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번포(西藩浦)는 북한 라선시 선봉구역에 있는 호수이다.
- 서번포는 길이 11km. 너비 1.7km. 면적 16.12㎢. 둘레 34.5km. 평균수심 1.2m. 7 ~8월에 수면이 가장 높고 6월에 가장 낮다. 동쪽 1km 남짓한 거리에 두만강이 흐르고, 서쪽에는 만포(晩浦) 호수가 있으며, 남쪽으로는 조산만(造山灣)에 면한다. 남동쪽에 있는 동번포(東藩浦)와 좁은 목으로 이어져 하나의 큰 호수를 이루며 자연호수로서는 한국에서 가장 크다. 원래 만이었는데 어귀에 모래가 쌓임으로써 형성된 석호이다. 현재도 바다와 이어져 있어서 약간의 염분을 함유하여 바닷물고기 ·새우 등이 서식하며, 민물고기 양어장으로도 이용된다. 북쪽 기슭의 부포리(駙浦里)에서 대규모로 오리를 기른다.[1] 해적호는 바다의 일부가 연안주나 사주 ·사취 등의 발달에 따라서 육지 안으로 봉해진 호소를 말한다. 석호는 대표적인 해적호인데 한국의 경포 ·영랑호 ·삼일포 ·동번포 ·서번포 등은 그 중 중요한 것이다.
- 서번포는 함경북도 나선시 부포리, 조산리, 굴포리 사이에 있는 호수이다. 서번포는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큰 자연호수이다. 번개늪이라고도 한다. 면적 16㎢, 둘레 41.2km, 길이 11km, 폭이 1.5km 된다. 서번포는 동번포와 연결된 하나의 호수로서 이 호수를 통틀어 번포라고 부른다. 그러나 남쪽 끝부분에 이루어진 좁은 목에 의하여 위치상 갈라서 서쪽 수역을 서번포, 동쪽 수역을 동번포라고 한다. 서번포(좌)와 두만강. 서번포 일대는 본래 두만강 물이 흐르던 강줄기였으며 하나의 큰 만이었는데, 오랜 시간이 지나는 과정에 두만강 물길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두만강의 운반물과 주변 산지로부터 흘러내린 흙모래가 바다의 작용에 의하여 만어귀와 만 안에 쌓여 여러 형태의 모래섬, 모랫둑을 이루어 결국 호수가 생기게 되었다. 이 과정에 서번포는 그 서쪽에 있는 만포와도 갈라져 별개의 호수가 되었다.
- 서번포는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북한 행정구역상 라선시 선봉구역)에 있는 석호(潟湖)이다. 일명 번개늪이라고도 한다. 면적 16.12㎢, 둘레 41.2km로 한반도 최대의 자연호수이며, 동해와 이어져 있는 짠물호수다. 동남쪽의 동번포(東藩浦, 면적 3.6㎢)와는 연결된 하나의 호수로서 이 호수를 통틀어 번포라고 부른다. 그러나 남쪽 끝부분에 이루어진 좁은 목을 경계로 서쪽 수역을 서번포, 동쪽 수역을 동번포라고 부른다. 그리고 서번포 자체에도 중간에 좁은 목이 있어서 위성사진으로 보면 도로가 나 있다. 평균수심은 1.2m, 가장 깊은 지점은 4.5m라고 한다. 만포와 함께 철새도래지 중 한 곳이라고 한다. 동번포 부근은 12월 초순 한반도 본토에서 일몰(16시 46분)이 가장 빠른 곳이다. 다만 이것은 전국각지의 관찰자가 같은 해발고도에서 일몰을 감상한다고 가정했을 때 기준이다. 서번포 동북쪽 기슭에는 이순신 장군의 녹둔도 전투 승전비의 비각인 승전대(勝戰臺)가 있다. 북한에서는 승전대 비각 옆에 동명의 더 큰 콘크리트식 건물 전망대를 지어놨다. 또 승전대로 가는 호수 기슭에 웬 문을 지어놨고, 호수에 정자도 만들었다.[2]
선봉군[편집]
- 선봉군(先鋒郡)은 한반도 동북부에 있는 나진선봉직할시에 딸린 군이었으나 2000년에 나진선봉직할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동쪽은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및 러시아와 접하고, 서쪽은 함경북도 은덕군, 남쪽은 나진구역·동해안, 북쪽은 함경북도 은덕군과 중국에 접한다. 선봉군 우암리는 북한의 최동단으로 동경 130°4' 32″이다. 서·북부는 해발고도 500~1,000m의 산지로서 송진산맥이 동서로 뻗어 있고, 유현덕산(853m)·화대산(691m)이 솟아 있다. 두만강 연안에는 우암산(266m)·연두봉(120m)이 있다. 두만강 외에는 큰 하천이 없으며 하구에는 면적 16.12㎢, 둘레 34.5km로 한국에서 가장 큰 자연호수인 서번포를 비롯하여 동번포·만포·흑지 등의 자연호수가 있다. 산림은 군 면적의 70%를 차지하여 산림자원이 풍부하다.
- 1981년 10월 나진시에서 분리되면서 선봉군으로 명명되었고 웅기읍이 선봉읍으로 개칭되었다. 1993년 12월 나진시와 선봉군이 통합되어 나진선봉시가 되었고, 1994년에는 나진선봉직할시가 신설되면서 함북에서 분리되어 나진선봉직할시에 속하게 되었다. 2000년에 나진선봉직할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폐지되기 전, 행정구역은 선봉읍과 홍의·사회·조산·부포·굴포·우암·백학·원정·하여평·하회 등 10개리, 두만강·웅상의 2개 노동자구로 이루어져 있었다. 주요 산업은 수산업과 공업이다. 경지는 군 면적의 20%이며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콩·감자이다. 축산업으로 젖소·양·돼지·오리 등의 전문농장이 있고 낙농제품과 축산가공품이 생산된다. 주요 수산업기지로서 수산사업소를 중심으로 명태·가자미·멸치가 어획된다. 선봉항과 웅상항이 있어서 여객·화물 수송을 담당한다. 문화재는 굴포리 원시유적(북한 사적 70)이 있다.
서수라[편집]
- 서수라 (西水羅)는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 서수라동에 있는 지명이다. 한국 최북단의 어항(漁港)이며 군항(軍港)이기도 하다. 조산만(造山灣)의 동쪽 끝에 있으며, 두만강 하류에 있어 러시아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고, 부근에 만포(晩浦)ㆍ서번포(西藩浦) 등의 석호(潟湖)가 있다. 이 지역이 편입된 것은 고려 말기의 일이나, 본격적인 개발은 4군 6진 개척 이후의 일이다. 국경지역의 방비를 튼튼히 하기 위하여 서수라진(西水羅鎭)을 설치하여 성을 쌓았는데 주위가 874척이었고, 수군만호겸남부장(水軍萬戶兼南部將) 1인을 두었다. 이곳의 서수라봉수(西水羅烽燧)는 경흥과 서울을 연결하는 제1거(第一炬)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곳에서 두만강을 거슬러 올라가 종성ㆍ회령을 지나 서울에 다다른다. 보발(步撥)인 서수라참(西水羅站)이 있어 위급한 사항을 경흥과 경성 지역에 알릴 수 있게 하였다. 부근에 녹둔도(鹿屯島)와 적도(赤島)가 있으며 망해대(望海坮)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라 하였다. 부근 해안에는 좋은 어장이 발달하여 겨울의 어획기에 많은 어선이 모여드는데, 대구ㆍ명태 등이 많이 잡힌다. 서수라등대가 있고 위급 시에 대피항으로서의 시설이 있다.
선봉구역[편집]
- 선봉구역(先鋒區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시에 위치한 구역이다. 옛 이름은 웅기군(雄基郡)이다. 웅기군 굴포리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구석기 시대의 유적을 최초로 발견하여 사적 70호로 지정하였다. 소련 대일전 참전당시 소련군이 참전하여 8.15 광복 이전에 최초로 상륙하여 해방시켰다. 이를 기념하여 선봉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북동쪽에 위치하고, 중화인민공화국 및 러시아와 접한다. 유현덕산, 화대산(火臺山)이 솟아 있으며, 두만강을 국경으로 삼는다. 서번포·동번포·만포·흑지 등의 호수가 있다.
서번포의 생태환경[편집]
- 서번포 호수의 남쪽을 제외한 변두리는 해발 300m 이하의 산들로 이어진 구릉성 산지로 둘러막혀 있으며 호수의 서쪽과 북쪽 기슭에는 진펄들이 곳곳에 있다. 서번포는 남북으로 길게 이루어졌으며 그 모양은 마치 크게 자란 선인장을 연상시킨다. 호수는 2개의 좁은 목에 의하여 3개의 수역으로 갈라져 있다. 깊이는 일반적으로 기슭으로부터 가운데로 들어가면서 깊어지며 좁은 목에 비하여 넓은 지역이 깊다. 가장 깊은 곳은 4.5m이다. 서번포에는 부포천이 흘러든다.
- 서번포 호수의 수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7~8월, 가장 적은 시기는 6월이다. 물색은 누렇고 투명도는 1m이다. 서번포는 남동쪽 끝부분에 이루어진 물줄기가 바다와 연결되어 있어 소금기를 포함하고 있다. 소금기는 남쪽 수역에서 약 20‰, 다른 수역에서 10‰이다. 바닥에는 감탕모래, 사니가 깔려 있다. 호수에는 부유동물과 부유식물 그리고 수초들이 많다. 또한 숭어, 황어, 붕어, 가자미를 비롯한 여러 가지 물고기들과 조개류와 새우들도 서식하고 있다. 특히 숭어와 황어가 대단히 많다. 서번포의 북쪽 호숫가에는 고기와 알 생산기지인 부포오리목장이 있다.
승전대[편집]
- 승전대는 나선시 조산리 승전봉 기슭에 있는 비가 있는 장소이다. 1586년 조산만호 겸 녹둔도 둔전관으로 임명된 이순신 장군이 국경의 방비를 강화하고 침입해 온 여진족을 물리친 일을 적은 비다. 부임 이듬해 가을 군사들이 녹둔도 둔전 가을걷이에 나간 사이 이곳을 기습한 여진족을 10여 명의 군사로 물리치고, 이들을 소탕했다. 후에 백성들은 이를 기념해 탑을 세우고, 인접한 산봉우리를 승전봉이라고 칭했다. 1762년 장군의 5대 손인 이관상이 관북절도사로 부임해 탑을 헐고 그 자리에 이 비를 세웠다. 비는 장방형의 받침돌 위에 대리석비몸(1.58m)과 그 위 합각지붕의 비머리를 올려놓았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서번포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진영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안천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굴포운하)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평안남도)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면운하(판목운하)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주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구암호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랑림호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서흥호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연탄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령만 • 강진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가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마양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강령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마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부안반도 • 산이반도 • 송전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읍저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