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송전만

위키원
Jinshi2068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31일 (금) 11:04 판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송전만''' '''송전만'''(松田灣)은 함경남도 동남해에 있는 이며 호도반도에 둘러싸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송전만

송전만(松田灣)은 함경남도 동남해에 있는 이며 호도반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동한만에 속한다.

개요[편집]

  • 송전만은 함남 남동쪽(현 강원 북부)에 있는 만이다. 호도반도(虎島半島)에 둘러싸여 있으며, 영흥만 ·함흥만 등과 더불어 동한만(東韓灣)에 속한다. 만에는 용흥강(龍興江) ·전탄강(箭灘江) ·덕지강(德池江) ·영포천(永浦川) 등이 흘러들어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감응(感應) 어장을 이루어 어족이 풍부하다. 주요수산물은 명태 ·정어리 ·고등어 ·대구 등이다. 그 밖에 굴 양식도 활발하다.[1]
  • 송전만은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만의 북쪽에 있는 만이다. 반도 남쪽 끝 대강곶(大江串)은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여 있다. 만의 입구 동안에는 외해의 파도를 피할 수 있는 장구억항(長九億港)이 있다. 영흥만에 비하여 수심이 8m 이하로 얕으며 간만의 차는 90㎝ 전후이다. 특히, 용흥강과 덕지강에는 연어가 많이 잡힌다. 연평균기온 10.6℃, 1월평균기온 -4.5℃, 8월평균기온 24.3℃, 연강수량 1,055㎜이다. 주요 수산물은 명태·정어리·고등어·연어·대구·굴 등인데 북쪽 소응진(巢鷹津)은 어장으로 유명하다.[2]
  • 송전만은 함경남도의 남동쪽 금야군 호도반도의 남시각 주항말에 이르는 사이에 있는 만이다. 송전만 기슭에 금야군 · 고원군, 강원도 천내군, 문천시에 잇닿아 있다. 금야만이라고도 한다. 남서각과 주항말을 연결한 만으로서 해안선의 길이 97.1km이고 어귀의 너비 5.2km이며 면적 83.3㎢이다. 남쪽으로 열려져 있는 송전만 안에는 답촌만과 같은 작은 만들이 있으며 대제도, 소제도, 큰구비섬, 작은구비섬을 비롯한 여러 개의 섬들이 분포되어 있다.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다. 송전만으로는 덕지강, 금야강과 같은 큰 강들이 유입되며 이 강들의 어귀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다. 삼각주에서는 갈이 재배된다. 바다밑 물매는 바다 기슭으로부터 만 어귀 쪽으로 가면서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송전만에는 굴, 해삼, 섭, 미역, 가자미, 청어, 숭어 등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이 지역은 호도반도가 바람과 바깥바다의 물결을 막아주기 때문에 물결이 잔잔하여 세소어업과 천해양식의 발전에 유리하다. 특히 송전반도 연안에서는 굴을 많이 양식한다. 송전만에는 연안지대를 오가는 수로가 개통되어 있으며 송전만 연안 간석지들에서는 새땅개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송전만에 흘러드는 하천[편집]

  • 금야강(金野江)은 함경남도 수동구 남부의 기대봉에서 발원하여 수동구와 요덕군을 거쳐 금야군 남동부에서 송전만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용흥강(룡흥강)이라 하다가 영흥군이 금야군으로 개편될 때 금야강으로 개칭하였다. '용흥강'이라는 이름은 태종(재위 1400∼18) 때 이곳에 온 하륜(河崙)이 '여기가 환조(桓祖)의 복거지(卜居地)요, 태조가 출생한 고장이니 이름을 용흥강이라 하자'고 한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예전에는 불류강(沸流江)·횡강(橫江)·요락지(瑤樂池)라 하였다. 함남 고원군 운흥리 각고산(角高山:1,039m) 기린령(麒麟嶺)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요덕군 남쪽에서 유로를 남동쪽으로 바꾸어 고원군·요덕군·금야군을 경유한 다음 하류에서 덕지강과 합쳐진 뒤 동해의 송전만으로 흘러들어간다. 각고산 남쪽 계곡을 흘러 내려오다가 덕지강(德池江)·입석천(立石川)·단속천(端屬川) 등 여러 지류들을 합류하면서 영흥에 큰 충적평야를 형성하였다.
  • 덕지강은 함경남도 수동구와 평안남도 양덕군 경계의 재령산(1,217m)에서 발원하여 동해의 송전만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길이 101.5㎞, 유역면적 1,176.8㎢, 유역평균너비 11.6㎞이다. 지류로 전탄강(54.6㎞)·사박천(23.0㎞)·수동천(21.5㎞)·건천천(16.5㎞)을 비롯하여 와우천·창리천·옥포천 등이 있다. 금야군 해중리와 강원도 천내군 염전리까지 흐르다가 동해로 유입된다. 유역 일대의 주요 기반암은 화강암·셰일·사암 등이다. 유역에는 소나무·참나무숲이 울창하고, 연평균강수량은 1,400mm로 수원개발 조건이 좋다. 하류 연안에는 경작지를 보호하기 위한 배수·양수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강물은 관개용수·공업용수·식수로 이용된다. 어종으로 연어·송어·황어·붕어·잉어 등이 서식한다.
  • 전탄강은 함경남도 고원군 산과 내. 함경남도 고원군의 남쪽 강원도와의 경계를 흐르는 강이다. 화살같이 물살이 빨라 살여울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옮겨 전탄강이라 하였다. 강원도 문천시 갈골령에서 발원하여 천내군 대양리와 함경남도 고원군 남흥리 사이에서 덕지강과 합류하여 동해의 송전만으로 유입된다. 길이 54.6km, 유역면적 369.5㎢, 유역 평균 너비 6.7km, 물매 8.8‰이다. 전탄강에는 서흥천, 구룡천이 유입된다. 유역의 기반암은 주로 화강암, 석회암, 편암 등이다. 상류중류는 산악하천의 특성을 띠며 하류부는 평지하천으로 되어 있다. 유역 일대는 산림이 울창하여 수원함양조건이 좋다. 연간 유출변화는 그리 심하지 않다. 전탄강에는 전탄보를 비롯하여 여러 개의 보, 제방, 양수장 등 관개시설들이 건설되었다. 이 강물은 관개용수, 공업용수로 이용되며 하류부는 해상수로로도 이용된다. 전탄강의 상류에는 높이 63m인 운림폭포가 있으며 강은 뱅어, 황어의 서식지로 알려졌다.

대제도[편집]

  • 함경남도 금야군의 남부 동해의 송전만에 있는 섬이다. 큰돗섬이라고도 한다. 면적 1,655㎢, 둘레 6.57㎞, 동서길이 1.3㎞, 남북길이 2㎞ 정도이다. 가장 높은 곳은 용화산(룡화산:168m)이다. 신생대 제3기 말~제4기 초 이 일대가 침강되면서 바다에 잠기지 않고 남아서 생긴 육도이다. 섬의 모양은 거의 삼각형이다. 섬의 북서부에 용화산이 솟아 있다. 남서쪽 사면의 경사는 완만하고 북동쪽 사면은 급하다. 섬의 주변에는 소제도를 비롯하여 작은 섬 10여 개가 산재한다. 대제도에는 소나무·참나무·싸리나무·다래나무·진달래·머루·칡 등이 분포하며 기후가 따뜻하여 대나무도 자란다. 일대 바다에는 굴·대합·섭조개·황어·가자미·농어·빙어 등이 서식한다. 또한 쌀·옥수수·감자·콩 등의 농작물이 재배되며 사과·복숭아·배 등의 과일도 생산된다. 1958년 9월 북한의 동물학자들은 구월산 일대에서 서식하던 고라니 16마리를 이 섬에 옮겨와 자연환경에 적응시켜 금야군과 정평군·함주군·요덕군·고원군 등지에 퍼뜨렸다.

송전만의 지리환경[편집]

  • 영흥군의 호도반도(虎島半島)가 동쪽을 막고, 문천군의 송전반도가 서쪽에서 돌출하여 만구 약 10㎞를 형성한다. 만 내에는 대저도(大猪島)·소저도(小猪島)·신도(薪島) 등의 섬이 있으며, 용흥평야를 관류하는 용흥강(龍興江)·전탄강(箭灘江)·덕지강(德池江)·영포천(永浦川) 등이 흘러들어 많은 퇴적물을 형성하였고,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어 어족이 풍부하고 굴 양식이 성하다.
  • 호도반도의 형성은 송전만의 외해를 막는 곳에 호도가 있었는데, 북한해류가 남류 하면서 동으로 뻗어 나온 삼봉산의 해안을 깎아 사주를 길게 형성하여 20㎞에 이르는 반도를 형성하였다. 즉, 북한해류는 호도의 북쪽에 토사를 퇴적시키면서 상포(上浦)·하포(下浦)·신장지(新獐池)·구장지(舊獐池)·두무포(斗武浦) 등의 석호(潟湖 : 바다 일부가 外海와 분리되어 생긴 호소)를 형성하였다.

금야 철새도래지[편집]

  • 함경남도 금야군 남동부의 송전만에 있는 철새도래지는 1980년 1월 북한 천연기념물 제275호로 지정되었다. 송전만으로 흘러드는 금야강과 덕지강 하류의 삼각주 일대인 해중리(海中里)·광덕리(廣德里)와 호도반도에 있는 원평리(原平里)·독구미리(獨九味里)의 해안 일대를 포괄한다. 동해안의 주요 철새도래지로서, 10월 중순부터 다음 해 3월까지 흰두루미·흰목검은두루미·고니·너화 등이 이곳에서 겨울을 난다. 12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는 흰꼬리수리, 흰죽지수리가 겨울을 나며, 드물게 번대수리도 날아든다. 이 밖에 바다꿩·진경이를 비롯한 수십 종의 오리들도 찾아온다. 해중리 일대에는 두루미가 많은데, 그중에는 몸무게가 10kg, 키가 1m 정도 되는 것도 있다. 독구미리·원평리·광덕리 일대에는 고니가 많이 날아온다.

생태환경[편집]

  • 북한 함경남도 동해연안 송전만 기슭의 넓은 지역을 포괄하고 있는 금야습지들이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물새들의 서식지의 하나이다. 금야 습지들에는 물새들이 많이 날아드는 지역은 동해로 흘러드는 금야강과 덕지강의 하류 일대로 유형이 다양하고 물자원과 동식물이 풍부해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새들의 서식지, 보호지로 되고 있다. 이 지역은 물새들의 보호증식에 유리한 늪과 진펄, 갈밭과 논벌, 소금밭, 바다연안수역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습지와 잉어, 숭어, 조개, 새우 등 물고기류와 수생동물, 줄풀, 갈 등 풍부한 동식물자원으로 1995년 금야철새보호구로 설정됐다다. 보호구는 해마다 전 지구적 및 지역으로 이동하는 물새들의 1%이상이 서식하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2018년에 동아시아-오세안주철새이동경로지역망대상지로 등록됐다.
  • 금야의 습지에서 물새들이 많이 날아드는 또 다른 지역은 바다자리호수인 하포로 해마다 2~3월에는 수 십종의 물새들이 날아와 호수를 뒤덮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생태계들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는 금야의 습지들에는 해마다 백수십 종의 물새들이 계절에 따라 날아들고 있다. 지역적 마릿수의 5%의 흰두루미와 혹고니, 1%의 큰고니, 7%에 달하는 쇠기러기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밖에도 쇠기러기, 붉은부리갈매기, 알숭오리, 가창오리, 검은댕기흰죽지오리, 뿔농병아리, 갯도요 등 수 만 마리의 물새들이 이 습지에서 관찰된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송전만(松田灣)〉, 《두산백과》
  2. 송전만 (松田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송전만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