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광양만

위키원
Jinshi2068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4일 (화) 11:55 판 (새 문서: 썸네일|400픽셀|'''광양만''' '''광양만'''(光陽灣)은 전라남도 여수반도 동쪽에 있는 이다. == 개요 == *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광양만

광양만(光陽灣)은 전라남도 여수반도 동쪽에 있는 이다.

개요[편집]

  • 광양만은 동서길이 17km, 만 어귀의 너비 9km, 수심 20~30m이다. 여수시 낙포각(洛浦角)과 광양시 장길곶 사이에 있다. 만 안에는 묘도(猫島)·송도(松島)·장도(獐島) 등의 이 있으며, 해안에 따라 넓은 간석지가 형성되어 있다. 김과 굴의 양식이 일찍부터 발달하였으나 광양만 연안 일대에 세워진 공업단지의 영향으로 바닷물 오염 현상이 일어나 피해가 많다. 봄과 여름에는 난류의 북상으로 난류성 어족이 모여들어 어장을 이룬다.[1]
  • 광양만은 전라남도 여수시와 광양시 사이에 있는 내해이다. 여수반도 동북단인 낙포동과 섬진강 하구를 잇는 서쪽 바다가 광양만에 해당된다. 광양만 입구는 동쪽 남해와 연결되며, 광양만 내(內)의 중앙에 묘도(猫島)가 있으며, 서쪽에 송도(松島)와 장도(獐島) 등의 섬이 있다. 섬진강 하구에는 태인도(현재는 광양제철소 부지로 매립)가 있었으며, 율촌면 동쪽 해안을 따라 넓은 개펄이 펼쳐져 있다. 광양만은 대형 선박이 자유로이 입·출항할 수 있는 20m 수심의 천연 수로와 산과 섬으로 구성된 자연 방파제에 둘러싸여 있어 정온수역을 유지할 수 있는 천혜의 만이다. 광양만의 해저 지형은 신생대 제4기 때 하곡(river valley)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기후는 북태평양에서 유입되는 쿠루시오 난류대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며, 연평균 기온은 14℃, 강수량은 약 1,200mm 내외로 많은 편에 속한다. 토양은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발달한 적색토가 도서 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2]
  • 광양만은 전라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만이다. 여수시가 속한 여수반도와 순천시, 광양시로 둘러싸인 만이다. 항구로는 여수시의 여천항(삼일항), 광양시의 광양항이 있으며 그 외에 광양제철소와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원료 수송항, 기타 어항이 있다. 여수광양만 또는 묘도만(猫島灣)으로도 불린다. 여수반도로 서쪽과 남쪽이 둘러싸여 있다. 만의 출구는 크게 2개로 나뉘는데 여수반도와 남해도 사이에 있는 여수해만, 그리고 남해도와 하동군 사이에 있는 노량해협이다. 이 중 노량해협은 폭이 좁고 섬이 많아서 소형 어선 외에는 통행량이 적고, 대형 선박들의 주된 통로는 여수해만을 이용한다. 만으로 흘러가는 주요 하천으로는 섬진강, 여수 쌍봉천, 율촌천, 중흥천, 상암천, 순천의 신대천과 용전천, 수어천, 광양 서천/동천 등이 있다. 여수-광양만 연안은 전라남도의 핵심 공업지대로 꼽힌다. 여수국가산업단지와 포스코 광양제철소, 광양항, 율촌산업단지가 들어서 있다. 그리고 경제자유구역인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이 이 여수광양만을 중심으로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광양만을 둘러싼 여순광 지역은 전라남도 전체 경제에서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산업화 이전에는 김 양식 등 각종 수산업이 매우 활발했으나 산업 시설들이 들어선 이후에는 많이 쇠퇴하였고, 섬진강 하구 지역에 잔존해 있다.[3]
  • 광양만은 전라남도 여수시와 광양시 남부에 있는 만이다. 만 입구는 동쪽으로 열려 있으며 입구에는 묘도(猫島)가 있다. 입구의 폭은 약 9㎞, 만입은 약 17㎞이며 수심은 2∼30m로서 곳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낸다. 1960년대 말 중화학기지인 여천공업기지가 건설되기 전까지만 해도 연안어업과 수산양식장으로 이용된 한적한 소만에 불과했으나, 1967년부터 만의 서안에 자리 잡은 삼일읍을 중심으로 석유화학공업이 중심이 된 여천공업지구가 건설되면서부터 8만t급 이상의 유조선이 출입하는 항만으로 변모되기 시작했다. 특히, 1982년부터는 만의 북안에 제2의 종합제철소라고 하는 광양제철소의 철강 및 관련공업지구가 건설되면서 광양만일대는 정유·석유화학·비료공업이 주종을 이루는 여천공업지역과 함께 대공업지대인 광양제철공업지대로 형성되었다. 또한, 광양제철소 앞 항만이 컨테이너 지정항으로 건설되면서 국제 무역항의 기능을 갖게 되었다. 광양만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서단에 해당하여 해안의 자연 경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노량진을 비롯한 임진왜란 전승 유적지가 많아 관광지로도 크게 각광받고 있다.[4]

광양만에 위치한 섬[편집]

  • 대륵도(大勒島)는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여동리에 속해 있는 섬이다. 광양만(灣)에 있는 섬으로, 면적 0.07㎢, 최고점의 해발고도 84.8m이다. 섬의 지형이 늑대를 닮았다 하여 늑대의 "늑"자와 음이 비슷한 굴레 "륵(勒)"자를 써서 대륵도(大勒島)라고 이름 붙였다. 일부 문헌과 지도에는 대인도(大靭島)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륵(勒)"자를 "인(靭)"자로 잘못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지질은 주로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고, 섬 전체의 경사는 비교적 완만하다. 약 150년 전 진주강씨가 처음으로 입도하였다고 전해진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며 생활하는데 주로 보리·고추·마늘을 재배하고, 꼬막을 양식한다.
  • 삼간도(三干島)는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에 속해 있는 섬이다. 광양만(灣)에 있는 섬으로, 면적 0.07㎢, 섬 둘레 1.7㎞, 최고점의 해발고도 37m이다. 근처에 일간도·이간도라 불리는 무인도가 있다. 섬과 섬 사이에 있다 하여 "사이(새)"라는 의미로 새섬이라고도 하고, 살갱이라고도 부른다. 남서쪽 해안 일대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에 종사한다. 고구마·콩·마늘·고추 등의 농산물이 재배되고, 바다에서는 멸치·전어 등이 잡히며 굴·꼬막·바지락 등의 양식업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인 낙동층군 하부에 해당되고, 토양은 모래·실트(silt; 모래와 찰흙 중간 굵기의 흙)·점토로 이루어져 있다.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편집]

  •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光陽灣圈經濟自由區域廳)은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칠성리 70번지에 있는 경제자유구역이다. 조세감면 자금지원, One-Stop 행정서비스 제공 등 경제활동의 각종 혜택을 부여하며 국내 다른 지역과는 다른 예외조치를 허용하는 경제 특별 구역이다. 광양항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외국 유수 물류 기업을 유치하고, 기존의 석유화학·제철산업을 활용하여 전후방 연관 산업을 육성하는 등의 목적으로 2003년 10월 30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4년 3월 24일 개청 되었다. 5개 지구, 24개 단지(산단 7개 지구, 물류 5개 단지, 관광 3개 단지, 배후 9개 단지)의 규모이다.

광양만의 유역환경[편집]

  • 광양만(光陽灣)은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과 삼일동, 묘도동 및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과 광양시 골약동 등지에 걸쳐 있는 만이다. 인접한 곳에 여천항(삼일항), 광양항이 있으며 광양시에서는 이순신 대교를 통해 여수시로 갈 수 있다. 이 만을 묘도만(猫島灣) 이라고도 부른다. 광양만의 최대 폭은 9㎞가량이고, 남북길이는 약 17㎞, 최대 수심은 33m이다. 조차는 1.3m가량이며, 조류는 밀물 때 1.7노트 썰물 때 2.1노트가량이다. 광양만의 북서쪽 서안에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이순신 장군이 지키던 신성포의 순천왜성이 있으며, 광양만 안쪽 곳곳에 간척지가 많고 여수시 삼일동 일대 개펄은 여수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되었다.
  • 광양만은 1967년부터 여수국가산업단지가 건설되어 대규모의 항만으로 바뀌었으며, 1982년에는 광양만의 북쪽 지역에 광양만 공업 지대가 조성되었다. 광양만은 과거 전어·뱀장어·문어 등의 어로와 김·고막·백합 등의 양식이 활발한 수역이었으나, 광양만으로 공장 폐수가 흘러들어 광양만 왼쪽 해안에 적조 현상이 일어나는 등 해수 오염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과거 광양만은 여수시의 생활권과 광양시의 생활권이 병존하는 공간이었으나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통해 이순신대교와 묘도대교가 건설되면서 접근성이 좋아졌다. 광양만 내에 있는 광양항은 1985년 광양제철 1기 설비 착공과 함께 기존 삼일항을 흡수하여 광양항으로 개항하였으며, 1991년 10월 항만법에 따라 무역항으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광양만은 지리적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와 인접하여 중국이나 홍콩, 동남아시아 환적 화물의 거점 항구로 최적의 입지 조건을 보이며, 계획형 신항만으로서 수요 증대에 따라 무한한 개발 가능성과 풍부한 발전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세계 제일의 광양제철소와 대규모 석유 화학 단지, 율촌지방산업단지가 산업 벨트로 형성되어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 진입 도로가 개설되면서 여수국가산업단지와 광양산업단지 사이의 통행 시간이 10분이 채 걸리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여수국가산업단지와 광양산업단지 입주 업체들의 물류비용 절감은 물론 광양만권 경제 자유 지역 개발 촉진, 순천 지역과 여수 지역 간의 국도 교통량 감소에 따른 소통 원활 등 많은 시너지 효과를 가져왔다.

광양만으로 유입되는 하천[편집]

  • 상암천(上岩川)은 전라남도 여수시 호명동·상암동·낙포동에서 흐르다가 광양만으로 빠져나가는 지방 2급 하천이다. 길이 5.13㎞, 유로연장 9.33㎞, 유역면적 19.57㎢로, 하도천(下道川)이라고도 부른다. 섬진강 권역의 섬진강 남해권 수계(水系)에 속해 있는 지방 2급 하천이다. 호랑산(虎狼山, 470m) 일대에서 발원하고, 여수시 호명동 872번지 근처에서 하천이 시작된다. 대체로 북서쪽으로 흐르면서 호명동과 상암동을 통과하여 낙포동 323번지 근처에서 광양만(灣)으로 빠져나간다. 하천 서쪽으로는 사근치에서 진례산에 이르는 산줄기가 뻗어 있고, 동쪽으로는 부월산에서 제석산에 이르는 산줄기가 이어져 있다. 상류 구간의 수질은 깨끗하지만, 하류 구간에는 여수 국가산업단지가 있어 수질이 좋지 않다. 하천을 따라 국도 77호선이 지나가고, 하류 일대에 여름철의 잦은 범람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막기 위하여 축조된 제방이 있다.
  • 율촌천(栗村川)은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산수리·월산리를 거쳐 흐르다가 조화리에서 광양만으로 빠져나가는 지방 2급 하천이다. 길이 4.26㎞, 유로연장 6.53㎞, 유역면적 11.14㎢로, 월평천(月坪川)이라고도 한다. 섬진강 권역의 섬진강 남해권 수계(水系)에 속해 있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앵무산(鸚鵡山, 343.4m)에서 발원하고, 여수시 율촌면 산수리 여평제(여평저수지)에서 하천이 시작된다. 동쪽으로 흐르면서 월산리를 통과하고, 조화리에서 광양만(灣)으로 빠져나간다. 하천수는 율촌면에서 가장들과 신풍들 다음으로 넓은 들녘인 산수들의 농업용수로 이용된다.
  • 중흥천(中興川)은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에서 흐르다가 광양만으로 빠져나가는 지방 2급 하천이다. 길이 3.03㎞, 유로연장 5.95㎞, 유역면적 7.4㎢로, 섬진강 권역의 섬진강 남해권 수계(水系)에 속해 있는 지방 2급 하천이다. 호랑산(虎狼山, 470m)과 영취산(靈鷲山, 439m) 사면에서 발원한다. 여수시 중흥동을 지나면서 대체로 북쪽으로 흐르다가 광양만(灣)으로 빠져나간다. 상류 쪽에 흥국사(興國寺,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8호)가 있고, 하류 쪽에는 여수 국가산업단지와 중흥저수지가 있다. 하상계수가 큰 하천으로, 여름철 집중호우 때에는 한꺼번에 많이 물이 하천으로 유입된다.
  • 쌍봉천(雙鳳川)은 전라남도 여수시 봉계동·소라면 덕양리·화치동 등지에서 흐르다가 광양만으로 빠져나가는 지방 하천이다. 길이 7.51㎞, 유로연장 9.52㎞, 유역면적 44.86㎢로, 덕양천(德陽川)이라고도 부른다. 섬진강 권역의 섬진강 남해권 수계(水系)에 속해 있는 지방 하천이다. 호랑산(虎狼山, 470m)에서 발원하고, 여수시 봉계동에서 하천이 시작된다. 대체로 북쪽으로 곡류하며 여천동·화장동·소라면 덕양리·화치동을 통과하여 광양만(灣)으로 빠져나간다. 하구(河口) 근처의 하류 구간에서 소라천(召羅川)이 흘러들어 온다. 하구 쪽에는 소라간척지가 조성되어 있다.
  • 남수천(南水川)은 전라남도 여수시 평여동과 월하동에서 흐르다가 광양만으로 빠져나가는 지방 2급 하천이다. 길이 2.21㎞, 유로 연장 5.14㎞, 유역면적 10.83㎢에 이른다. 섬진강 권역의 섬진강 남해권 수계(水系)에 속해 있는 지방 2급 하천이다. 호랑산(虎狼山, 470m)과 전봉산(戰鳳山, 379.3m) 일대에서 발원하고, 여수시 평여동 591-1번지 남수제(남수저수지)에서 하천이 시작된다. 여수 국가산업단지를 거치며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월하동 21번지에서 광양만(灣)으로 빠져나간다. 남수천(南水川)이라는 이름은 평려동 남수마을에서 비롯되었다.

광양 진월 전어잡이 소리[편집]

  • 광양만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어로(漁撈) 노동요이다. 2013년 12월 19일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광양만 일대 어민들이 어업 활동 시 부르던 어로 민요로, 광양시 진월면 신아리 신답마을 주민들이 전승하여 현재는 공연 형태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섬진강 하구와 남해안 지역의 생태 환경을 반영한 무형민속유산으로, 가사에 남해안의 대표 어종을 언급함으로써 광양만 특유의 어업 문화적 특징을 담고 있다. 진월 전어잡이 소리가 공연화된 계기는 1990년 제19회 남도문화제에 출전하면서부터이다. 이후 1998년 남도 문화제에서 민요부문 우수상을 수상하면서 마을 주민들이 보존회를 결성하고, 구전으로만 전해오던 전어잡이 소리를 텍스트로 구성했다. 이후 신답마을 주민들은 광양시의 재정적 지원을 받으며 망덕 포구에서 열리는 광양만 전어축제에서 이 노래를 정기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광양만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을 반영한 점에서 문화적, 민속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광양만(光陽灣)〉, 《두산백과》
  2. 광양만〉, 《향토문화전자대전》
  3. 광양만〉, 《나무위키》
  4. 광양만(光陽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광양만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