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 |
| ==개요== | | ==개요== |
− | 서조선만은 평안북도 철산(鐵山)반도와 황해도 장연(長淵)반도 사이에 자리 잡은 삼각형의 만이다. [[한반도]] 서해안에서 가장 큰 만이다. 너비는 약 200km, 만입은 약 70km이고 수심은 평균 30m 정도이다. 이름에서 대칭을 이루는 [[동한만]]의 반대편에 있다. [[황해]]에 위치한 특성상 수심이 얕기 때문에 연안 일대에 간석지가 발달해 있어 염전이 많다. 봄철 제주 난류가 북상할 때에는 조기, 넙치, 가자미, 게, 낙지, 대구, 민어 등 어류가 많이 잡힌다. 만 내에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이 흘러들어오며 다사도, 신미도 등 많은 섬들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하천 부분에는 박천평야, 안주평야, 평양평야 등 거대한 평야가 산재해 있기에 관서지방의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 또는 갯벌이 넓게 나타난다.<ref>〈[https://namu.wiki/w/%EC%84%9C%ED%95%9C%EB%A7%8C 서한만]〉, 《나무위키》</ref> | + | 서조선만은 평안북도 철산(鐵山)반도와 황해도 장연(長淵)반도 사이에 자리 잡은 삼각형의 만이다. [[한반도]] 서해안에서 가장 큰 만이다. 너비는 약 200km, 만입은 약 70km이고 수심은 평균 30m 정도이다. 이름에서 대칭을 이루는 [[서조선만]]의 반대편에 있다. [[황해]]에 위치한 특성상 수심이 얕기 때문에 연안 일대에 간석지가 발달해 있어 염전이 많다. 봄철 제주 난류가 북상할 때에는 조기, 넙치, 가자미, 게, 낙지, 대구, 민어 등 어류가 많이 잡힌다. 만 내에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이 흘러들어오며 다사도, 신미도 등 많은 섬들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하천 부분에는 박천평야, 안주평야, 평양평야 등 거대한 평야가 산재해 있기에 관서지방의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 또는 갯벌이 넓게 나타난다.<ref>〈[https://namu.wiki/w/%EC%84%9C%ED%95%9C%EB%A7%8C 서한만]〉, 《나무위키》</ref> |
| | | |
| 서한만의 남부 연안지역은 연강수량이 800㎜ 내외인 소우지(小雨地)이고 일조일수(日照日數)와 증발량이 많고 방대한 간석지가 발달하여 염전개발에 매우 유리한 곳이다. 그래서 일찍부터 조선 굴지의 제염지대로 발달하였으며 그 중심지는 광량만(廣梁灣)의 귀성(貴城), 대동(大東)일대이다. 광량만의 배후는 구릉지가 많고 해풍이 강하게 불어 병충해가 적기 때문에 면화의 주산지였다.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해안사구(砂丘)도 발달하였다. 대동강이 유입하는 광량만에 1877년에 개항된 관서지방의 문호이자 공업도시인 진남 포항이 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268 서한만(西韓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서한만의 남부 연안지역은 연강수량이 800㎜ 내외인 소우지(小雨地)이고 일조일수(日照日數)와 증발량이 많고 방대한 간석지가 발달하여 염전개발에 매우 유리한 곳이다. 그래서 일찍부터 조선 굴지의 제염지대로 발달하였으며 그 중심지는 광량만(廣梁灣)의 귀성(貴城), 대동(大東)일대이다. 광량만의 배후는 구릉지가 많고 해풍이 강하게 불어 병충해가 적기 때문에 면화의 주산지였다.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해안사구(砂丘)도 발달하였다. 대동강이 유입하는 광량만에 1877년에 개항된 관서지방의 문호이자 공업도시인 진남 포항이 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268 서한만(西韓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 |
| == 지도 == | | == 지도 == |
| + | {{서조선만 행정 지도|800}} |
| + | {{지도|서조선만}} |
| {{다단2 | | {{다단2 |
| |{{관서지방 행정 지도}} | | |{{관서지방 행정 지도}} |
37번째 줄: |
39번째 줄: |
| |{{한중일 국가 지도}} | | |{{한중일 국가 지도}} |
| }} | | }} |
− | {{지도|서조선만}}
| |
| | | |
| {{각주}} | | {{각주}} |
57번째 줄: |
58번째 줄: |
| * [[청천강]] | | * [[청천강]] |
| * [[한반도]] | | * [[한반도]] |
− | * [[동한만]] | + | * [[동조선만]] |
| * [[황해]] | | * [[황해]] |
| * [[한국]] | | * [[한국]] |
| * [[중국]] | | * [[중국]] |
| | | |
− | {{세계의 만|검토 필요}} | + | {{한국의 바다|검토 필요}} |
| + | {{세계의 만}} |
서조선만(西朝鮮灣, 표준어: 서한만(西韓灣)) 또는 조선만(朝鮮灣, 표준어: 한국만(韓國灣), 중국어 간체자: 朝鲜湾, 정체자: 朝鮮灣)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서쪽 끝과 황해북도 서쪽 끝 사이에 있는 만이다. 수심이 얕아서 연안 일대에는 간석지가 발달해 곳곳에 염전이 많다. 압록강과 대동강, 청천강이 흘러들며 하구 부근에는 평야가 펼쳐져 있다. 주요 항구로 남포가 있다.[1]
서조선만은 평안북도 철산(鐵山)반도와 황해도 장연(長淵)반도 사이에 자리 잡은 삼각형의 만이다. 한반도 서해안에서 가장 큰 만이다. 너비는 약 200km, 만입은 약 70km이고 수심은 평균 30m 정도이다. 이름에서 대칭을 이루는 서조선만의 반대편에 있다. 황해에 위치한 특성상 수심이 얕기 때문에 연안 일대에 간석지가 발달해 있어 염전이 많다. 봄철 제주 난류가 북상할 때에는 조기, 넙치, 가자미, 게, 낙지, 대구, 민어 등 어류가 많이 잡힌다. 만 내에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이 흘러들어오며 다사도, 신미도 등 많은 섬들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하천 부분에는 박천평야, 안주평야, 평양평야 등 거대한 평야가 산재해 있기에 관서지방의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 또는 갯벌이 넓게 나타난다.[2]
서한만의 남부 연안지역은 연강수량이 800㎜ 내외인 소우지(小雨地)이고 일조일수(日照日數)와 증발량이 많고 방대한 간석지가 발달하여 염전개발에 매우 유리한 곳이다. 그래서 일찍부터 조선 굴지의 제염지대로 발달하였으며 그 중심지는 광량만(廣梁灣)의 귀성(貴城), 대동(大東)일대이다. 광량만의 배후는 구릉지가 많고 해풍이 강하게 불어 병충해가 적기 때문에 면화의 주산지였다.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해안사구(砂丘)도 발달하였다. 대동강이 유입하는 광량만에 1877년에 개항된 관서지방의 문호이자 공업도시인 진남 포항이 있다.[3]
대한민국 정부는 1950년 1월 16일 국무원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 중에서 ‘"조선"은 지명으로도 사용하지 못하고 "조선해협" "동조선만" "서조선만"등은 각각 "대한해협" "동한만" "서한만"으로 고쳐 부른다’고 하여 명칭을 변경하였다.
서조선만은 서해안의 북부 압록강 어귀와 용연반도 사이에 있는 만이다. 서조선만 어귀의 경계는 압록강 어귀에 있는 비단섬의 마안각과 용연반도의 장산곶을 잇는 선이다. 면적은 10,600km², 해안선의 길이는 708km, 서조선만 어귀의 너비는 191km, 서조선만 어귀로부터 청천강 어귀에 이르는 길이는 98.2km, 제일 깊은 곳은 68m로서 서해안의 큰 만 중의 하나이다. 서조선만의 바다 밑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서로 평행되게 뻗은 여러 갈래의 사주(풀)가 뻗어 있다. 사주의 상대높이는 7~25m이고 평균높이는 약 20m이다. 사주의 길이는 80km 이상이고 인접한 사주들 사이의 거리는 1.4~8km이다. 북부 해안에서의 굴곡은 심하나 남부해안에서는 굴곡이 단조롭다. 서조선만에는 신미도, 가도, 대화도, 내장도, 외장도, 석도, 초도를 비롯한 10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있다. 서조선만 연안에는 넓은 간석지가 펼쳐져 있다. 평안북도 연안에 106,231정보, 평안남도 연안에 83,656정보, 남포시 연안에 894정보, 황해남도의 장산곶 이북에 약 17,000정보 정도의 간석지가 있다.
평안북도 연안에서는 감탕질이 우세하고 평안남도와 황해남도 연안에서는 사니, 감탕 모래, 모래 등이 우세하다. 남쪽으로 갈수록 알갱이가 굵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서조선만에서는 해류의 영향보다 미세기 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미세기차는 서조선만 어귀로부터 청천강 어귀쪽으로 들어갈수록 커지며 최대 가능 미세기차는 4.0~7.5m, 평균 미세기차는 2~4m 정도이다. 미세기 흐름 방향은 물곬이 놓인 북동~남서 방향이며 최대 가능 미세기 유속은 1~2m/s 정도이다. 바닷물 온도는 여름철에 서조선만의 안쪽에서 제일 높아지고 서조선만 어귀쪽으로 가면서 낮아지며 등온선은 등심선과 거의 평행으로 놓인다. 서조선만 안에서 수심이 20m보다 얕은 곳에서 바닷물온도는 표면부터 바닥까지 거의 같다. 서조선만으로는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과 같은 큰 강들과 여러 개의 중소하천들이 흘러든다. 만은 깊지 않으며 강하천의 영향을 받아 소금기가 매우 낮다. 특히 장마철에는 소금기가 더 낮아진다.
서조선만 수역에는 바람과 조석에 의한 바닷물 섞임이 활발히 진행되며 바닥층부터 겉층으로 영양 염류가 많이 올라오며 강물에 섞인 영양물질도 많이 흘러 들어오므로 바다생물자원이 풍부하다. 전어, 광어, 맥개, 갈치, 삼치, 준치, 민어, 농어, 숭어, 뱅어, 까나리, 뱀장어, 새우, 쌀새우, 굴, 바지락, 대합, 맛 등이 많다. 해안에는 철산, 쑥섬, 영미, 문덕, 가마포, 한천, 남포, 몽금포 등 수산기지가 있다. 서조선만 안에서는 굴양식을 비롯한 천해양식업이 발전하고 있다. 서조선만 연안에서는 북한의 웅대한 대자연개조구상에 따라 서해갑문이 건설되었으며 신도지구간석지, 다사도지구간석지, 가도지구간석지, 증산-온천지구간석지, 웅도지구간석지를 비롯하여 많은 면적의 간석지들이 개간되어 농경지, 갈대밭, 염전, 양어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서조선만 일대에는 조수력 자원도 많다.[4]
유전 개발[편집]
2000년대에 들어 서한만 유전에 한국, 북한, 중국 등 인근국가의 관심이 증대되어 유전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서한만 원유 개발 자체는 이미 60년대부터 북한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었으나, 기술력의 부족으로 진전되지 못했다. 이후 90년대부터 서방 국가들과 협력하여 탐사작업을 시도하였으나 뚜렷한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서한만에 매장된 석유의 규모는 자료에 따라 다르나 최소 약 50억 배럴에서 최대 1470억 배럴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이란의 석유 매장량이 약 1376억 배럴이므로, 이는 세계 3위 규모의 매장량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런 엄청난 매장량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다. 확실한 근거가 없으며, 단지 중국 보하이만에 유전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보하이만과 인접한 서한만이 반사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것 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는 것은 투자하기에 매력적인 요소이기 때문인지, 2005년부터 북한과 중국은 협정을 맺고 공동개발에 나선 상태이다. 그렇지만 여러가지 사정 때문에 현재까지 가시적인 성과는 이루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중국과 북한이 서조선만의 유전 공동개발에 합의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며, 그 매장량은 210억에서 240억 톤까지 달한다고 주장하였다.
철산반도[편집]
철산반도(鐵山半島)는 평북 황해안의 중부에서 남쪽으로 돌출한 반도이다. 길이 24km, 최대너비 15km, 철산군의 남부를 차지하며, 반도 말단은 가도(椵島), 탄도(炭島), 소화도(小和島), 대화도(大和島) 등으로 이어진다. 반도의 북쪽에는 강남산맥이 서남 방향으로 뻗어 망일산(望日山:613 m), 연대산(煙臺山:248 m), 입봉(笠峰:512 m) 등 낮은 산들이 솟아 있고, 중부지역은 평야와 분지로 되어 있다. 해안선은 비교적 복잡하나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고 간만의 차가 심하여 좋은 항구가 없다. 반도의 1/2이 산림지대이며 평야부에서는 쌀, 옥수수, 콩, 채소 등의 농산물과 사과, 배 등의 과수 재배가 성하다. 부근 바다에서는 멸치, 전어, 숭어, 갈치, 새우, 조개류를 어획하며 민어, 굴 등의 양식업이 성하다. 반도의 북부를 경의선 철도와 선천~신의주 간 국도가 지나고, 차련관(車輦館:현 동림)과 남시(南市:현 염주)에서 분기한 국도가 철산읍으로 통한다. 한편, 등곶(登串)에서 선천군의 신미도(身彌島)와 정주군 마산포 등지로 항로가 개설되어 있다.[5]
장연반도[편집]
장연반도(長淵半島)는 황해남도 용연군(룡연군) 서부 황해에 돌출한 반도이다. 길이 21km, 폭 7km이며 동서 방향으로 놓여있다.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에 황해지역이 침강하여 바다에 잠길 때 높은 산맥 부분이 남아서 형성된 것이다. 반도의 중앙으로 불타산맥이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을 가른다. 또 북서부에는 구월산맥이 남서 방향으로 뻗어 북쪽의 해안평야와 남쪽의 남대천 유역 평지의 두 생활권으로 분리한다. 서쪽 끝에는 장산곶절벽이 있다. 태산봉(381m), 국사봉(288m) 등의 산들이 있으며 이 산들은 오랜 침식작용으로 가파르고 험하다. 해안 쪽으로 가면서 구릉들과 해안단구 및 해안평야가 있다. 해안선은 대체로 단조로우나 북부 해안을 중심으로 진풍반도(眞風半島)를 비롯한 국부적인 굴곡을 보인다. 또 해안은 사질 해안과 암석 해안이 섞여 있으며, 특히 장산곶 남해안에 발달한 해식절벽은 소나무 숲과 어울려 아름다운 경치를 이룬다. 장산곶 북해안의 몽금포(夢金浦)는 사질해안을 이루어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기후는 비교적 따뜻한 해양성 기후로 연평균기온은 10℃, 연평균강수량은 1,000mm이다. 토양은 대부분 갈색산림토이다. 해안 일대에는 규사가 많고 장산곶 부근 해저에서는 응회질 점판암이 산출되어 벼룻돌로 쓰인다. 그밖에 예로부터 알려진 낙산(樂山) 금광, 금산포 철광 등이 있다. 몽금포해수욕장을 비롯하여 송화(松禾)온천 및 구월산, 장연(長淵) 서쪽 2km에 위치한 석회동굴인 화굴(花窟), 또 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오차바위, 몽금포사구, 몽금포코끼리바위 등의 관광자원이 있다.[6]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서조선만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진영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안천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굴포운하)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평안남도)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면운하(판목운하)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주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구암호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랑림호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서흥호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연탄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령만 • 강진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가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마양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강령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마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산이반도 • 송전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읍저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세계의 바다
|
곡물해안(후추해안) • 구단선 • 그린란드해 • 남극해 • 남대서양 • 남동대서양(동남대서양) • 남인도양 • 남중국해 • 남태평양 • 노르웨이해 • 노예해안 • 대서양 • 데이비스해 • 동대서양 • 동시베리아해 • 동인도양 • 동중국해 • 동지중해 • 동카리브해 • 동태평양 • 동해 • 랍테프해 • 래브라도해 • 래카다이브해 • 레반트해 • 로스해 • 리구리아해 • 링컨해 • 마르마라해 • 바덴해 • 바렌츠해 • 반다해 • 발레아레스해 • 발트해 • 백해 • 버마해 • 베링해 • 벨링스하우젠해 • 보르네오해 • 보퍼트해 • 보하이해(발해) • 북극해 • 북나투나해 • 북대서양 • 북인도양 • 북태평양 • 북해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코럴해) • 상아해안 • 서남극빙하 • 서대서양 • 서인도양 • 서지중해 • 서카리브해 • 서태평양 • 세일리시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술라웨시해 • 술루해 • 스코샤해 • 아드리아해 • 아라비아해 • 아라푸라해 • 아문센해 • 아일랜드해 • 아조프해 • 알보란해 • 에게해 • 오대양 • 오호츠크해 • 올란드해 • 웨들해 • 이오니아해 • 인도양 • 자와해 • 중부지중해 • 중태평양 • 지중해 • 챌린저해연 • 축치해 • 카라해 • 카리브해 • 카스피해 • 켈트해 • 코로해 • 코르테스해 • 크레타해 • 태즈먼해 • 태평양 • 티레니아해 • 티모르해 • 포인트 니모 • 필리핀해 • 홍해 • 황금해안 • 황해 • 흑해
|
|
세계의 만
|
가고시마만 • 가베스만 • 경기만 • 과야킬만 • 관타나모만 • 그단스크만 •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만 • 기니만 • 나폴리만 • 노턴만 • 다롄만 • 도야마만 • 도쿄만 • 동조선만(동한만) • 라이저우만 • 라플라타만 • 랴오둥만 • 리가만 • 마푸투만 • 맥스웰만 • 메인만 • 멕시코만 • 모튼만(모레톤만) • 무쓰만 • 바레인만 • 바타바노만 • 배핀만 • 베네수엘라만 • 베네치아만 • 베이부만 • 벵골만 • 보타니만 • 보트니아만 • 보하이만(발해만) • 브로큰만 • 브루나이만 • 브리스톨만 • 비스케이만 • 사가미만 • 사로니코스만 • 산마르티나만 • 산조지만 • 샌파블로만 • 샌프란시스코만 • 샤먼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선전만 • 세인트로렌스만 • 세인트마르코스만 • 세인트빈센트만 • 센다이만 • 셸리호바만(셀리호바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스펜서만 • 시드니항 • 시드라만 • 아나디리만 • 아덴만 • 아리아케해 • 아무르만 • 아문센만 • 아카바만 • 알래스카만 • 어드미랄티만 • 오만만 • 오비만 • 오사카만 • 온두라스만 • 와카사만 • 우수리만 • 우치우라만 • 이세만 • 이시카리만 • 자오저우만 • 제노바만 • 제임스만 • 조지언만 • 지브롤터만 • 진주만 • 체서피크만 • 카라보가스골만 • 카펀테리아만 • 캄바트만 • 캄페체만 • 코린토스만 • 코츠뷰만 • 쿠웨이트만 • 쿠치만 • 타란토만 • 타이만 • 타주라만 • 타진만 • 통킹만 • 파나마만 • 파리아만 • 파푸아만 • 펀디만 • 펄스만 • 페르시아만 • 포시예트만 • 포트필립만 • 폰세카만 • 표트르대제만 • 플렌티만 • 핀란드만 • 하롱베이(할롱만) • 하우라키만 • 하이저우만 • 항저우만 • 허드슨만 • 히로시마만
|
|
세계의 해협
|
간몬해협 • 골든게이트해협 • 네벨스코이해협 • 네어스해협 • 노스해협 • 다르다넬스해협 • 대만해협(타이완해협) • 대벨트해협(스토레벨트해협) • 대한해협 • 데이비스해협 • 덴마크해협 • 도버해협 • 드레이크해협 • 드미트리 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해협 • 롱아일랜드해협 • 루손해협 • 림협만 • 마젤란해협 • 마카사르해협 • 말라카해협(믈라카해협) • 메시나해협 • 모잠비크해협 • 바시해협 • 밥엘만뎁해협(바브엘만데브해협) • 배스해협 • 베링해협 • 보니파시오해협 • 보스포루스해협 • 보하이해협 • 부산해협 • 브랜스필드해협 • 비글해협 • 세인트조지해협 • 소벨트해협(릴레벨트해협) • 순다해협 • 스미스해협 • 스카게락해협 • 시칠리아해협 • 싱가포르해협 • 쓰가루해협 • 쓰시마해협 • 아폴리마해협 • 영국해협 • 오트란토해협 • 외레순해협 • 유카탄해협 • 이르베해협 • 이즈메니해협 • 제주해협 • 조지아해협 • 조호르해협 • 지브롤터해협 • 카라해협 • 카리마타해협 • 카테가트해협 • 케르치해협 • 쿡해협 • 타타르해협(마미야해협) • 토레스해협 • 포크해협(팔크해협) • 플로리다해협 • 하이난해협(충저우해협) • 허드슨해협 • 호르무즈해협 • 환드퓨카해협
|
|
세계의 해곡
|
난카이해곡 • 노섬벌랜드해곡 • 마리아나해곡 • 마리아나해구 • 베뉴해곡 • 사가미해곡 • 사우스셰틀랜드해곡 • 솔튼해곡 • 수아킨해곡 • 스루가해곡 • 오키나와해곡 • 케이맨해곡 • 킹스해곡 • 티모르해곡 • 헤스페리데스해곡
|
|
세계의 빙붕
|
라슨빙붕 • 로스빙붕 • 론빙붕 • 브룬트빙붕 • 섀클턴빙붕 • 애머리빙붕 • 필히너빙붕
|
|
세계의 방조제
|
새만금 방조제 • 주다치 방조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