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북대봉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대봉

북대봉평안남도 신양군 쌍룡리(雙龍里)와 장성리(長星里)의 경계에 있는 이다.

개요[편집]

  • 북대봉은 평안남도 양덕군 오강면과 쌍룡면(지금의 신양군 쌍룡리와 장성리)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327m이다. 북쪽에 솟아 있는 큰 봉우리라 하여 유래된 지명이다. 남북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북대봉은 기반암이 흑운모화강편마암, 화강암, 석회암 등이며 산정에 고기평탄면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 표백화갈색산림토이다.[1]
  • 북대봉은 북대봉산맥의 주봉이다. 비류강 지류들에 의하여 오랜 세월 깎이고 씻기어 여러 갈래의 깊은 골짜기들이 형성되었고 산세가 험하다. 기반암은 흑운모화강편마암·화강암·석회암 등이며 토양은 갈색산림토이다. 평안남도의 주요 임산기지의 하나로 산기슭에는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혼합림이, 그 위에는 갈참나무·오리나무·전나무 숲이 울창하다. 바람이 거센 산마루에서는 관목과 풀들만이 자란다. 그밖에 금강초롱 등의 희귀식물들도 분포하며 곰·멧돼지·사향노루 등의 짐승들이 서식한다. 남서쪽 산기슭으로 희천~개성 간 도로가 지난다.[2]

북대봉의 생태환경[편집]

  • 북대봉은 일부 온대림의 북방한계선이며 식물의 수직분포가 뚜렷한 편이다. 산기슭에는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혼합림이, 산등성이에는 갈참나무, 오리나무, 전나무 등이, 바람이 강한 산마루에서는 관목과 풀이 분포한다. 북대봉은 비류강의 수원이다.
  • 산지 사면에는 장장골(長長洞)·주막촌(酒幕村)·대륜촌(大倫村)·변암골(邊巖洞)·홍촌(弘村)·차령골(車嶺洞) 등이 계곡을 따라 발달하고 있다. 이 북대봉 산지의 동남쪽 양덕읍 용계리에는 유명한 양덕온천(陽德溫泉)이 있으며, 남쪽 사면에는 밤을 비롯한 과실수가 가꾸어지고 있다.

북대봉의 지형[편집]

  • 북대봉은 북쪽에 솟아 있는 큰 봉우리라 하여 유래된 지명이다. 북대봉산줄기의 주요 봉우리의 하나로서 오랜 세월 비류강 지류들의 침식작용을 받아 여러 갈래의 깊은 골짜기들이 이루어져 있고 산세가 험하다. 그러나 산정에는 고기평탄면이 있다. 기반암은 흑운모화강편마암, 화강암, 석회암 등으로 되어 있으며 토양은 갈색산림토양과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다. 북대봉은 일부 온대남부요소식물의 분포에서 북방한계선으로 되어 있으며 식물분포의 수직대성이 뚜렷이 나타나는 산이다.
  • 북대봉산의 기슭에는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혼합림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이상의 지역에는 갈참나무, 오리나무, 전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산마루에서는 관목과 풀만 자란다. 이밖에 금강초롱을 비롯한 진귀한 식물들도 분포되어 있으며 곰, 멧돼지, 사향노루와 같은 짐승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 산은 평안남도의 주요 임산기지의 하나로 되어 있다. 남서쪽 기슭으로는 희천~개성 간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북대봉산맥(北大峰山脈)[편집]

  • 평안남도와 함경남도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산맥이다. 길이는 170km이고 평균 높이는 1,100m이다. 해발고도 800m 아래에는 침엽수림이 있고 그 위에는 활엽수림, 해발고도 1,000~1,200m 위에는 아한대성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이 같이 분포한다. 평안남도 대흥군과 함경남도 요덕군·정평군 사이의 사수산(1,746m)에서부터 평안남도 양덕군과 강원도(북한) 천내군·법동군의 경계에 있는 두류산(1,323m)까지 뻗어 있다. 남부와 북부는 흑운모화강암류, 중부는 흑운모편암·규암·석회암·고회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봉우리는 모도봉·백산(1,724m)·병풍산(1,548m)·민봉산(1,133m)·북대봉(1,326m) 등이다.
  • 북대봉산맥은 대동강동해로 유입되는 금야강·덕지강의 분수령이다. 산맥의 서쪽 사면은 동쪽 사면보다 경사가 느리며 평북덕(979m)과 민봉산 일대까지의 약 10㎞ 사이의 지역은 평탄면을 이룬다. 예로부터 북대봉산맥은 낭림산맥과 더불어 평안남도함경남도의 자연경계를 이루었기 때문에 관서지방과 관북지방의 기후·생물·언어·문화·풍습·역사·경제 등의 여러 면에 걸쳐서 많은 차이점을 나타내게 하였다.
  • 해발고도 800m 아래에는 소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그 위에는 참나무·사스래나무·고로쇠나무·황철나무·단풍나무·피나무 등의 활엽수림이, 해발고도 1,000~1,200m 위에는 분비나무·가문비나무 등의 아한대성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혼합림이 분포한다. 주요 임산기지의 하나로 원목자원이 풍부하며 금·아연·수은·안티몬 등의 지하자원이 묻혀 있다. 산맥 일대에는 동서 지역을 이어주는 맹산고개(525m), 양덕군과 고원군 간의 거차령(577m), 영원군(녕원군)과 요덕군 간의 마남령 등이 있다.

북대봉의 양덕송이버섯보호구[편집]

  • 안남도 양덕군 상성리에 있는 식물보호구이다. 이 보호구는 정무원결정 제55호에 의하여 설정되었다. 보호구는 바다에서 멀리 떨어지고 높은 산으로 둘러 막혀 있는 북대봉 산줄기의 남쪽 끝에 있는 소나무숲에 약 100정보의 규모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일대의 연평균기온은 7.4℃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228.3mm이며 특히 6~9월 사이에 비가 많이 온다. 10℃ 이상 적산온도는 3,026℃이다. 토양은 화강암이 풍화된 산림갈색토양이며 토양층이 얇고 기계적 조성은 사양토, 양토이다. 송이버섯은 화강암, 사암을 모암으로 하고 있는 지대에서 산허리 이상 양지바른 소나무숲에서 잘 발생하며 특히 토층이 얇고 떨기나무나 초본식물이 없는 말쑥한 숲에서 잘 돋는다.
  • 송이버섯은 20년 이상 자란 소나무의 잔뿌리에서 영양분을 빨아들이면서 자라는데, 한번 돋기 시작하면 약 60년 동안 해마다 돋는다. 따라서 송이버섯은 소나무가 자라는 지역에는 거의 다 돋지만 특히 양덕지방에 많이 돋는다. 그리하여 양덕지방은 예로부터 송이버섯의 산지로 이름이 높다. 양덕송이버섯보호구에서는 버섯 따기와 버섯밭 관리를 과학기술요구대로 하고 송이버섯균을 많이 심어 송이버섯자원을 보호하고 있다.

평안남도 장성리[편집]

  • 평안남도 신양군 1읍 1구 16리의 하나. 군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리. 북쪽은 운봉리, 서쪽은 문명리, 남쪽은 쌍룡리 · 양덕군 운창리, 동쪽은 함경남도 수동구 용평리 · 운산리와 접해 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양덕군 오강면의 장원리와 창리를 병합하여 신양군에 신설한 리로서 장원리의 '장'자와 토성의 '성'자를 따서 장성리라고 하였다.
  • 장성리 지역은 동쪽경계에 북대봉산줄기가 놓여 있으며 남서쪽경계에 북대봉(1,327m)이 솟아 있다. 하천은 북서부로 비류강이, 중부로 그 지류가 흐르고 있다. 산림은 리 전체면적의 93% 되는데 소나무, 잣나무, 잎갈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신갈나무, 피나무, 단풍나무 등이 주요 수종을 이루고 있다. 농경지는 리 전체면적의 5% 정도 되는데 주로 옥수수, 벼, 수수 등을 재배하고 있다. 공예작물로는 담배를 재배하고 있으며,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등이 산출되고 있다. 이밖에 양잠업도 행해지고 있다.

남강(南江)[편집]

  • 평안남도 북대봉(北大峰, 1,327m)에서 발원하여 대동강에 합류하는 강이다. 성천·강동·곡산·중화·수안군 등지를 거쳐 평양의 동쪽에서 대동강으로 흘러들어간다. 산지 사이를 감입곡류하면서 중·상류에 양덕·곡산분지를 발달시켰다. 주변에는 삼림이 울창하며 옛날에는 내륙지방의 교통의 동맥으로 이용되었다. 평안남도 성천군과 황해도 수안군 사이를 흐르는 남강을 옛날에는 능성강(能成江)이라 불렀다.

비류강[편집]

  • 비류강(沸流江)은 평안남도 신양군과 은산군을 흐르는 대동강지류이며 북대봉에서 발원한다. 길이는 155.2km이며, 유역면적은 2,048㎦로서 대동강에서 3번째로 큰 강이다. 신양군 북동부 경계의 민봉산(1,134m)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심하게 감입곡류하면서 남쪽으로 흘러 평원선이 지나는 별창(別倉) 부근에서 평원천(平原川)과 합류하고, 신성천(新成川) 부근에서 유로를 바꾸어 남쪽으로 흐른다. 절벽에서 물이 쏟아져 솟으므로 비류(沸流)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강물은 주변 구릉을 관류하면서 연안의 농경지를 관개하고 하류 연안에는 평남북부선·평원선 등이 지난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북대봉 (北大峯)〉,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북대봉(北大峰)〉,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북대봉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