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남강

위키원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5일 (일) 10:35 판 (동영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강

남강(南江)은 경상남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지류이다.

개요[편집]

  • 남강은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남덕유산에서 발원한다. 먼저 함양군, 산청군을 흐르는데, 산청에서는 '경호강'이라고도 불린다. 임천강, 덕천강 등의 지류가 있다. 진주시의 남강댐(진양호)을 거친 뒤부터 남강으로 불린다. 동북동으로 유로를 바꿔 함안군, 의령군의 사이를 흐르고, 창녕군 남지읍에서 낙동강에 합류한다. 남강의 경로와 유역 지역으로 볼 때 여러모로 서부 경남의 젖줄로 불리는 강이다. 한강, 형산강과 같이 진주시 시가지를 양분하면서 흐른다. 강 자체가 지리산 일대에서 발원한데다 상류인 남원시, 함양군, 산청군 일대에 별다른 오염원이 없다 보니 수질이 괜찮은 편이다. 21세기가 들어서야 시 당국이 수질 개선과 둔치의 공원화에 박차를 가해 오늘날의 깔끔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진주남강유등축제가 유명세를 탄 것도 이런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1]
  • 남강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부를 흐르며, 진주시를 관통하는 낙동강의 지류이다. 함양군 서상면 남덕유산에서 발원하는 남계천으로 시작하며, 함양 위천이 합류하면서 국가하천으로 바뀌며 진양호(晉陽湖)로 흘러들어 진주 시내를 가로질러 흘러간다. 함안군과 의령군의 군계를 따라 흘러가다가 창녕군 남지읍 대안에서 낙동강에 합류한다. 지류로는 덕천강, 함안천, 함양 위천, 양천강 등이 있다. 덕천강과 함안천만 국가하천이고 나머지는 지방하천이나 가화천은 남강의 지류가 아니며 배수로 역할을 한다. 진양호 상류에 있는 경호강은 남강 본류 역할을 한다. 진주 시내를 가로지르는 남강 변에는 강을 뒤로 하여 진주성이 있으며,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쿠스케를 안고 빠져 죽은 의암이 있고, 남강 다리에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교각마다 논개의 가락지를 상징하는 두 개의 고리가 있다. 1593년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지휘대인 진주 촉석루도 일본군과 끝까지 항전을 하다 김천일, 최경회 등이 분루를 삼키고 백제의 낙화암처럼 수많은 순국열사들이 몸을 던진 곳이다.[2]
  • 남강은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덕유산(德裕山)에서 발원하여 덕천강(德川江)을 합하고, 진주에서 북동으로 유로(流路)를 바꾸어 함안군 대산면에서 낙동강(洛東江)과 합류하는 강이다. 유역면적 349.3㎢, 유로 186.3㎞이다. 남강은 서부 경상남도의 동맥으로서 임천(瀶川)·위천(渭川)·양천(梁川)·덕천강(德川江)·빈영천(瀕穎川)·함안천(咸安川) 등의 지류(支流)를 가지고 있다. 진주시는 예로부터 남강을 중심으로 시가지와 함께 농경지가 발달하였는데, 지리산과 덕유산의 계곡을 따라 흐르는 경호강(鏡湖江)과 덕천강(德川江)이 합류한 남강이 시가지 중심부를 관류하고 있다. 옛날에는 하류 지방에 수해가 잦았으나 1970년 남강댐을 건설함으로써 홍수조절 및 남강·낙동강 하류 지역을 관개하고, 진주와 진삼공업지구(晉三工業地區)에 전력과 용수를 공급한다. 유역에서는 쌀·맥류·잡곡 등이 생산되고 있다.[3]
  • 남강은 경상남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의 지류이다. 원류는 함양군 서상면(西上面) 남덕유산(南德裕山:1,503m)에서 발원하는 남계천(濫溪川)으로, 대체로 남남동의 유로(流路)를 따라서 소백산지(小白山地) 동사면(東斜面)에서 진양호(晉陽湖)로 흘러든다. 진양호에서 남강댐을 거친 뒤부터 남강으로 불리면서 동북동으로 유로를 바꿔 곡류(曲流)하여, 하류부에서 함안군·의령군 군계(郡界)를 이루다가 창녕군 남지읍(南旨邑) 대안(對岸)에서 낙동강에 합류한다. 상류부의 남계천은 지우천(智雨川)·위천(渭川)·단계천(丹溪川) 등 지류를 합치면서 안의(安義)·함양·산청(山淸) 등 분지를 형성하여 그곳에 지방중심지를 발달시키고, 진양호에서 덕천강(德川江)을 합친 뒤, 하류부의 남강은 진주시를 관류하고 나서 유천강(類川江)·향양천(向陽川)·검암천(儉岩川) 등 지류를 남북으로 받아들이면서 유역에 진주분지를 비롯한 유역평지를 띠모양으로 전개시킨다. 남강 유역평지는 수해상습지였으나, 남강댐이 구축된 뒤 수해를 면하게 되었다.[4]

남강유역의 자연환경[편집]

  • 남강 상류지역의 운봉·산청·함양·생초·안의·서상 등지에 분지를 형성하여 지방 중심지가 발달하고, 하류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한 충적평야가 분포한다. 북쪽에 소백산맥(小白山脈)이 있어 여름에 서남쪽에서 오는 저기압이 이 산맥에 부딪쳐 지형성강우(地形性降雨)가 많다.
  • 남강 본류와 13개 지천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출현 종수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57과 143속 166종 33변종 2품종으로 총 201종류가 출현하였고,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종합하면 진주시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은 모두 79과 230속 350종 1아종 51변종 3품종 총 405종류에 달한다. 식생이 양호한 남강 분류, 나불천, 지내천, 향양천, 반성천, 영천강 등 6개 지역의 습식 식생의 우점도는 고마리, 검정말, 환삼덩굴, 여뀌, 갈대, 줄, 물억새, 개구리밥, 달뿌리풀, 겨풀 등의 우점도가 높고, 노랑어리연꽃, 올방개, 돼지풀, 미국가막사리, 피 등은 낮다.

남강 유역의 도시환경[편집]

  • 남강의 수질은 상·하류에 따라 변동이 큰 편인데, 특히 남강 하류는 질소와 인에 의한 전형적인 수질 부영양화 현상을 띠고 있다. 진주시는 환경친화적 푸른도시 건설을 위하여 인공 구조물인 콘크리트 주차장, 콘크리트 호안, 둔치 내 도로 등을 철거하고 자연적인 잔디 블럭 주차장 조성과 호안에 자연석 쌓기 및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수생 동식물의 서식처를 만들고, 비점오염물질 등에 의한 남강 수질개선 및 친환경적인 녹지공간을 조성하였다.
  • 남강의 주변에는 지리산국립공원을 비롯하여 대원사(大源寺)·진양호(晉陽湖)·촉석루(矗石樓) 등의 명승지가 많고, 남해고속도로 및 구마고속도로가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하여 관광객이 많다.
  • 진주 남강 유등은 1592년 10월 진주대첩(晉州大捷) 때 성 밖의 의병 등 지원군과의 군사신호로 풍등(風燈)을 하늘에 올리며 횃불과 함께 남강에 등불을 띄워 남강을 건너려는 왜군을 저지하는 군사 전술로 쓰였으며, 진주 성내에 있는 병사들과 사민(士民)들이 멀리 두고 온 가족에게 안부를 전하는 통신수단으로 이용한 것에서 비롯되었고, 의롭게 순절한 7만 병사와 사민의 얼과 넋을 기리는 행사로 이어져 오늘날 진주남강 유등축제로 자리 잡았다.

남강 암각(南江巖刻)[편집]

  •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촉석루(矗石樓) 아래의 남강 가에 있는 바위벽과 그곳에 새긴 글씨이다. 1826년(순조 26) 임진왜란 때 진주 곳곳에서 펼쳤던 항쟁을 기리기 위해 바위에 남긴 글귀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촉석루(矗石樓) 아래의 남강 가에 있다. 특히, 논개(論介)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을 담은 '일대장강 천추의열(一帶長江 千秋義烈 : 긴 강이 한줄기로 흐르고, 나라를 위해 천추에 남을 의열을 세우다)'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이 외에도 사람의 이름이나 역사적 의미를 담은 글귀 등 다양한 글자를 볼 수 있다.

남강 고인돌[편집]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 유역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귀곡동(貴谷洞), 대평면 대평리(大坪里)·상촌리(上村里)·내촌리(內村里) 인근의 6개 지점에 걸쳐 약 66기가 발견되었다. 대부분 강의 양쪽 기슭의 충적 대지에 입지해 있으나 구릉 사면이나 낮은 구릉의 정상에 있기도 하다. 개석식(蓋石式) 고인돌이 주를 이룬다. 또한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독무덤 등 다양한 형태가 공존하고 있어 시기별로 그 형식이 변해오는 과정이 잘 드러난다.
  • 고인돌의 변천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뉜다. 1단계에서는 고인돌과 돌덧널무덤만 확인되는데, 주로 직사각형 묘역과 석곽형 매장시설을 갖추었다.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몇 기만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신분의 묘제로 한정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2단계에서는 고인돌의 수가 급증하고 수 십 기씩 군집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단의 묘제로도 이용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북방식 고인돌의 영향을 받은 듯한 지상형 개석식 고인돌이 등장한다. 3단계에 들어서면 고인돌의 수가 줄어드는 대신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등이 증가한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남강〉, 《나무위키》
  2. 남강〉, 《위키백과》
  3. 남강(南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남강(南江)〉,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남강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