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도
금오도(金鰲島)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딸린 섬이다.
목차
개요[편집]
- 금오도는 면적 26.99㎢이다. 해안선 길이 64.5㎞이다. 여수만 남서쪽에 있으며, 북쪽에 돌산도, 북서쪽에 개도, 남쪽에 소리도가 있다. 섬의 지형이 자라를 닮았다 하여 큰 자라라는 뜻으로 금오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396년까지는 군천면에 소속되었고, 1479년에는 전라좌수영의 관할하에 있다가, 1896년에 돌산군 금오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에는 여수군에 소속되었고, 1917년 금오면이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에 여천군에 편입되었고, 1998년에 여수시로 통합되어 오늘에 이른다. 최고점은 북쪽에 있는 대부산(382m)이며, 그밖에도 남쪽에 망산(344m), 동쪽의 옥녀봉(261m) 등 산이 많다. 대부분이 암석해안이며, 소규모의 만과 갑이 발달해 비교적 해안선의 드나듦이 심하다. 1월 평균기온 1.1℃ 내외, 8월 평균기온 25.8℃ 내외, 연 강수량 1,180㎜ 정도이다. 농산물로는 쌀·보리·콩·고추·마늘 등이 생산된다. 연안 일대에서는 멸치·삼치·장어 등이 잡히며, 미역·김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다. 옛날에는 숲이 울창하고 사슴들이 떼 지어 살아, 조선 고종 때 명성황후는 이 섬을 사슴목장으로 지정하여 출입·벌채를 금하는 봉산으로 삼기도 하였다. 두모리에는 직포 해송림이 있는데,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옥녀봉에서 선녀들이 달밤에 베를 짜다가 무더위를 식히기 위하여 바닷가로 내려와서 날이 새는 줄도 모르고 목욕을 하다가 승천하지 못하고 소나무로 변하였다고 한다. 마을 이름을 직포라 한 것도 이러한 전설과 관계가 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고인돌군이 있으며, 해수욕장이 여러 곳에 있다. 1903년 호랑이가 사람을 잡아먹은 이후부터, 호환을 막고 주민들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매년 정월 대보름에 당제를 지낸다. 설화와 전설, 민요와 민속놀이 등이 다양하게 전해져 오고 있다. 여수~금오도에는 정기항로가 열려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1]
- 금오도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있는 섬으로, 금오열도에서 가장 크다. 남면에서 가장 큰 섬으로 남면의 9개 리(두라리, 두모리, 심장리, 안도리, 연도리, 우학리, 유송리, 화태리, 횡간리) 중 4개 리(두모리, 심장리, 우학리, 유송리)에 걸쳐있다. 우학리에 남면사무소가 있다. 지방도 제863호선이 지나가며, 안도대교로 안도와 연결되어 있다.[2]
- 금오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있는 섬이다. 금오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신석기시대부터인데,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남면 유송리 여천(汝泉)마을 동쪽 바닷가에 있는 금오도 조개더미 유적이다. 현재는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조개더미가 드러난 면적은 동서 30m, 남북 15m 정도의 작은 규모이다. 금오도는 조선시대부터 기록에 나타나고 있는데, 주로 바닷길과 왜구의 침입, 소나무를 기르던 봉산(封山), 금오도에 닿은 난민, 금오도 개발 등에 관한 내용이다. 조선시대 금오도는 궁궐을 짓거나 보수할 때, 임금의 관(棺)을 짜거나 판옥선 등의 전선(戰船)을 만들 재료인 소나무를 기르고 가꾸던 황장봉산(黃腸封山)이었다. 소나무의 중요성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었던 기간도 길었는데, 봉산으로서 금오도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도 자주 나타난다. 금오도는 면적 27㎢로서 한국에서 21번째로 큰 섬이며, 여수시에서 남동쪽으로 떨어진 돌산도·화태도·월호도·대두라도·소두라도·나발도·횡간도 등과 함께 금오열도를 이루는 중심 섬이다. 금오도 내의 법정리로 우학리·두모리(斗母里)·유송리(柳松里)·심장리(深張里) 4곳이 있다. 금오도 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로는 쌀·보리·콩·고추·마늘·고구마 등이 생산되며, 자급자족 할 수 있다. 연안 일대에서는 멸치·삼치·장어 등이 잡히며, 미역·김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다. 마을은 낮은 평지와 해안 일대에 산재해 있으며, 해안과 능선을 따라 도로가 나 있고, 동서 방향의 도로는 포장되어 있다. 1981년 돌산도·안도와 함께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금오도 지구에 속하게 되었다.[3]
- 금오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있는 섬이다. 동경 127°46′, 북위 34°30′에 위치하며, 북쪽에 돌산도, 북서쪽에 개도, 남쪽에 소리도가 있다. 면적은 27.0㎢이고, 해안선 길이는 64.5㎞이다. 남면사무소가 섬의 중앙부인 우학리에 있으며, 남쪽의 안도와는 안도대교로 연결되었다. 여수시에서 돌산도 다음으로 큰 섬이다. 주위에 있는 돌산도·소리도·월호도·두리도·개도 등과 함께 금오열도를 이루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북쪽에 대대산(382m), 동쪽에 옥녀봉(261m), 남쪽에 망산(344m) 등이 연속적으로 분포하며, 산세의 경사가 급한 편이다. 산줄기의 완사면에는 농경지와 취락이 형성되어 있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사빈해안이 있다. 침강운동으로 형성된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한 이른바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있으며 수심이 다른 해안보다 깊은 것이 특징이다. 농산물로는 쌀·보리를 비롯하여 콩·고구마·고추·마늘 등이 생산되고, 근해에서는 멸치·장어·삼치·미역이 어획 및 채취된다. 미역과 김 양식이 활발하고, 인근 해안은 한국 최대의 감성돔 산란장소이다. [4]
명칭 유래[편집]
- 금오도의 명칭은 섬에 삼림이 울창하여 검게 보였기 때문에 거무섬이라 부르던 것을 비슷한 한자로 표기하면서 금오도(金鰲島)가 되었다. 금오도가 금빛의 거북을 닮아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 이야기 역시 한자를 뜻풀이한 결과이다. 금오도는 한때 거마도(巨磨島)라고도 하였는데, 이 또한 거무섬의 이름을 비슷한 한자로 표기한 경우이다. 옛 지도 「청구도(靑邱圖)」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거마도로 표기되어 있다.
- 금오도는 섬의 모양이 자라를 닮았다고 하여 큰 자라라는 뜻으로 '금오도(金鰲島)'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금오도의 두모리에 직포해송림이 있는데,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이 송림의 동쪽에 있는 옥녀봉에서 선녀들이 달밤에 베를 짜다가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바닷가로 목욕하러 와서, 날이 새는 줄도 모르고 밤새도록 목욕을 하고 놀다가 승천하지 못하고 훗날 소나무로 변하였다고 한다. 마을 이름을 직포(織布)라 한 것도 이러한 전설과 관계가 있다.
금오도 비렁길[편집]
- 금오도 비렁길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속해 있는 금오도의 해안 절벽에 조성된 걷기 길이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지역이며 2010년 길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남면 유송리, 두모리, 우학리, 심장리의 4개의 리(里)에 걸쳐져 비렁길이 조성되어 있다. 원래 비렁길은 이 지역주민들이 땔감을 구하고 낚시를 하기 위해 다니던 해안길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비렁'은 '벼랑'의 이 지역 사투리로 해안 절벽 위를 연결한 걷기 길을 말하며 바다풍경을 보며 걷기 때문에 바다의 절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금오도 비렁길의 1코스가 시작되는 함구미마을까지 이동하는 경로는 2가지이다. 여수시 돌산읍 신기항에서 금오도행 여객선에 승선하여 금오도 북쪽 사면 동쪽 끝에 위치하는 여천항에 도착한 후 약 5.0km를 육로로 이동하여 함구미마을에 닿거나, 여수항에서 여객선에 승선한 후 함구미항에 내려서 비렁길 걷기를 시작하는 방법이 있다. 신기항에서 출발하여 여천항에 내릴 경우 하루에 7번 왕복하는 배를 이용하게 되며 소요시간은 20분 정도이며, 여수항에서 출발하여 함구미항에 내리는 경우는 하루 3번 왕복하는 배에 승선하여 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 금오도 비렁길을 1코스부터 5코스까지 완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8시간 30분 정도이다. 1코스는 함구미마을에서 시작되어 미역널방을 지나 선선대를 거쳐 두포까지 가는 길 5km이며, 2코스는 두포마을에서 출발하여 굴등전망대를 지나 촛대바위를 거쳐 직포로 가는 길 3.5km이다. 3코스는 직포에서 시작하여 갈바람통 전망대와 매봉전망대를 지나 학동까지 이어지는 길 3.5km로, 가파른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이 반복되는 길이어서 비렁길 전 코스 중에서 가장 걷기 힘든 길로 알려져 있다. 4코스는 학동에서 사다리통 전망대를 거쳐 심포까지 이르는 3.2km 길이며, 5코스는 심포마을, 심포에서 막개를 거쳐 장지에 이르는 3.3km길이다. 비렁길 1코스~5코스의 곳곳에는 지천으로 자라는 금오도의 특산물 방풍나물과 머위를 볼 수 있으며 대나무와 동백나무도 빽빽하게 자라고 있다.
남면[편집]
- 남면(南面)은 전라남도 여수시 남쪽 해역에 있는 도서(島嶼) 면이다. 북쪽으로 바다를 건너 돌산읍과 화정면(華井面)에 대하고, 동·서·남쪽으로 다도해(多島海)에 면한다. 면내에 유인도(有人島) 11개, 무인도 21개가 있다. 5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는 도서는 금오도(金鰲島)·연도(鳶島)·안도(安島)·화태도(禾太島)·대횡간도(大橫干島) 등이다. 주요 농산물은 보리·고구마 등이고, 연안 어장에서 삼치·멸치·장어의 어획이 많다. 도서 연안의 수심이 깊고, 갯벌의 발달이 적어서 양식업에 불리하며, 다만 대횡간도의 해안에서 해태 양식이 이루어져 김을 생산한다. 안도(安島) 해수욕장은 공해가 없는 푸른 바다와 깨끗한 백사장 및 아침의 해돋이 등으로 널리 알려진 해수욕장으로, 여수시에서 1일 3회의 여객선이 운항한다. 문화재로는 여수 우학리(牛鶴里) 고인돌군[支石墓群], 여수 안도리 봉수지(安島里烽燧址), 조동훈비(趙東勳碑), 여수 소리도(所里島) 선사유적 등이 있다.
금오도 조개더미[편집]
- 금오도 조개더미(金鰲島貝塚)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유송리 금오도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이다. 여수 돌산도(突山島) 남쪽 해상에 있는 섬인 금오도(金鰲島)의 여천마을 바닷가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패총 貝塚)이다. 분포 범위는 동서 30m, 남북 15m 이내로, 비교적 해풍과 파도의 피해가 적은 해안 만입부(灣入部)에 해당된다. 유적 동남쪽으로는 바위 절벽이 있다. 흑갈색 자갈층을 기반층으로 하여 그 위에 조개더미층이 형성되었는데 육안으로는 층위를 구분하기 어렵다. 출토된 유물은 빗살무늬·점줄무늬토기, 겹아가리토기(이중구연토기 二重口緣土器), 숫돌 등이다.
송고산[편집]
- 송고산(松高山)은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유송리 금오도(金鰲島)에 있는 산이다. 높이 382m이다. 금오도에서는 매봉산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송고산 동쪽으로는 응봉(鷹峰), 서쪽으로는 용두암, 멀리 남쪽으로는 망산이 있다. 산에서는 화태도·횡간도·두라도 등 크고 작은 섬들이 떠 있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금오도에서 숲이 가장 울창한 곳으로 특히 동백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며, 기반암인 화강암이 차별 침식을 받아 형성된 바위 봉우리가 곳곳에 솟아 있다. 지질은 주로 중생대 백악기의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안도대교[편집]
- 안도대교(安島大橋)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위치하는 교량으로, 2010년 2월 개통되었다. 안도(安島)와 금오도(金鰲島)를 연결한다. 섬과 섬을 잇는 연도교(連島橋)로, 안도(安島)와 금오도(金鰲島)를 연결한다. 지방도 863호선에 속하는 도로로, 왕복 2차선 도로로 완공되었다. 2005년 7월 공사를 시작하여 5년 정도의 공사기간이 소요되었으며 369억 원이 투입되었다. 교량의 길이는 360m, 폭(너비)은 14.5m이며, 교각과 교각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경간장의 최대 길이는 200m이다. 상부구조는 엑스트라 도즈드교 (Extra-dosed교) 형식으로 건설되었으며, 다도해 주변 경관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주탑의 높이를 다른 교량들에 비해 낮추어 시공되었다. 교량 주변 안도 방면에는 안도항, 여안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으며, 금오도 방면에는 장지마을이 위치한다.
유역의 자연환경[편집]
-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 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고봉은 서쪽에 솟아 있는 매봉산(382m)이며, 그 밖에도 동쪽의 옥녀봉(261m)을 비롯한 해발 200m 내외의 산이 대부분이다. 해안은 소규모의 만과 곶이 발달해 비교적 드나듦이 심하며, 특히 서쪽은 반도처럼 바다로 돌출해 있다. 기후는 대체로 따뜻하며, 비가 많은 해양성 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동백나무가 무성하여 남국적인 풍경을 이루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의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만들어진 적색토가 널리 분포한다. 금오도는 배타적 경제 수역의 설정과 수산 자원의 남획, 어장의 축소, 공유 수면의 매립과 간척 사업 등에 따른 해양 환경오염의 심화 등으로 어업 생산성과 채산성이 점점 낮아져 왔다. 따라서 정부와 수산 관련 민간단체에서는 수산 생물의 인공적 산란과 서식장 제공, 우량 수산 종묘 방류 등을 통하여 연안 수산 자원의 감소 현상을 극복하고, 인위적인 통제와 관리를 통해 해양 환경을 보호하면서 수산물 생산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 공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금오도 연안 해역에 5개의 조사 지점을 정하여 부유성난 및 자치어,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부유성난은 총 9개의 떼가 출현하였다. 이들은 멸치·전어·정어리·미역치·보리멸·주둥치·망둑어과 어류, 참서대와 기타로 분류하였다. 자어(仔魚)는 갓 부화했거나 부화한 지 얼마 안 된 어린 물고기를 말하며, 치어(稚魚)는 모든 지느러미의 밑바탕이 마련된 시기부터 몸의 생김새가 어미와 같아지기 전까지의 어린 고기를 말한다. 금오도 인근 바다 목장 해역에서 발견된 자치어는 총 5목 18과 24종으로 2,602개체/1,000㎥가 출현하였다. 여름철(8월)에는 2,067개체/1,000㎥로 가장 많았고, 겨울철(2월)에는 28개체/1,000㎥가 출현하여 가장 적었다. 금오도 주변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0목 30과 47종으로 1,237마리 가운데 농어목이 12과 18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쏨뱅이목이 5과 8종, 청어목이 3과 7종으로 이들 3목이 포함된 어류가 33종으로 전체 마릿수의 86.7%를 차지해 가장 많은 목들로 나타났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섬〉, 《위키백과》
- 〈금오도〉, 《나무위키》
- 〈금오도〉, 《위키백과》
- 〈금오도(金鰲島)〉, 《두산백과》
- 〈금오도〉, 《향토문화전자대전》
- 〈금오도(金鰲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현경숙 기자, 〈(걷고 싶은 길) 벼랑 끝 절경을 걷다…금오도 비렁길〉, 《연합뉴스》, 2024-01-05
- 허선식 기자, 〈여수 남면 금오도 ‘찾아가고 싶은 가을 섬’ 선정〉, 《아시아경제》, 2023-09-27
- 이영희 기자, 〈우리나라 섬 3천348개 '세계4위'…매주 1곳씩 가도 64년〉, 《연합뉴스》, 2018-08-30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