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상류

위키원
Jinshi2068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16일 (금) 15:49 판 (새 문서: '''상류'''(上流)는 하천에서 발원지와 가까운 곳의 물줄기이며 하천 위쪽의 물줄기를 뜻한다.<ref> 〈[https://namu.wiki/w/%EC%83%81%EB%A5%98 상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류(上流)는 하천에서 발원지와 가까운 곳의 물줄기이며 하천 위쪽의 물줄기를 뜻한다.[1]

개요

  • 상류는 흐르는(流) 물의 윗부분이며 이나 내가 시작되는 부분이다. 상류는 하천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며, 흐르는 물의 양이 적으나 흘러가는 속도가 빠르다. 강의 상류에서는 퇴적 작용보다 침식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또 하천 바닥에는 거칠고 큼직큼직한 돌들이 흩어져 있다. 강의 상류에서는 침식 작용이 활발하여 흐르는 강물이 수직으로 떨어지는 폭포가 생기기도 하고, 강바닥 쪽을 향한 침식 작용이 활발하기 때문에 수심이 깊다. 바닥이 좁은 V자 모양의 계곡을 볼 수 있다. 강물에 의해 운반된 자갈과 모래가 평지를 향해 부채꼴 모양으로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선상지라고 한다. 상류는 강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력발전소를 짓기에 유리한 지형이다. 험한 지형을 이용한 래프팅하기에 좋고, 피서지로 이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류수는 산과 같은 하천의 상류지역에 위치하여 오염원이 없으므로 DO가 높고, 탁도가 낮으며, 물이 맑고 깨끗한 경향이 있다.
  • 상류는 하천의 맨 시작점을 기준으로 한다. 상류들은 하천의 폭이 좁으면서 경사가 급해서 흐르는 물의 양이 적지만 흘러가는 속도가 빠르다. 또한 하천의 바닥들에는 거칠면서 큼직한 돌들이 흩어져있다. 중류는 상류들 보다 하천의 폭이 넓으면서 경사가 완만해서 흐르는 물의 양이 많다. 그리고 또한 물이 흘러가는 속도가 느리다. 하천 바닥의 크고 작은 돌들은 둥근 형태를 띤다. 하류들에서 하천의 폭이 매우 넓으면서 흐르는 물의 양도 풍부하다.

배수(backwater,背水)

  • 하천이나 강을 이나 수문으로 가로막았을 경우 물의 흐름에 변화가 생겨 수면 변화가 상류(上流)에 미치는 것을 말하는데, 조용히 흐르는 상류(常流)와 달리듯 흐르는 사류(射流)에서 미치는 범위의 차이가 있다.
  • 수로(水路)의 흐름에는 조용히 흐르는 상류(常流)와 달리듯 흐르는 사류(射流)가 있다. 상류의 경우에는 어떤 지점에서 흐름에 변화를 주면 그 영향이 수면변화라는 형태로 상류(上流)에 전해지지만 사류에서는 바로 가까운 상류(上流)부분을 제외하고 그 영향이 먼 상류에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류(上流)에 수면변화가 미칠 때의 수면의 종단곡선(縱斷曲線)을 배수곡선(背水曲線)이라고 한다.
  • 강에 댐을 건설하면 담수끝[湛水端]은 상류(上流)가 되므로 그 위치를 미리 계산하여 토지를 매수하거나 도로를 새로 내는 등의 계획을 세운다. 또 강이나 하천에 다리 ·수문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면 흐름이 방해되어 상류 쪽의 수위가 상승한다. 반대로 수로 밑에 단락이 있거나 경사가 급하면 상류(上流)로부터 그 점을 향해서 수면이 강하된다. 이와 같은 배수를 저하배수(低下背水)라고 한다.

상류의 생태

  • 건강한 하천은 물질순환에 의한 에너지흐름이 원활하므로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게 되지만, 수질 오염이나 개발로 인해 그 기능의 일부가 마비되면 곧바로 죽은 하천으로 변해버리고 만다. 하천은 물길의 경사, 유속, 수심, 바닥의 상태, 염분의 정도에 따라 흔히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된다. 환경조건이 다른 상류, 중류, 하류에서는 각각 다른 종류의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물고기의 종류만 해도 상류에서는 버들치, 금강모치, 어름치, 쉬리 등 37종, 중류에서는 피라미, 붕어, 각시붕어, 모래무지 등 65종, 하류에는 염분의 영향에도 잘 적응하는 숭어, 꾹저구, 풀망둑 등 약 77종의 물고기가 분포한다.
  • 강의 상류와 중류의 경사진 곳은 물이 비교적 빠르게 흘러 작은 모래가 씻겨 나가므로 바닥에는 자갈이 많이 깔려 있다. 수심은 깊지 않고 물 표면에 물결이 심하게 일면서 하얀 물거품이 생긴다. 이곳은 물이 비교적 깨끗하고 산소가 풍부하며 물 속까지 많은 양의 햇빛이 비추고 있다. 이와 같은 조건 때문에 물 속의 돌 위에는 부착조류가 많이 붙어 있어 많은 양분을 만들어 내고, 이것을 주변에 있는 여러 종류의 강도래, 날도래, 하루살이, 뱀잠자리 등과 같은 수서곤충의 유충들과 다슬기들이 먹고 살면서 그들은 또 물고기의 먹이가 되고 있다. 생물들이 살아가는데 매우 좋은 조건을 지닌 곳이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생물들이 모여 살고 있고, 동시에 산란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동쪽에는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이 높이 솟아 있어 대부분의 큰 강은 서쪽으로 흐르면서 경사진 곳이 많아 긴 여울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여울은 수심이 비교적 얕고 물살이 빠르기 때문에 여기에 사는 물고기들은 행동이 민첩하고 바닥 생활에 잘 적응하여 돌 틈에 숨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의 민물고기 대부분이 이와 같은 여울부에 사는 저서성 어류인데 쉬리, 어름치, 배가사리, 자가사리, 동상어, 꾸구리, 모래주사 등이 그들이다.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좁은 공간에서도 많이 나타나는 것은 종류에 따라 먹이를 서로 달리하거나 사는 장소나 시간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슷한 종 사이에 먹이나 서식공간을 달리하여 서로 경쟁을 피하게 되는 것을 경쟁배타의 원리라고 한다.

압록강의 상류

  • 백두산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면서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총 길이는 795㎞이고 유역 면적은 6.19만 ㎢이며 양안에 임강, 집안(集安) 등 관광 도시가 있고 단동과 북한에 위치한 신의주 등 공업 도시가 있으며 변경 조약에 의하여 압록강 수면은 북한과 중국의 공동 소유로 하였다.
  • 압록강은 상류의 일부 지역이 현무암으로 구성되었을 뿐 대부분의 하천 바닥은 선캄브리안 시기 암석으로 구성되었다. 하천이 흘러 지나는 골짜기 대부분은 아주 깊어 마치 협곡과 비슷하였으며 양안은 해발 600~1,200m 되는 산봉우리로 겹겹이 둘러져 있다. 압록강은 하천 발원지로부터 임강까지 하천 상류 구간을 형성하였다. 상류 하천은 험산준령을 흘러지나 사면이 가파르고 유속이 빠르며 골짜기 너비는 약 50~150m이며 양쪽은 나무가 무성하여 숲을 이루었고 사처에 폭포와 암초가 있다.
  • 역내의 식물 피복도가 60% 이상에 도달하며 푸르고 맑은 강물에는 무수한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압록강 연안은 습윤한 온대 계절풍 기후구로 겨울철에 춥고 여름철에는 따뜻하다. 또한 상류와 하류의 자연조건도 차이가 큰데 7월 상류의 평균 기온이 18~22℃인 반면 중류의 평균 기온은 23.2℃, 1월 상류의 평균 기온은 –17~-22℃, 중류는-14.8~-15.9℃이다. 지류 쪽은 강수량이 풍부하고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강수량이 많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임강 수력 발전소, 운봉 수력 발전소, 위원 수력 발전소, 수풍 수력 발전소, 태평만 수력 발전소, 의주 수력 발전소 등 총 12개의 계단식 수력 발전소가 있다. 이 발전소들의 총 설비용량은 253.2만 ㎾에 달하고 연 발전량은 100억 ㎾h에 달한다.

도시하천 상류의 특성과 기능

  • 도시 하천은 다른 수(水) 공간과 생태학적으로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도시하천은 호수와 같은 닫힌 생태계가 아니라 물질의 이동이 자유롭고, 상류와 하류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어 상류지역의 오염이나 물질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하천은 여러 지류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수량의 변동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 하천 주변의 습지와 식생은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생물이 이동하는 생태통로이다. 도시 하천은 다른 수(水) 공간과 생태학적으로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도시하천은 호수와 같은 닫힌 생태계가 아니라 물질의 이동이 자유롭고, 상류와 하류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어 상류 지역의 오염이나 물질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하천은 여러 지류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수량의 변동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 하천의 상류에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과 같은 분해성 유기물은 물속에 희석되고, 어느 정도까지는 호기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며, 하천에 침전 분쇄됨으로써 자정작용을 한다. 또한 하천은 수문순환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과 기후조절 능력 또한 지니고 있다.
  • 하천 생물의 서식유형은 상. 중. 하류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띠는데, 특히 상류와 중류에서 반복되는 깊은 소와 여울은 하천 생물의 서식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하천 주변인 수변이 갖는 생태적 기능은 수변 식생의 기반을 이루면서 주변지역에서의 침식 및 유기물의 퇴적이라는 특징을 갖게 된다.
  • 하천을 따라 상류로부터 다양한 물질들이 흘러ㅘ 하천변에 쌓이게 된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이 물질들은 늘어가고, 개중에는 물에 휩쓸려 떠내려가기도 하고, 하늘로 날아가기도 하고, 때로는 식물에 흡수되거나 광합성에 의해 형질이 변형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하천변에서는 수많은 생명이 태어나기도 하고 죽기도 하고, 다른 형태로 변형되기도 한다. 이렇게 하천은 결국 물질을 소비하기도 하고, 공급하기도 하고, 전환시키기도 하는 생화학적 기능을 도맡는다.

관련 기사

  • 인제지역 소양강 상류 인북천 유역 농경지 발생 흙탕물 저감을 위해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가 함께 힘을 모아 나선다. 인제군과 한국DMZ평화생명동산,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인제전문센터, 인북천의 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인제군 새마을회 등 4개 단체는 최근 군청 소회의실에서 인북천 유역 등 비점오염원관리지역 흙탕물 저감을 위한 상호 협력 협약을 가졌다. 이번 협약에 따라 각 기관·단체는 소양강 상류 농경지에서 흘러내리는 토사의 하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농경지 관리기법 확대·보급, 비점오염의 발생 원인과 특성을 고려한 저감 사업 발굴, 주민 거버넌스 운영·지원 등 비점오염관리·해결을 위해 적극 협력키로 했다. 특히 이번 협약은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들의 자발적인 참여 아래 이뤄지면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인제군은 2022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6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강원대 비점오염연구센터와 함께 흙탕물 저감사업을 위한 주민 교육, 흙탕물 저감 농업 기법과 자재 보급 등 주민참여형 농업 비점오염 집중관리사업에 주력하고 있다.[2]
  • 낙동강 상류 6곳의 지류·지천에 서식하는 담수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1년 8월 17일 금호강·황지천·감천 등 낙동강 상류 6곳의 하천에 사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과 수변·수생식물 등의 정보를 담은 생물지도(낙동강 생물길 1∼4)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2017년부터 최근까지 '낙동강 상류 중심의 담수생물다양성 분석 연구사업'을 통해 도심지 인근·폐탄광·농경지 등을 흐르는 낙동강 지류·지천 6곳의 담수생물 현황을 조사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87종, 수변·수생식물 599종을 확인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다슬기·재첩과 같이 하천 등에서 서식하는 담수생물 중 눈으로 구별할 수 있고 척추가 없는 생물을 말한다. 정남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낙동강 상류의 담수생물에 대한 이해와 보전·관리의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생물지도는 연구기관과 학교 등에 배포하고 담수생물다양성 정보포털 누리집에서 전자책 형태로 제공한다'고 말했다.[3]

동영상

각주

  1. 상류〉, 《나무위키》
  2. 진교원, 〈인제 소양강 상류 흙탕물 저감 위해 주민·환경단체 손잡았다〉, 《강원도민일보》, 2022-12-13
  3. 박승기 기자, 〈낙동강 상류 하천에는 어떤 생물이 서식할까?〉, 《서울신문》, 2021-08-17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상류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