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항구

위키원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23일 (수) 01:34 판 (같이 보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한민국 최대 항만이자, 세계 3대 항만에 들기도 했던 부산항.

항구(港口, port)는 자연 지형이나 인공 구조물로 풍랑을 방지하고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는 곳으로, 수륙 교통의 결절점(結節點) 기능을 갖는 장소·시설을 말한다.

상세

항구는 배가 드나드는 시설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수산업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지만, 20세기 이후에는 수산업을 배제한 채 순수하게 무역을 위한 항구도 발달하면서 지금은 둘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항구들이 운영되고 있다. 300,000 t짜리 VLCC 옆에 5 t짜리 어선이 나란히 접안할 수는 없으니 말이다.

의미상으로 항만과는 매우 헷갈리며, 보통 항만도 항구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다.

바다와 인접해서 배가 드나드는 도시를 항구도시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목포시. 바다와 접한 나라들은 어디에나 있는 시설이기도 하다. 반면에 내륙국들은 바다에 접한 항구가 없기 때문에 바다에 인접한 나라들에 의존한다. 대표적인 예로 말리세네갈, 에티오피아지부티의 선례가 있다.

모든 항구가 바다와 직접 면한 것은 아니다. 큰 강이나 호수에도 항구는 존재할 수 있다. 일부 내륙항은 운하나 자연 하천을 통해 바다와 연결해서 선박이 드나들기도 한다. 가령 유럽의 대형 항구도시인 안트베르펜이나 함부르크도 바다와 직접 면하지 않고 강을 통해서 바다와 연결된다.

좋은 항구가 되기 위한 입지 조건은 의외로 까다로운 편이다. 일반적으로 만에 항구가 들어서게 되는데, 그 만으로 통하는 입구의 유속은 빠르면 안 된다. 또 외해에서 곧바로 항구로 들이치는 파도를 막을 섬이나 다른 지형의 도움이 있어야 하고, 또 현대에 이르러서는 수심이 깊고 조수 간만의 차가 적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부산광역시가 이 모든 조건에 맞는 모범 답안에 가까운 지형을 갖추고 있다.[2] 물론 20세기 이후에는 LA항처럼 대규모 토목공사로 이러한 입지조건을 극복하고 대단위 항구를 지을 수도 있지만, 북한 서해갑문의 사례처럼 돈도 적지 않게 들고 한반도 서해는 워낙에 대규모 항구를 만들기에 안 좋은 환경이라 여러모로 힘들다. 서울에서 가까운 인천항, 남부 지방의 목포항 등 서해안 항구보다 부산항이나 울산항 등 동, 남해안 항구가 물동량이나 규모가 더 큰 게 괜히 그런 게 아니다.

다른 예시로는 사우디아라비아담맘처럼 항구로서 입지 조건은 나쁘지 않지만 대양으로 나가려면 바다화약고를 지나야 하는 경우도 있다. 결국 홍해 쪽에 항구를 파 송유관으로 연결했다. 다만 홍해 쪽도 해적 소굴이 있다.

좀 더 규모가 작고 어업 목적의 항구들은 '어항' 또는 '포구'라고 쓴다. 반면 항구 중에서도 복합적이고 큰 역할을 할 경우에는 항만이라고 부른다. 흔히 아는 항구들은 대부분 항만에 속한다.

선박이 정박하는 곳 근처에는 주차금지다. 주차하면 선박과 충돌할 수 있다.

입지

섬, 갑(岬)이나 만입(灣入) 등으로 차폐되는 지형은 종종 천연 양항(良港)이라고 부른다. 근대에 들어서는 건설 기술이 크게 발달해 천연 지형의 혜택을 입지 않고서도 대규모 항구가 만들어지고 있다.

기능

여객의 승강이나 화물의 하역·보관 등 수륙 수송의 전환 기능, 즉 터미널 기능이 항구의 중요한 기능이다. 그 때문에 항구에는 선박의 계류 뿐만 아니라 화물의 하역·보관, 여객의 승강, 항구에서 배후지로의 육상 운송 등을 위한 시설이 정비되어 있다. 그 밖에 선박에 물·연료·식량·선박 용품 등을 보급하는 운항 지원 기능이 있다. 전시에는 화물을 보급하고 군함을 출정시키며 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항구의 종류

기능에 따른 분류

  • 상업항 및 국제항구 - 화물선, 유조선, 여객선 등 상업적 용도 및 다국적의 선박들이 출입하는 항구. 항구도시의 항구들이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 공업항 - 주로 원자재 및 제품의 수출입을 취급하는 항구. 넓게 보면 상업항의 특수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 어항 - 주로 어선들이 출입하는 항구. 상업항보다 작은 대부분의 자잘한 항구들이 이에 속하며, 상업항 중에서도 어항 기능을 겸하는 항구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기능에 따라 어촌 어항법에서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 국가어항 - 이용범위가 전국적인 어항, 어장의 개발 및 대피[4]에 사용되는 어항
  • 지방어항 - 이용범위가 지역단위, 연안어업 근거지에 해당
  • 어촌정주어항 - 어촌의 생활근거지가 되는 소규모 어항에 해당
  • 군항 - 군함이 주로 출입하는 항구. 한국의 진해항이나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미국의 샌디에이고항이 대표적인 군항이다.
  • 마리나 - 요트 정박 및 관리 시설을 포함, 각종 해양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모여있는 항구.

형태에 따른 분류

  • 개구항 - 항구의 입구가 열려 있는 항구로 대부분의 항구들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 폐구항 - 항구의 입구에 갑문이 설치된 항구. 한국의 인천항, 영국의 리버풀항, 네덜란드의 로테르담항이 이에 속한다.

위치에 따른 분류

  • 해항 - 바닷가에 위치한 항구. 대부분의 항구가 해당된다.
  • 하항 - 하천가에 위치한 항구. 독일의 함부르크, 러시아의 아스트라한, 중국의 광저우, 캐나다의 몬트리올, 브라질의 마나우스 등이 대표적이며 한국에는 강경,마포등이 유명한 하항이였다
  • 호소항 - 호숫가에 위치한 항구. 미국의 시카고와 디트로이트, 캐나다의 토론토,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등이 대표적.

항구의 시설물

수역 시설

  • 항로 - 선박이 항내에서 이동하는 통행로.
  • 박지 - 선박이 항구에 입항하기 전에 닻을 내리고 대기하는 수역.

외곽 시설

  • 방파제 - 바깥 바다에서 밀려오는 파도를 반사하거나 그 위력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 방사제 - 토사물이 항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 도류제 - 하천의 흐름이 항구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바다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제방.

접안 시설

  • 도선장
  • 볼라드
  • 부두

하역 시설

  • 부교
  • 크레인

보관 시설

  • 사일로
  • 창고
  • 컨테이너 야드

유도 시설

  • 등대
  • 부이(buoy)

기타

  • 독(dock)
  • 세관
  • 수산시장
  • 조선소

항구 목록

한국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옥계항, 묵호항, 동해항, 삼척항, 호산항, 포항항, 울산항, 울산신항, 장생포항구분
서해안 인천항, 인천신항, 경인항, 서울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태안항, 보령항, 장항항, 군산항,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부산신항, 진해항, 마산항, 고현항, 옥포항, 장승포항, 통영항, 삼천포항, 하동항, 광양항, 여수항, 완도항
제주 제주항,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울릉항, 후포항, 강구항, 구룡포항
서해안 대산항, 용기포항, 연평도항, 대천항, 비인항, 상왕등도항, 송공항, 대흑산도항, 홍도항,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중화항, 국도항, 거문도항, 나로도항, 녹동항, 신마항, 화흥포항, 갈두항, 진도항
제주 추자항, 애월항, 한림항, 화순항,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지방어항

지방어항은 시도지사가 지정하여 개발하며 2011년 기준으로 현재 285개 항구가 지정되어있다.

지방어항이 되는 조건으로는 어촌 어항법 시행규칙 제10조의 별표에서 정하고 있으며 아래의 기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지방어항으로 지정될 수 있다. 단 도서지역의 경우는 인구상 한계가 있고 사실상 바다에 접하여 살아가다보니 아래 기준 중 절반정도만 만족하면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 현지 어선 척수 30척 이상
  • 현지 어선 총톤수가 동해안은 90톤 이상, 서해안은 70톤 이상, 남해안은 80톤 이상
  • 여객선 및 유·도선 운항은 「해운법」에 의한 여객선과 「유선 및 도선사업법」에 의한 유·도선의 총 운항 횟수가 일일 2왕복
  • 대명항
  • 장생포
  • 전곡항

아시아

  •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 중국: 상하이항, 홍콩항, 칭다오항, 다롄항, 선전항, 닝보항, 광저우항, 톈진항, 샤먼항
  • 말레이시아 : 제슬턴 포인트
  • 레바논 : 베이루트 국제항구
  • 일본 : 도쿄항, 오사카항, 하카타항, 고베항, 미이케항, 키타큐슈항(코쿠라항, 모지항, 와카마츠항 등), 벳푸항, 가고시마항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유럽

  • 영국 : 펠릭스토우항, 사우스햄프턴항
  • 독일 : 함부르크항,
  • 네덜란드 : 로테르담항
  • 벨기에 : 앤트워프항
  • 스페인 : 발렌시아항
  • 러시아 : 페테르부르크항

아메리카

  • 미국: 뉴욕앤뉴저지항, 로스앤젤레스항, 롱비치항, 사우스루이지애나항, 휴스턴항
  • 캐나다 : 밴쿠버항
  • 멕시코 : 만사니요항, 베라크루즈항, 살리나크루즈항
  • 브라질 : 산투스항
  • 파나마 : 파나마시티항

오세아니아

  • 호주 : 멜버른항

아프리카

  • 남아공 : 케이프타운항
  • 이집트 : 포트사이드항

가상의 항구

※ 실제로 있는 항구와 가상이라 할지라도 항구도시는 항구도시에 기재한다.

  • 마비노기 - 케안 항구
  • 메이플스토리 - 리스항구

참고자료

  • 항구〉, 《나무위키》
  • 항구〉, 《위키백과》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항구 문서는 항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