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월산
구월산(九月山)은 황해남도 은율군, 삼천군, 안악군, 은천군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 954m이다.
개요[편집]
- 구월산은 궁홀산, 증산, 아사달산, 삼위산(三危山)이라고도 한다. 구월산맥의 일부에 속한다. 산의 이름은 태음력의 9월에서 유래되었는데 특별하게 이 달 중에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이다. 주요 봉우리들은 주가봉·단군봉·인황봉 등 909개 봉이라 전해지는 수많은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고봉은 사왕봉으로 954m이다. 백두산, 묘향산, 금강산, 칠보산, 지리산과 함께 한반도의 명산 가운데 하나이다. 산중에는 용연폭포를 비롯하여 수많은 폭포가 있고 부연(釜淵)·마연(馬淵)·요연(腰淵) 등 산수의 절경과 7년간의 왕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는 석담(石潭)·고요연(高腰淵) 등이 있다. 또 신라 때 발견되었다는 달천온천이 있다.[1]
- 구월산은 북한 황해남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 일도면에 위치한 4대 명산 중 하나이며, 택리지에 따르면 가야산, 칠보산, 묘향산 그리고 청량산과 더불어 명산이라고도 소개한다. 근현대사에서는 6.25 전쟁 당시 이 지역에 잔존했던 우익 무장세력인 구월산 유격대의 주요 활동 장소이기도 했다.[2]
- 구월산은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이며 그 높이 945m이다. 기반암은 흑운모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심한 풍화작용으로 도처에 기암절벽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작은 내가 흘러 풍치가 아름다운 곳이 많아 명승지를 이룬다. 아사달산(阿斯達山)·궁홀(弓忽)·백악(白岳)·증산(甑山)·삼위(三危)·서진(西鎭) 등으로도 불린다. 구월산이라는 말은 이 산이 소재하는 구문화현(舊文化縣)의 고구려 시대의 지명인 궁홀, 또는 궁올(弓兀)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는데 이것이 궐구(闕口)로 변하였고, 다시 미화되어 구월산으로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민간인 사이에서는 단군(檀君)이 아사달에서 9월 9일에 승천하여 신(神)이 되었으므로 구월산이라 일컫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최고봉은 사왕봉(思王峰 또는 思皇峰)이라 하는데, 이곳에서 사방을 둘러보면 동남쪽으로 안악·신천·재령 등의 평야 지대와 서북쪽으로 넓은 황해와 평안남도의 남포까지도 시야에 들어온다. 또한, 북동쪽에는 오봉산(859m)이, 남쪽에는 아사달봉(阿思達峰, 687m)·비산(飛山, 583m) 등이 있다.[3]
- 구월산은 황해남도 북서부 지역의 은률군, 안악군, 삼천군, 은천군 경계에 솟아 있는 산이다. 단풍든 9월의 풍경이 하도 아름다워 구월산이라 하였다. 궁골산, 증산, 아사달산, 삼위산 등으로 불렸다. 특이한 산악미, 계곡미를 자랑하는 구월산은 예로부터 북한 5대 명산의 하나로 알려졌다. 해발 954m(사황봉), 면적 110㎢. 구월산은 주봉인 사황봉을 비롯하여 오봉(859m), 주거봉(823m), 삼봉(615m), 아사봉(688m) 등 기묘하게 생긴 99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다. 구월산에는 16세기 중엽 봉건적인 신분차별과 가혹한 착취를 반대하여 일어난 임꺽정이 거느리는 농민 무장단의 근거지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침략자들을 반대하는 애국적인 주민들의 의병근거지로 되어 있었다.
한반도의 산[편집]
- 한반도는 산지 면적이 전국토의 약 70% 이상(남한 69.4%)을 차지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높은 편은 아니다. 대부분의 산지의 높이는 2,000m 이하이며, 가장 높은 백두산이 2,744m, 남한의 최고봉인 한라산도 1,947.06m에 불과하다.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는 국토의 약 10%이며, 200 ~ 500m의 저산성 산지가 약 40% 이상을 차지한다. 남한 본토(내륙)에서 가장 높은 산은 지리산 천왕봉으로 높이가 1,915m이다.
- 산지의 높이는 북쪽과 동쪽으로 감에 따라 높아지고 험하다. 따라서 한반도의 산지는 북쪽과 동쪽의 높은 산지와 서쪽과 남쪽의 비교적 낮은 구릉성 산지로 구분되며, 남서쪽으로 완만히 기울어지는 '경동성 지형'을 이루고 있다.
- 한반도는 오랫동안 침식을 받아 전반적으로 낮고 편평했으나, 단층 요곡 운동과 함께 융기 운동을 받아 현재와 같은 지형이 형성되었다. 특히 북동쪽은 융기가 크게 나타나 높고 험한 산지를 이루었다. 비교적 높은 곳에 융기 이전의 평탄한 면인 '고위 평탄면'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오랫동안 산이 깎이고 쌓여서 준평원이 다시 지각 운동으로 인하여 몇 차례 솟아오르며, 단단한 부분이 그대로 굳어 버린 것으로 개마고원 지대에 가장 넓게 분포한다. 그리고 태백산맥의 대관령 부근과 삼척 부근을 비롯한 여러 곳에 남아 있다.
구월산의 사찰[편집]
- 구월산에는 고려 시대 이후 불교 사찰이 많이 지어졌으며, 오래된 15개의 사찰과 8개의 암자가 있다. 대표적 사찰로는 산 동쪽(山內)에 있는 패엽사(貝葉寺, 일명 寒山寺)와 산 서쪽(山外)에 있는 정곡사(停轂寺)가 있다.
- 패엽사는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에 있는데 신라시대의 구업대사(具業大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法深이 창건하였다는 이설이 있음.), 불교 31본산 중의 하나이다. 본전 한산전(寒山殿)은 구도가 우수하고 세부가 번잡하지 않아 조화의 극치를 이룬다. 월정사(月精寺)·묘각사(妙覺寺)·낙산사(洛山사) 등 황해도내 25개 사찰을 관할한다. 정곡사는 은율읍에서 동쪽으로 8㎞ 지점에 있는데 일도면의 원정사(圓井寺)와 같이 구월산 중의 명찰이다. 정곡이라는 절 이름의 연기는 고려 말기 공민왕 때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모시고 나왔던 원나라의 주태사(周太史)가 수레를 멈추었다는 데 있다. 그리고 고려 시대의 여러 임금들이 절 부근의 산수풍경을 사랑하여 자주 수레를 멈추었다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대웅전은 조선 초기의 건축으로 그 규모가 웅장하고 화려하며, 맑은 냇가에 있는 청풍루(淸風樓)는 청정세계(淸淨世界)를 연상하게 한다. 절에는 주태사의 영전이 봉안되어 있다.
- 정곡사에서 시냇물을 따라 2㎞쯤 올라가면 용연폭포(龍淵瀑布)가 장관을 이룬다. 이 폭포의 물은 구월산 상봉에서 흘러내려 수원이 길고 멀기 때문에 어떠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 주민들은 이 폭포가 기우제에 영험이 있다고 믿는다. 절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가면 삼형제폭포가 있는데, 3필의 흰 비단폭을 걸쳐놓은 것 같은 모양의 기이한 경관을 이룬다. 구월산 남쪽 기슭의 맑은 시내인 구월천을 따라 내려가면 신천군 초리면 달천리에 달천온천(達泉溫泉)이 있고, 그 서남쪽의 궁흥면 온천리에도 삼천온천(三泉溫泉)이 있다. 부근에는 청나라 대군에 대항하여 외롭게 분투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전사한, 이름도 모르고 성만 아는 황모(黃某)의 기념비인 황의사비(黃義士碑)가 외로이 서 있다. 달천온천 동북쪽에는 유릉(柳陵)이라고 불리는 문화 유씨의 선조묘가 있다. 그리고 부근에 유응두(柳應斗)가 자주 찾던 묵방사(墨坊寺)의 명승지는 지금은 묵방재(墨坊齋)가 되어 유릉을 지키는 재실로 변하였다.
구월산의 지리[편집]
- 화강암, 흑운모화강암, 각섬석 등으로 되어 있는 구월산에는 오랜 세월 풍화작용과 침식작용에 의하여 절리면과 균열면이 깎이면서 기묘한 바위와 절벽, 원뿔형, 각추형의 봉우리와 깊은 골짜기들이 이루어져 있다. 구월산의 산성골, 오봉골, 운계골, 화장골, 원명골을 비롯한 깊은 골짜기들에는 구슬같이 맑은 물이 흘러내려 물안개에 칠색무지개 영롱한 용연폭포, 삼형제폭포를 비롯한 폭포와 담소들이 있다. 구월산의 골짜기들에서는 한이천, 한일천, 장연남대천, 구월천, 산촌천 등의 하천들이 흐르기 시작한다.
- 구월산의 북쪽 비탈면으로 흘러내리는 한이천 상류의 삼수동에는 부연, 마연, 요연 등이 있고 산허리에는 7년 동안 왕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았다는 이름난 석담이 있으며 서쪽 비탈면에는 마당소, 가마소와 같은 소들이 있다. 또한 산 중턱에는 교요연이라는 깊은 늪이 있다.
- 황해남도 서부지대에서 대표적인 산림지대로서 산에는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단풍나무를 비롯한 수십 종의 나무들이 무성하다. 구월산 기슭에서는 갖가지 꽃들이 필 뿐 아니라 가을철에 밤, 대추, 감, 고욤 등의 과일들이 무르익는다.
구월산의 생태[편집]
- 식물자원이 풍부한 구월산은 자연보호구로 되어 있다. 지금 보호구에는 600여 종의 식물이 자라며 그 가운데서 86종은 교목이다. 산에는 산삼, 황기, 만삼, 당귀, 오미자, 천남성, 족도리풀 등 약초들도 많다. 산에는 범, 멧돼지, 노루, 살쾡이, 꿩, 꾀꼬리, 두견새, 부엉이와 같은 동물들도 있다. 구월산은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경치를 이룬다.
- 구월산에는 고적과 유물들이 많다. 구월산에는 9세기 초에 세워졌다고 하는 패엽사를 비롯하여 월정사, 흥률사, 낙산사, 달마사, 정곡사, 신원사, 묘각사 등 여러 개의 옛 건물들이 있었다. 패엽사는 6·25전쟁 시기 폭격에 완전히 파괴되었다. 또한 구월산에는 황해도 5대 산성의 하나였던 둘레 5.23km에 달하는 구월산성의 옛터가 있다. 그밖에 구월산에는 고려시대 청자를 구워내던 자리인 가마터가 있다. 구월산은 탐승지로, 문화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관련 기사[편집]
- 단풍든 9월의 풍경이 하도 아름다워 그 이름도 '구월'이라고 했다는 산. 조종의 산 백두산과 칠보산을 포함하면 6대 명산에 꼽히지만 동쪽 금강산, 북쪽 묘향산, 남쪽 지리산과 함께 오랜 옛날부터 4대 명산으로 일러 온 서쪽 구월산이다. "구월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사황봉 정점에서 내려다보니 산을 감싸고 흐르는 흰 구름이 마치 절벽을 들이치는 파도를 련상케 한다." 그중 특이한 산악미와 계곡미로 하여 구월산은 예로부터 명산으로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구월산 북쪽 비탈면 산허리에는 7년간 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는다는 '석담', 서쪽 비탈면에는 '마당소', '가마소'와 같은 담소가 있다. 신문은 구월산이 '황해남도 서부지대 대표적인 산림지대'라며, "산에는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단풍나무를 비롯한 수십 종의 나무들이 무성하다. 구월산 기슭에서는 갖가지 꽃들이 필 뿐 아니라 가을철에 밤, 대추, 감, 고욤 등의 과일들이 무르익는다"고 말했다. 지난 2015년 대외용 화보 '조선' 9월호가 소개한 구월산에는 6백여종의 식물이 있는데 이중 산삼, 단너삼(황기), 만삼(蔓蔘), 당귀같은 약초가 많고 노루, 삵, 꿩, 꾀꼬리, 부엉이 등도 서식한다. 또 9세기 초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진 '패엽사'를 비롯해 월정사, 흥률사, 낙산사, 달마사 등이 절이 자리하고 황해도 5대 산성 중 하나인 둘레가 5,230m에 달하는 구월산성 옛터가 남아있다.[4]
- 구월산은 예로부터 동쪽의 금강산, 북쪽의 묘향산, 남쪽의 지리산과 함께 4대 명산 중 서쪽의 명산으로 추앙받아왔다. 황해남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 일도면에 걸쳐 있는 구월산(954m)은 황해도의 산세가 비교적 낮고 평평한 데 비해 기반암인 흑운모화강암이 심한 풍화작용을 받아 곳곳에 기암절벽이 형성돼 있으며, 이 사이로 맑은 계곡이 흘러 수많은 명승지를 이루고 있다. 현재의 명칭인 구월九月의 유래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유력하다. 고구려 시대 구월산 주변의 지명인 궁홀, 또는 궁올弓兀이 구전되다 구월로 굳어졌다는 설과, 단군檀君이 이곳에서 9월 9일 승천해서 산신이 됐다고 전해 구월산이라 일컫게 됐다는 설이다. 구월산의 옛 명칭은 아사달산(阿斯達山), 궁홀(弓忽), 백악(白岳), 증산(甑山), 삼위(三危), 서진(西鎭) 등 셀 수 없이 많은 지명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을 정도로 역사적·신화적 전승이 풍부하다. 동물 자원도 풍부해 동쪽 정곡골에는 북한 특산종인 구월산애기개구리의 서식지가 천연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그 외에 검은딱따구리, 풀색딱따구리, 파랑새, 접동새를 비롯한 10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5]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구월산〉, 《위키백과》
- ↑ 〈구월산〉, 《나무위키》
- ↑ 〈구월산(九月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이승현 기자, 〈흰구름이 절벽을 들이치는듯한 구월산의 구름파도〉, 《통일뉴스》, 2022-11-14
- ↑ 서현우 기자, 〈북한의 명산 <2>구월산 한민족의 뿌리·단군신화의 산, 구월산〉, 《월간산》, 2018-11-26
참고자료[편집]
- 〈산〉, 《위키백과》
- 〈산〉, 《나무위키》
- 〈구월산〉, 《위키백과》
- 〈구월산〉, 《나무위키》
- 〈한국의 산 목록〉, 《위키백과》
- 〈구월산대(九月山隊)〉,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승현 기자, 〈흰구름이 절벽을 들이치는듯한 구월산의 구름파도〉, 《통일뉴스》, 2022-11-14
- 서현우 기자, 〈북한의 명산 <2>구월산 한민족의 뿌리·단군신화의 산, 구월산〉, 《월간산》, 2018-11-26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