분쟁이 시작되었다. 카스피해 지역은 2002년경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등 국제 석유 메이저들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었으며 일본 역시 그 뒤를 이어 대규모 투자를 본격 착수했으며, 한국도 2002년 4월 산업자원부와 5개사가 '카스피 해 유전개발 컨소시엄'을 꾸려 카스피해 진출 교두보로 선정한 카자흐스탄을 대상으로 1차 타당성 조사에 들어가 카스피해 유전개발에 본격 착수했다.[4]
카스피해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카스피해 주변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캅카스 같이 보기[편집]
- 남캅카스 국가
|
- 북캅카스 지역
|
- 캅카스 도시
|
- 캅카스 지리
|
- 캅카스 문화
|
- 캅카스 주변 지역
|
러시아유럽 같이 보기[편집]
- 러시아유럽 행정구역
|
- 러시아유럽 도시
|
- 러시아유럽 바다
|
- 러시아유럽 지리
|
- 러시아유럽 문화
|
- 러시아유럽 주변 지역
|
중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중앙아시아 국가
|
- 중앙아시아 도시
|
- 중앙아시아 지리
|
- 중앙아시아 문화
|
- 중앙아시아 주변 지역
|
페르시아 같이 보기[편집]
- 페르시아 국가와 도시
|
- 페르시아 지역
|
- 페르시아 지리
|
- 페르시아 문화
|
- 페르시아 주변 지역
|
이 카스피해 문서는 세계의 바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세계의 바다
|
곡물해안(후추해안) • 구단선 • 그린란드해 • 남극해 • 남대서양 • 남동대서양(동남대서양) • 남인도양 • 남중국해 • 남태평양 • 노르웨이해 • 노예해안 • 대서양 • 데이비스해 • 동대서양 • 동시베리아해 • 동인도양 • 동중국해 • 동지중해 • 동카리브해 • 동태평양 • 동해 • 랍테프해 • 래브라도해 • 래카다이브해 • 로스해 • 리구리아해 • 링컨해 • 마르마라해 • 바렌츠해 • 반다해 • 발레아레스해 • 발트해 • 백해 • 버마해 • 베링해 • 벨링스하우젠해 • 보르네오해 • 보퍼트해 • 보하이해(발해) • 북극해 • 북나투나해 • 북대서양 • 북인도양 • 북태평양 • 북해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코럴해) • 상아해안 • 서남극빙하 • 서대서양 • 서인도양 • 서지중해 • 서카리브해 • 서태평양 • 세일리시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술라웨시해 • 술루해 • 스코샤해 • 아드리아해 • 아라비아해 • 아라푸라해 • 아문센해 • 아일랜드해 • 아조프해 • 알보란해 • 에게해 • 오대양 • 오호츠크해 • 올란드해 • 웨들해 • 이오니아해 • 인도양 • 자와해 • 중부지중해 • 중태평양 • 지중해 • 챌린저해연 • 축치해 • 카라해 • 카리브해 • 카스피해 • 켈트해 • 코로해 • 코르테스해 • 크레타해 • 태즈먼해 • 태평양 • 티레니아해 • 티모르해 • 포인트 니모 • 필리핀해 • 홍해 • 황금해안 • 황해 • 흑해
|
|
세계의 만
|
가고시마만 • 가베스만 • 경기만 • 과야킬만 • 관타나모만 • 그단스크만 •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만 • 기니만 • 나폴리만 • 노턴만 • 다롄만 • 도야마만 • 도쿄만 • 동조선만(동한만) • 라이저우만 • 라플라타만 • 랴오둥만 • 리가만 • 마푸투만 • 맥스웰만 • 메인만 • 멕시코만 • 모튼만(모레톤만) • 무쓰만 • 바레인만 • 바타바노만 • 배핀만 • 베네수엘라만 • 베네치아만 • 베이부만 • 벵골만 • 보타니만 • 보트니아만 • 보하이만(발해만) • 브로큰만 • 브루나이만 • 브리스톨만 • 비스케이만 • 사가미만 • 사로니코스만 • 산마르티나만 • 산조지만 • 샌파블로만 • 샌프란시스코만 • 샤먼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선전만 • 세인트로렌스만 • 세인트마르코스만 • 세인트빈센트만 • 센다이만 • 셸리호바만(셀리호바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스펜서만 • 시드니항 • 시드라만 • 아나디리만 • 아덴만 • 아리아케해 • 아무르만 • 아문센만 • 아카바만 • 알래스카만 • 어드미랄티만 • 오만만 • 오비만 • 오사카만 • 와카사만 • 우수리만 • 우치우라만 • 이세만 • 이시카리만 • 자오저우만 • 제노바만 • 제임스만 • 조지언만 • 지브롤터만 • 진주만 • 체서피크만 • 카라보가스골만 • 카펀테리아만 • 캄바트만 • 캄페체만 • 코린토스만 • 코츠뷰만 • 쿠웨이트만 • 쿠치만 • 타란토만 • 타이만 • 타주라만 • 통킹만 • 파나마만 • 파리아만 • 파푸아만 • 펀디만 • 펄스만 • 페르시아만 • 포시예트만 • 포트필립만 • 폰세카만 • 표트르대제만 • 플렌티만 • 핀란드만 • 하롱베이(할롱만) • 하우라키만 • 하이저우만 • 항저우만 • 허드슨만 • 히로시마만
|
|
세계의 해협
|
간몬해협 • 골든게이트해협 • 네벨스코이해협 • 네어스해협 • 노스해협 • 다르다넬스해협 • 대만해협(타이완해협) • 대벨트해협(스토레벨트해협) • 대한해협 • 데이비스해협 • 덴마크해협 • 도버해협 • 드레이크해협 • 드미트리 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해협 • 롱아일랜드해협 • 루손해협 • 림협만 • 마젤란해협 • 마카사르해협 • 말라카해협(믈라카해협) • 메시나해협 • 모잠비크해협 • 바시해협 • 밥엘만뎁해협(바브엘만데브해협) • 배스해협 • 베링해협 • 보니파시오해협 • 보스포루스해협 • 보하이해협 • 부산해협 • 브랜스필드해협 • 비글해협 • 세인트조지해협 • 소벨트해협(릴레벨트해협) • 순다해협 • 스미스해협 • 스카게락해협 • 시칠리아해협 • 싱가포르해협 • 쓰가루해협 • 쓰시마해협 • 아폴리마해협 • 영국해협 • 오트란토해협 • 외레순해협 • 유카탄해협 • 이즈메니해협 • 제주해협 • 조지아해협 • 조호르해협 • 지브롤터해협 • 카라해협 • 카리마타해협 • 카테가트해협 • 케르치해협 • 쿡해협 • 타타르해협(마미야해협) • 토레스해협 • 포크해협(팔크해협) • 플로리다해협 • 하이난해협(충저우해협) • 허드슨해협 • 호르무즈해협 • 환드퓨카해협
|
|
세계의 해곡
|
난카이해곡 • 노섬벌랜드해곡 • 마리아나해곡 • 마리아나해구 • 베뉴해곡 • 사가미해곡 • 사우스셰틀랜드해곡 • 솔튼해곡 • 수아킨해곡 • 스루가해곡 • 오키나와해곡 • 케이맨해곡 • 킹스해곡 • 티모르해곡 • 헤스페리데스해곡
|
|
세계의 빙붕
|
라슨빙붕 • 로스빙붕 • 론빙붕 • 브룬트빙붕 • 섀클턴빙붕 • 애머리빙붕 • 필히너빙붕
|
|
세계의 방조제
|
새만금 방조제 • 주다치 방조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세계의 강
|
가야하 • 감비아강 • 갠지스강 • 고다바리강 • 그랜드캐니언 • 나린강 • 나이저강(니제르강) • 나일강 • 넬슨강 • 눈강(넌강, 넌장, 넌장강) • 다뉴브강 • 달링강 • 도네강 • 도네츠강 • 돈강 • 드네프르강 • 라인강 • 라플라타강 • 레나강 • 레드강 • 루비콘강 • 루아르강 • 루알라바강 • 리어드강 • 리오그란데강 • 마데이라강 • 마인강 • 매켄지강 • 머리강(머레이강) • 메그나강 • 메콩강 • 미네소타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발강 • 백나일강 • 베누에강 • 볼가강 • 볼타강 • 브라마푸트라강 • 브라조스강(브래저스강) • 비스와강(비스툴라강) • 산그로강 • 살윈강 • 상프란시스쿠강 • 새크라멘토강 • 샤트알아랍강 • 서배너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세인트로렌스강 • 센강(세느강) • 송화강(쑹화강) • 스네이크강 • 슬레이브강 • 시나노강 • 시르다리야강 • 싸그네강 • 아디제강 • 아라스강 • 아라카와강 • 아르노강 • 아마존강 • 아무다리야강 • 아무르강(흑룡강) • 아칸소강 • 안가라강 • 알바니강(올버니강) • 애서배스카강 • 앨라배마강 • 엘베강 • 엠바강 • 예니세이강 • 옐로스톤강 • 오데르강 • 오렌지강 • 오비강 • 오타와강 • 오하이오강 • 요르단강 • 요하(랴오허) • 우랄강 • 우루과이강 • 우수리강 • 우카얄리강 • 유콘강 • 유프라테스강 • 이과수강 • 이라와디강(에야워디강) • 이르티시강 • 인더스강 • 일리노이강 • 자무나강 • 잠베지강 • 장강(양쯔강) • 제라프샨강 • 주강 • 짜오프라야강 • 청나일강 • 친드윈강 • 카룬강 • 캐나디안강 • 컬럼비아강 • 콜로라도강 • 콩고강 • 쿠라강 • 크리슈나강 • 타구스강 • 타림강 • 탈라스강 • 테네시강 • 테베레강 • 테툴리아강 • 템스강 • 티그리스강 • 파라과이강 • 파라나강 • 패드마강 • 포강 • 포토맥강 • 플랫강 • 피스강 • 피시강 • 필강 • 하이허 • 한강 • 허드슨강 • 홍강 • 화이허 • 황푸강 • 황하
|
|
세계의 삼각주
|
갠지스강 삼각주 • 나이저강 삼각주 • 나일강 삼각주 • 라인강 삼각주 • 레나강 삼각주 • 매켄지강 삼각주 • 메콩강 삼각주 • 미시시피강 삼각주 • 볼가강 삼각주 • 우랄강 삼각주 • 이라와디강 삼각주 • 인더스강 삼각주 • 장강 삼각주 • 주강 삼각주 • 콜로라도강 삼각주 • 포강 삼각주 • 홍강 삼각주 • 황하 삼각주
|
|
세계의 호수
|
가르다호 • 가스미가우라호 • 갈릴리호(갈릴래아호) • 구리 저수지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나세르호 • 뇌샤텔호 • 니이호 • 니카라과호 • 둥팅호(동정호) • 라도가호 • 랜오브쿠치호 • 레만호 • 레인디어호 • 로토루아호 • 루체른호 • 리빈스크호 • 마나과호 • 마라카이보호 • 마르커르호 • 마타지호 • 만차르호 • 말라위호 • 멜라렌호 • 미드호 • 미링호 • 미시간호 • 민게체비르 저수지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호 • 버드호 • 벌러톤호 • 베네른호 • 베네치아석호 • 베테른호 • 베이호 • 보덴호 • 보스텅호 • 보스토크호 • 볼타호 • 브로코폰도 저수지 • 비스툴라석호 • 비와호 • 빅토리아호 • 사리카미슈호 • 섐키르 저수지 • 세반호 • 세인트클레어호 • 송클라호 • 슈체친석호 • 슈코더르호 • 슈피리어호 • 아이다르쿨호 • 아프리카 대호수 • 알라콜호 • 애서배스카호 • 에어호 • 에이설호 • 오네가호 • 오대호 • 오키초비호 • 오흐리드호 • 온타리오호 • 우르미아호 • 우브스호 • 위니펙호 • 이리호 • 이식쿨호 • 자이산호 • 중난하이(중남해) • 차팔라호 • 천지 • 취리히호 • 카리바호 • 카프타이호 • 쿠로니아석호 • 쿤밍호 • 타르타르호 • 타우포호 • 타이호 • 탈레나이호 • 탕가니카호 • 테르미노스호 • 토런스호 • 톤레삽호 • 투르카나호 • 티티카카호 • 파투스호 • 페이푸스호 • 포양호 • 폰차트레인호 • 푸포호 • 프레스파호 • 프스콥스코예호 • 하문호 • 하산호 • 한카호(싱카이호, 항카호, 흥개호) • 홉스굴호 • 후룬호 • 휴런호
|
|
세계의 소금호
|
게어드너호 • 그레이트솔트호 • 나무초 소금호(남초호) • 마르치키타 소금호 • 멜리르 소금호 • 사해 • 아랄해 • 에토샤팬 소금호(에토샤판) • 엘제리드 소금호 • 차르한 소금호 • 칭하이호 • 카라보가스골만 • 카스피해 • 투즈 소금호 • 프롬호
|
|
세계의 폭포
|
과이라 폭포 • 나이아가라 폭포 • 빅토리아 폭포 • 앙헬 폭포 • 이과수 폭포 • 코네 폭포 • 황과수 폭포
|
|
세계의 운하
|
걸프만 연안수로 • 경항운하(대운하) • 라인-마인-다뉴브 운하 • 마이애미운하 • 백해-발트해 운하 • 베네치아운하 • 볼가-발트해 수로 • 수에즈운하 • 이리운하 • 카라쿰운하 • 코린토스운하 • 크라운하(끄라운하)(계획) • 킬운하 • 파나마운하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