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정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nshi2068 (토론 | 기여) (새 문서: 썸네일|400픽셀|'''한남정맥''' '''한남정맥'''<!--한남 정맥-->(漢南正脈)은 백두대간에서 서북쪽 김포 문수...) |
(→한남금북정맥)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한남금북정맥== | ==한남금북정맥== | ||
*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은 속리산 천황봉(千皇峰)에서 서북으로 뻗어 충청북도 북부 내륙을 동서로 가르며 경기도 안성군 칠장산(七長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종착지의 칠장산에서는 다시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漢南正脈)으로 이어지고, 남서쪽으로는 태안반도(泰安半島)에 있는 안흥(安興)까지의 금북정맥(錦北正脈)으로 이어진다. 이 산줄기의 산들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천황봉에서 갈라져 말태재·구치(九峙)·시루산·구봉산(九峰山)·국사봉(國師峰)·선두산(先頭山)·선도산(先到山)·상봉재·상당산성(上黨山城)·좌구산(坐龜山)·칠보산·보광산(普光山)·행태고개·보현산(普賢山)·소속리산·마이산·차현(車峴)·황색골산·걸미고개·칠장산 등으로 이어진다. | *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은 속리산 천황봉(千皇峰)에서 서북으로 뻗어 충청북도 북부 내륙을 동서로 가르며 경기도 안성군 칠장산(七長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종착지의 칠장산에서는 다시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漢南正脈)으로 이어지고, 남서쪽으로는 태안반도(泰安半島)에 있는 안흥(安興)까지의 금북정맥(錦北正脈)으로 이어진다. 이 산줄기의 산들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천황봉에서 갈라져 말태재·구치(九峙)·시루산·구봉산(九峰山)·국사봉(國師峰)·선두산(先頭山)·선도산(先到山)·상봉재·상당산성(上黨山城)·좌구산(坐龜山)·칠보산·보광산(普光山)·행태고개·보현산(普賢山)·소속리산·마이산·차현(車峴)·황색골산·걸미고개·칠장산 등으로 이어진다. | ||
+ | |||
+ | == 지도 == | ||
+ | {{다단2 | ||
+ | |{{백두대간 산맥 지도}} | ||
+ | |{{한반도 산맥 지도}} | ||
+ | }} | ||
== 동영상 == | == 동영상 == |
2024년 7월 2일 (화) 01:25 기준 최신판
한남정맥(漢南正脈)은 백두대간에서 서북쪽 김포 문수산에 이르는 산맥이다.
개요[편집]
- 한남정맥은 경기도 안성시 칠장산(七長山)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김포시의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끝나는 칠장산에서 북서로 해발고도 200m 내외의 낮은 산들이 이어져 한강 본류와 남한강 남부유역의 분수령을 이룬다. 이 산줄기를 이루는 산들은 도덕산·국사봉·상봉·달기봉·무너미고개·함박산(函朴山)·학고개·부아산(負兒山)·메주고개·할미성·응봉(鷹峰)·형제봉·광교산(光敎山)·백운산·수리산(修理山)·소래산(蘇來山)·성주산(聖住山)·철마산·계양산(桂陽山)·가현봉(歌弦峰)·필봉산(筆峰山)·학운산(鶴雲山)·것고개·문수산 등이다.[1]
- 한남정맥은 한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한남·금북으로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한강 줄기의 남쪽에 있는 분수령이라 하여 한남정맥이라 부르며 경기도의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의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의 연결로서 서쪽에 위치한 인천·시흥·안산 등의 산줄기를 만들다가 용인과 수원에 이르러 제법 큰 산세를 이룬다. 남쪽으로 금북정맥(錦北正脈)과 연결된다. 최근에는 경인 아라뱃길에 의해 산줄기의 일부가 잘려나갔다. 정맥(正脈)은 산경표에서, 산맥을 크기에 따라 위계를 나누었을 때 가장 작은 단위이다.[2]
- 한남정맥은 경기도 안성시 칠장산에서 김포시 문수산까지 이르는 산줄기이다. 조선 영조 때 실학자 신경준이 저술한 산경표에서 언급된 13개의 정맥(산줄기) 중 하나다. 특히 칠현산은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의 분기점이다. 현재의 지도에서 보면 칠현산, 도덕산, 안성국사봉, 상봉, 달기봉, 무너미고개, 함박산, 학고개, 부아산, 메주고개, 선장산, 응봉, 형제봉, 광교산, 백운산, 수리산, 소래산, 성주산, 철마산, 계양산, 가현산, 필봉산, 학운산, 것고개, 문수산 등이 한남정맥을 잇는 산들인데 안성시, 용인시, 수원시, 군포시, 안양시, 시흥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김포시까지 이어지는 경로다. 수도권에서도 가장 먼저 도시화가 이뤄진 경기 서부의 산들이 이어져 있다 보니 이들 산을 관통하는 터널이 꽤 많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인천지역의 도로 확충 과정에서 경명대로와 봉오대로를 연결하는 종축 도로를 새로 건설하려고 했으나 이 경우 계양산과 그 아래 천마산을 정통으로 뚫어야 하기 때문에 한남정맥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3]
- 한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갈라진 한남금북정맥의 끝인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시작되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으로 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산줄기는 이름 그대로 경기도의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의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의 연결로서 서쪽에 위치한 인천·시흥·안산·수원·오산·평택·천안 등 아산만을 중심으로 한 해안평야와의 경계를 이룬 산줄기이다. 이 정맥을 이룬 주요 산은 『산경표』에 칠현산(七賢山)·백운산(白雲山)·구봉산(九峰山)·대소곡둔현(大小曲頓峴)·석륜산(石倫山)·수유산(水踰山)·부아산(負兒山)·보개산(寶蓋山)·석성산(石城山)·객망현(客望峴)·광교산(光敎山)·사근현(沙斤峴)·오봉산(五峰山)·수리산(修理山)·오자산(五子山)·소래산(蘇來山)·성현(星峴)·주안산(朱安山)·원적산(元積山)·경명산(鏡明山)·북성산(北城山)·가현산(歌絃山)·약산(藥山)·문수산 등으로 기록되었다. 이 산줄기를 중심으로 서쪽 해안 지방과 내륙의 한강 유역권의 생활 문화 발달은 예로부터 현격한 차이점이 있으며, 같은 경기 지방이면서도 국지적 기상 변화 등 생활양식과 함께 언어의 차이까지 보이고 있다. 현대지도에서의 산 이름으로 찾아보면 칠장산·도덕산(道德山)·국사봉(國師峰)·상봉·달기봉·무너미고개·함박산(함朴山)·학고개·부아산(負兒山)·메주고개·선장산·응봉(鷹峰)·형제봉·광교산·백운산(白雲山)·수리산·소래산·성주산(聖住山)·철마산(鐵馬山)·계양산(桂陽山)·가현산·필봉산(筆峰山)·학운산(鶴雲山)·것고개·문수산 등이다.[4]
한남정맥의 산[편집]
- 한남정맥은 죽산에 있는 칠장산에서 시작되어 도덕산·국사봉(안성)·상봉·달기봉·무너미고개·함박산(函朴山:349.3m, 용인)·학고개·부아산(負兒山:402.7m, 용인)·메주고개(覓祖峴)·석성산(石城山:471.5m, 용인)·할미성·인성산(仁聖山:122.4m, 용인)·형제봉·광교산(光敎山:582m)·백운산(白雲山:560m)·수리산·국사봉(國思峯:538m)·청계산(淸溪山:618m)·응봉(鷹峰:348m)·관악산(冠岳山:629m)·소래산(蘇來山)·성주산(聖住山)·철마산·계양산(桂陽山)·가현봉(歌弦峰)·필봉산(筆峰山)·학운산(鶴雲山)·것고개·김포 문수산(文殊山) 등으로 이어주고 있다.
한남정맥의 지리[편집]
- 한남정맥은 한강 이남의 분수령을 말하지만, 한강 이남 분수령 중에서도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과 백두대간(白頭大幹) 상의 태백산~속리산 구간을 제외한, 매우 한정된 산줄기를 이른다. 한남정맥이 시작되는 칠현산(七賢山, 516m)은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한남금북정맥이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갈라지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한남정맥은 이 칠현산에서 북서진 하면서 용인 부아산(負兒山, 403.6m), 수원 광교산(光敎山, 582m) 안양 수리산(修理山, 429m), 인천 철마산(鐵馬山, 226.5m)을 거쳐 김포반도 끝에 솟은 문수산(文殊山, 376.1m) 아래 보구곳에서 약 190km의 장정을 끝맺는다. 한남정맥은 당연히 그 북쪽에 한강을 두고 있다. 하지만 남쪽으로는 큰 강을 끼지 않고 있고, 다만 서해로 잠겨드는 낮은 구릉지대를 이루며 짧은 하천들을 여럿 흘리고 있다. 대부분 해발 500m대 이하의 산줄기로 이어지고 있는 한남정맥은 나지막한 구릉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 김포반도 일대는 300m대의 야산지대로 공업지대가 들어서 있어 도로 목장, 골프장 등 갖가지 인공시설물들이 즐비해 본래의 원형을 찾아보기 힘들다. 경기도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의 문수산을 넘어 김포 보구곳리(강화대교)까지 이어지는 약 170~180Km의 산줄기이며 산 고도가 200~300M의 낮은 산으로 이어지며 가장 높은 산으로는 광교산(582)이 있으며 중간중간이 도시화 되어 있어 산행을 하다 끊기는 구간이 많으므로 산행을 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다. 그래도 산꾼들은 마다 않고 도시를 관통하며 산행을 하는데 이 또한 새료운 묘미를 느낄 수 있으며 주요 산으로는 도덕산, 국사봉, 달기봉, 구봉산, 문수봉, 함박산, 부아산, 석성산, 형제봉, 광교산, 백운산, 수리산, 수암봉, 운흥산, 양지산, 성주산, 거마산, 철마산, 만월산, 철마산, 원적산, 계양산, 가현산, 학운산, 문수산이 있으며 김포의 보구곳이레서 그 맥이 사라진다.
한남정맥의 유역 보호[편집]
- 인천을 포함한 한남정맥은 안성시 금광면 칠장산에서 시작해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에서 마침표를 찍는다. 한남정맥은 해발 500m를 넘지 않는 봉우리로 이뤄진다. 지도에서 보면, 칠장산·도덕산·국사봉·무너미고개·함박산·학고개·선장산·응봉·광교산·백운산·수리산·소래산·철마산·계양산·가현산·필봉산·문수산 등이 한남정맥을 잇는다. 인천시를 비롯해 안성시·용인시·수원시·안양시·시흥시·부천시·김포시를 아우른다. 한남정맥은 이렇게 도시 안에서 각종 개발로 인해 훼손에 시달린다. 여기저기 공장과 주택단지 등이 들어서면서 산줄기를 갉아먹고 있는 상태다. '2040 인천시 공원녹지기본계획'이 수립됐다. 이 계획은 '한남정맥과 바다의 도시 인천, 녹색문화를 담다'란 주제 아래 5대 핵심전략사업을 담았다. 인천시는 인천의 중심 녹지 축인 한남정맥의 'S자'를 중심으로 공원조성에 나선다. 한남정맥에 위치한 장기미집행공원(23곳)을 활용해 산림복지 서비스 공간으로 개발한다.
한남금북정맥[편집]
-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은 속리산 천황봉(千皇峰)에서 서북으로 뻗어 충청북도 북부 내륙을 동서로 가르며 경기도 안성군 칠장산(七長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종착지의 칠장산에서는 다시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漢南正脈)으로 이어지고, 남서쪽으로는 태안반도(泰安半島)에 있는 안흥(安興)까지의 금북정맥(錦北正脈)으로 이어진다. 이 산줄기의 산들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천황봉에서 갈라져 말태재·구치(九峙)·시루산·구봉산(九峰山)·국사봉(國師峰)·선두산(先頭山)·선도산(先到山)·상봉재·상당산성(上黨山城)·좌구산(坐龜山)·칠보산·보광산(普光山)·행태고개·보현산(普賢山)·소속리산·마이산·차현(車峴)·황색골산·걸미고개·칠장산 등으로 이어진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한남정맥(漢南正脈)〉, 《두산백과》
- ↑ 〈한남정맥〉, 《위키백과》
- ↑ 〈한남정맥〉, 《나무위키》
- ↑ 〈한남정맥(漢南正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 〈한남정맥〉, 《위키백과》
- 〈한남정맥〉, 《나무위키》
- 〈한남정맥(漢南正脈)〉, 《두산백과》
- 〈한남정맥(漢南正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양순열 기자, 〈인천의 한남정맥 파괴하는 검단신도시연결도로 추진 "반발"〉, 《인천뉴스》, 2019-12-23
- 걸음동무, 〈한남정맥 산행코스〉, 《네이버블로그》, 2019-02-27
- 재주니, 〈한남정맥 구간개요 및 산행지도〉, 《네이버블로그》, 2010-02-0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