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평야(金海平野)는 낙동강 하구 삼각주에 발달한 충적평야이다.
개요
- 김해평야는 면적 약 130 ㎢, 너비 약 6~12km, 길이 약 20km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부산시 대저동(大渚洞)·명지동·가락동의 전부, 김해시 대동면(大東面)·장유동(長有洞)의 일부, 김해시의 화목동·전하동 등에 걸쳐 있다. 평야지대는 제4기 이후 여러 차례의 홍수와 하도변화(河道變化)·해수면 변동 등에 의해 변형을 거듭하여, 곳곳에 파괴된 자연제방과 구하도를 볼 수 있다. 충적층의 두께는 10m가 넘는 곳이 대부분이나, 곳에 따라서는 칠점산(七點山:35m)과 같이 기반암이 노출된 곳도 있다. 낙동강이 구포역(龜浦驛) 북쪽 2km 지점의 안막리(雁幕里)에서 갈라져 흐르다가 도중에서 그물처럼 흐르면서 많은 하중도가 발달하였다. 하구 부근에는 저습한 일웅도(日雄島)·을숙도(乙淑島)가 형성되어 갈밭을 이루고 있다. 퇴적이 계속되어 삼각주는 매년 바다로 향해 늘어 가고 있다. 기후는 해양성 기후로서 온난하며, 남해산맥(南海山脈)을 등지고 바다에 면한 배산임해지(背山臨海地)는 동난하량(冬暖夏凉)하여 뛰어난 보양지대를 이룬다. 평야의 대부분은 벼농사 지대이나 북부에서는 과수, 중남부에서는 채소 재배지로 이용된다.[1]
- 김해평야는 김해평야(金海平野)는 낙동강 하류의 낙동강과 서낙동강 사이의 삼각주와 그 인근의 평야 지대를 가리키는 말로, 면적은 약 136km2이다. 낙동강 삼각주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삼각주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강동동, 명지동, 가락동 및 경상남도 김해시 칠산서부동(화목동·이동·강동·전하동·흥동·풍유동·명법동), 대동면 등에 걸쳐 있다. 낙동강 하구는 낙동강이 운반하는 토사량이 많고 경사가 완만한 데다 조수간만의 차이가 적어 운반물질의 퇴적으로 인한 삼각주 지형이 발달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는 오랜 옛날 지금보다 북쪽인 김해시 대동면과 부산 북구 금곡동까지 들어간 거대한 만(灣)이었으나 점차 두꺼운 충적층으로 매립된 삼각주가 형성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낙동강의 삼각주에는 대저도(大渚島), 명지도(鳴旨島), 덕도(德島), 대사도(大沙島), 제도(濟島), 맥도(麥島) 등의 많은 하중도(河中島)가 있었는데, 1934년 대저제방 축조 후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2]
- 김해평야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낙동강 삼각주(三角洲)에 발달된 퇴적평야이다. 김해평야는 대부분 현재의 낙동강 서쪽에 발달되어 있다. 낙동강 서쪽의 넓은 삼각주는 본래 경상남도 김해의 땅이었다. 그러나 1980년 이후 부산의 시역(市域)이 확장됨에 따라 지금은 거의 전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게 되었다. 갈대가 무성히 자라던 김해평야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에 대저제방을 축조하고, 낙동강을 동쪽 분류로만 흐르게 하면서부터였다. 대저제방은 낙동강의 서쪽 분류인 죽림강(竹林江) 입구의 북쪽에서 시작해 김해평야 남단까지 거의 직선으로 계속된 다음, 서쪽으로 꺾여 죽림강 하구의 노적봉 부근에서 끝나는데, 전체 길이가 약 32㎞에 달한다. 대저제방의 축조로 인해 낙동강은 동쪽의 본류로만 흐르게 되었다. 낙동강 하부 삼각주 일대는 1987년 낙동강 하구언 건설 이후 새로운 용도로 토지이용이 이루어져 명지주거단지 그리고 신호공단과 녹산국가공단이 들어섰고, 가덕도와 용원ㆍ안골ㆍ웅동만ㆍ와성만 일대에 부산 신항만이 개발되는 등 큰 변화가 일어났다. 주변보다 고도가 높은 대저도 북쪽의 자연제방은 일찍부터 과수원으로 개발되어 배의 생산으로 유명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시가지로 개발되었다. 파의 재배로 유명한 명호도는 지금도 근교농업이 성하며 열대과일이나 화훼 재배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3]
평야의 구분
- 평야는 형성 원인에 따라 크게 퇴적평야와 침식평야로 나눌 수 있다.
- 퇴적평야는 하천·빙하·바람 등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평야를 말한다. 가장 보편적인 퇴적평야는 하천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가리켜 충적평야라고 한다.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빙하의 퇴적작용으로 형성된 퇴적평야의 예로는 빙력토 평원(氷礫土平原)이 있다.
- 침식평야는 하천·빙하·바람·파랑 등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평야를 말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구조평야가 있다. 구조평야는 지질구조가 그대로 평야를 이룬 지형을 의미하는데, 과거 지질시대에 형성된 지층이 오랜 기간 지각변동을 받지 않은 채로 하천·빙하·바람 등의 침식작용을 받아 남아있는 평야이다. 특히 구조평야는 대륙의 규모로 펼쳐져 있는 대지형(大地形)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데, 유럽-러시아 대평원, 시베리아 평원, 미국의 중앙대평원, 아르헨티나의 팜파스(Pampas), 오스트레일리아의 중앙평원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규모의 평야들이 이에 해당한다. 런던이나 파리 분지와 같이 암석의 경연차(硬軟差)에 따른 지질구조가 드러난 케스타(cuesta) 지형도 구조평야의 예가 된다. 이밖에 침식평야의 예로는 건조기후 지형인 페디플레인(pediplain), 파식대의 융기에 의한 해안평야, 빙하의 침식에 의한 빙식평원 등이 있다. 한편 우리나라 서해안 일대에 많이 나타나는 구릉성 평야나 하천의 합류점 등에 나타나는 침식분지 등도 침식평야의 예로 볼 수 있다.
- 형성되는 지형적 특성에 따라 해안가에 형성되는 해안평야나 이미 형성된 골짜기에 형성되는 곡저평야(谷底平野), 한국의 대하천 하류에 펼쳐진 평야와 같은 곳들은 침식평야와 퇴적평야의 성격을 모두 가지기도 한다. 한국에서 가장 넓은 평야로 꼽히는 호남평야도 이 두 가지가 모두 작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해평야의 지형
- 김해평야는 낙동강 삼각주상에 형성된 평야이다. 낙동강 삼각주는 구포 부근까지 들어왔던 만(灣)이 낙동강의 토사로 메워져 형성된 지형이다. 낙동강은 토사유출량이 많고, 하구의 대조차(大潮差)가 1m에 불과하다. 낙동강 삼각주는 주로 하천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삼각주가 바다로 성장해 나갈 때 파랑의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형성된 부분, 즉 상부 삼각주와 하부 삼각주로 구분된다. 낙동강은 양산협곡을 벗어나면서 두 개의 큰 분류로 갈라지며, 이들 분류에서 다시 2차적인 분류들이 갈라진다. 그리고 일련의 분류는 삼각주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대저도ㆍ맥도ㆍ일웅도ㆍ울숙도 등의 하중도(河中島)를 에워싸고 있다. 김해평야는 양산협곡의 남단에서부터 남해에 면한 명지동까지 계속되며, 동서의 폭은 6∼12㎞, 남북의 폭은 약 20㎞, 면적은 약 130㎢이다.
- 낙동강이 두 개의 큰 분류로 갈라지는 곳에 형성된 대저도(大渚島) 상단부의 자연제방은 해발고도가 약 8m로 전체 삼각주에서 가장 높은데, 일제강점기에는 배의 재배가 활발하였다. 대저도에서도 자연제방으로 둘러싸인 중앙부는 고도가 낮아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오랜 동안 갈대밭으로 남아 있었다. 명호도(鳴湖島)는 대저도보다 고도가 낮지만 바다에 가까워 홍수피해가 적었으며, 지면이 다소 높은 비치리즈(Beach Ridge)에는 일찍부터 취락들이 들어서 있었다. 명호도의 토양은 사질(砂質)이어서 대파가 많이 재배되었다. 또한 명호도는 1950년대까지 천일염의 주요 생산지였다.
- 낙동강 삼각주의 말단인 명호도 전면에는 나무싯등ㆍ새등ㆍ옥림등ㆍ대마등ㆍ진우도ㆍ신호도 등의 연안사주가 발달해 있다. 연안사주는 바다로 유출된 모래가 파랑에 의해 육지 쪽으로 밀어붙여져 형성된 지형으로 주민들은 이것을 '등'이라고 부른다. 1950년경 대마등은 삼각주의 최전방에 위치했으며, 서쪽으로는 진우도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진우도는 그 뒤 서쪽으로 성장해 나갔고, 대마등은 축소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옥림등이 형성되었다. 새로운 연안사주는 1987년 낙동강 하구언이 건설된 이후에도 계속 발달해 왔다.
김해평야의 낙동강 삼각주
낙동강 삼각주는 낙동강과 서낙동강 사이의 삼각주를 가리키는 말로, 이 지역은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강동동, 명지동에 속한다. 낙동강 삼각주는 크게는 하나의 섬으로 볼 수 있지만, 낙동강의 지류인 평강천과 맥도강에 의해 4개의 하중도로 구분할 수 있다.
- 대저도(大渚島) : 삼각주의 중심으로, 김해국제공항이 있다. 동쪽으로 낙동강과 접하며, 행정구역상 부산 강서구 대저1동과 대저2동에 속한다.
- 덕도(德島) : 삼각주의 서부(西部)로, 행정구역상 부산 강서구 강동동에 속한다. 북쪽의 대사도(大沙島)와 제도(濟島), 남쪽의 평위(平渭)·수봉(水鳳)·천자(天字)섬 등 여러 섬이 제방을 쌓아 합쳐졌다.
- 명지도(鳴旨島) : 삼각주의 남부(南部)로, 행정구역상 부산 강서구 명지동에 속한다. 북쪽의 순아도(順牙島)가 합쳐졌다.
- 맥도(麥島) : 낙동강 본류와 맥도강에 둘러싸여 있는 섬으로, 행정구역상 부산 강서구 대저2동에 속한다. 남서부의 송백(松栢)섬이 합쳐졌다.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평야〉, 《나무위키》
- 〈평야〉, 《위키백과》
- 〈김해평야〉, 《위키백과》
- 〈김해 평야〉, 《나무위키》
- 〈한국의 평야〉, 《위키백과》
- 〈김해평야(金海平野)〉, 《두산백과》
- 〈평야(平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해평야(金海平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박준언 기자, 〈김해평야의 선택은 ‘최고급 쌀’〉, 《경남일보》, 2021-04-22
- 가야왕도 김해, 〈김해평야 그 수탈의 역사〉, 《네이버블로그》, 2014-11-21
같이 보기
 이 김해평야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일본 도시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태국 행정구역, 베트남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진영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안천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굴포운하)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평안남도)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면운하(판목운하)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이사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탐진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주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구암호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랑림호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서흥호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연탄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댐
|
금성댐 • 부전댐 • 수풍댐 • 운봉댐 • 은파댐 • 임남댐(금강산댐) • 장진댐 • 태천댐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령만 • 강진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수영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울산만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가도 • 가파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문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마양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금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서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강령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마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부안반도 • 산이반도 • 송전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읍저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