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만(京畿灣)은 경기도의 서쪽에 있는 만으로서,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황해도 옹진반도 사이에 있는 만을 뜻한다. 경기만은 한반도 중부 지방에 자리한 경기도의 서쪽에 넓게 형성되어 있다는 데에서 '경기만'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경기만 주변의 바다를 경기해라고도 부른다.
- 경기만은 인천과 경기 서쪽 한강의 강구를 중심으로 북쪽의 장산곶과 남쪽의 태안반도(泰安半島)와의 사이에 있는 반원형의 만이다. 해안선 길이 528km. 북안의 장연반도(長淵半島)에는 옹진(甕津) ·청단(靑丹) ·연안(延安) ·대동(大東) 등의 여러 반도가 돌출하고, 그 사이에 해주만(海州灣)이 있다. 남안에는 남양만(南陽灣)과 그 안쪽에 아산만(牙山灣)이 만입하여 해안선의 출입이 복잡하다. 연안에는 강화도(江華島)를 비롯하여 영종도(永宗島) ·영흥도(靈興島) ·덕적군도(德積群島) ·순위도(巡威島) ·용호도(龍湖島)와 그 밖의 수많은 섬들이 산재하여 황해의 다도해를 이루고 있다. 만 내의 주요항구인 인천은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여 8.1 m의 대조차(大潮差)를 나타낸다. 수심이 얕아 해안선에서 수십 km 앞바다까지 50 m 미만이다. [1]
- 경기만은 인천과 경기도 서쪽 한강의 강구를 중심으로 황해도의 옹진반도 남단 등산곶과 충청남도의 태안반도 사이에 있는 반원형의 만이다. 북한에서는 강화만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해안선 길이는 약 528km. 너비는 약 100km이며 만입은 약 60km이다. 크기에 비해 굴곡이 심하여 만이나 곶이 많다. 또한 강화도, 영종도, 덕적도, 교동도, 석모도 등 크고 작은 219개의 섬이 있다. 한강을 비롯해 임진강, 예성강, 안성천의 하구가 이 만으로 흘러들기도 한다. 수심이 매우 얕아 해안선에서 수십km를 나가도 40m를 넘지 않으며, 조차가 크고 갯벌이 발달해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개경과 한양이 만의 배후에 입지한 관계로 해상교통과 무역이 발달하였다. 대표적인 예가 벽란도. 현재는 인천광역시, 시흥시, 안산시 등 한국 최대의 종합 공업 지대가 입지하고 있으며, 간만의 차가 심한 것을 이용하여 조력발전의 가능성도 제기되는 중이다.[2]
- 경기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남도 옹진반도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사이에 있는 반원형의 만이다. 만의 입구는 서쪽으로 열려 있으며, 너비 약 100km, 해안선의 길이는 약 528km이다.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여 만·곶이 많고, 크고 작은 200여 개의 섬들이 있다. 수심이 50m 이내로 얕고, 조차(潮差)가 8~10m로 매우 커서 썰물 때는 간석지가 넓게 펼쳐진다. 경기만은 한강을 비롯해 임진강, 예성강 등의 하구이기도 하다. 만의 배후에는 수도권과 함께 경인공업지대와 인천항이 자리 잡고 있고, 북쪽으로는 서해 북방한계선이 놓여 있다.[3]
- 경기만은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황해도 옹진반도와의 사이에 있는 만이다. 경기만은 한반도 서해 중부에 위치한 해역으로, 남양만·아산만·해주만 등 소만입과 곶이 많아 해안선의 출입이 복잡하고 강화도를 비롯하여 영종도·영흥도·용호도와 덕적군도 등 크고 작은 130여 개의 섬들이 산재하여 일명 경기 다도해를 이룬다. 해안선의 길이는 528㎞에 달하고 만구는 서쪽으로 열려 있으며, 너비는 약 100㎞, 만입은 약 60㎞이다. 또한, 간조시에는 넓은 간석지를 이용하여 천일제염업이 발달했고, 지금은 양식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간만의 차가 심하여 조력발전의 가능성도 높다.[4]
만(灣)의 기준[편집]
- 만은 주변의 해안선과 비교해서 바닷물이 육지 방향으로 들어와 있는 수역을 말한다. 본래 '물굽이 만(灣)'의 한자음은 '만'이 아니라 '완'이라고 읽어야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와전되어 '만'이라는 속음이 정착했다. 만은 해안의 단순한 굴곡 이상으로 바다가 육지 쪽으로 특징적으로 들어와 있는 형태의 지형이다.
- 만은 일반적으로 바다가 육지 쪽으로 들어와 있는 형태의 지형을 말하며, 바다 쪽으로 육지가 돌출한 곶(串)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여러 가지 형성 원인들에 의해 해안선에 이러한 만이나 곶이 나타나는 곳이 많으며, 작은 규모의 만에서부터 수백 km 이상으로 펼쳐지는 대규모의 만까지 다양한 규모로 존재한다. 영어로는 'bay' 또는 'gulf'를 사용하는데, 'bay'는 샌프란시스코만(San Francisco bay), 원산만(Wonsan bay) 등 비교적 작은 규모에 쓰고, 'gulf'는 페르시아만(Persian Gulf), 알래스카만(Gulf of Alaska) 등 대규모의 만에 쓰는 경향이 있으나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 만은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육지 안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물결이 잔잔하여 대피항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항만으로 발달할 조건도 좋다. 한국의 경우 만은 해안선의 굴곡이 심한 남해안의 다도해 해역이나 서해안에 많이 발달하는 반면, 해안선이 단조로운 동해안에는 곶과 곶 사이에 소규모로 나타나곤 한다. 만은 예로부터 항구도시로 활용되거나 해양운송에 유리하여 일찍이 해양과 육지의 관문 역할을 해왔으며, 근대 이후 무역중심지로서나 신흥공업지역으로 발전해 온 곳도 많다. 한편, 태풍이나 폭풍우 시 파랑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대피소 역할도 하기도 한다.
경기만의 지질[편집]
- 경기만은 한반도의 서해안에서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황해남도 옹진반도 사이에 있는 거대한 만(灣)이다. 경기만에는 남양만·아산만·해주만 등 경기만의 2차적인 여러 만입부(灣入部)가 발달해 있어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하다. 경기만에는 영종도, 강화도, 대부도, 제부도, 덕적도 등 크고 작은 130여 개의 섬이 자리하고 있어 일명 경기 다도해를 이룬다.
- 경기만 해안선의 길이는 528㎞에 달하고 만의 입구는 서쪽으로 열려 있다. 폭은 약 100㎞, 만입은 약 60㎞이다. 시흥시는 경기만의 동쪽 끝 부분에 자리하며 시화방조제와 오이도해양단지, 배곧 신도시, 월곶 신도시 등이 경기만에 접해 있다. 경기만에 접한 시흥시의 해안선 길이는 약 15.6㎞이다.
- 지금은 사라진 군자염전은 시흥시에 접해 있는 경기만의 넓은 갯벌을 매립하여 1925년 조성되었던 대규모의 천일염 생산지였다. 경기만의 내만(內灣)은 갯벌의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염전으로 개발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진 곳이었다. 시화지구 개발 사업으로 간척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지금은 대단위 공업단지와 배후 시가지가 입지하였다.
- 경기만은 복잡한 해안선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여러 곳의 만, 반도, 섬이 있다. 주요 만입부에는 강화만·인천만·남양만 등이 있고, 반도부에는 김포반도·인천반도·화성반도 등이 있다. 시흥시는 화성반도와 인천반도의 사이에서 경기만의 안쪽 깊숙한 곳에 자리한다. 시흥시의 오이도와 옥구도 등은 과거 경기만에 자리한 섬이었지만, 지금은 육지로 연결되었다.
경기만의 생태환경[편집]
- 경기만은 해안선의 출입이 심하고 섬·만·반도 등이 많다. 주요한 만입으로는 강화만, 인천만, 남양만, 아산만 등이 있고, 반도로는 김포반도, 인천반도, 화성반도 등이 있다.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는 모두 219개의 섬이 있는데, 이 중 유인도는 65개이다. 대표적인 섬으로는 강화도, 교동도, 백령도, 영종도, 석모도 등이 있다.
- 경기만은 조수 간만의 차가 매우 크다. 시흥에서 가까운 인천 앞바다의 대조차(大潮差)는 8.1m에 달한다.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해안선의 드나듦이 심해서 경기만에는 갯벌이 넓게 발달해 있다. 시흥시에도 과거 갯벌이 널리 분포했지만, 지금은 해안 매립으로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신천과 장현천이 경기만으로 흘러가는 유로에는 시흥갯벌이 형성되어 있다. 수심은 40m 내외로 깊지 않아서 썰물 때는 개펄(간석지)이 넓게 펼쳐진다. 경기만에는 갯벌이나 조류의 흐름에 따라 미세한 퇴적물이 쌓여 있어 자연생태계의 보전 상태가 양호하다.
- 경기만은 조차가 매우 커서 아산만과 인천의 대조차가 각각 8.5m, 8.1m에까지 이른다. 조차가 이처럼 큰데다가 해안선의 출입이 심하고 섬이 많으며 한강·임진강·예성강 등의 큰 하천들이 대량의 토사를 유입시켜 경기만에는 갯벌이 넓게 발달되어 있다.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갯벌 면적은 전국의 약 35%에 해당한다.
- 경기만 내의 갯벌 분포는 대부분의 갯벌이 한강 하구유역에 인접한 강화군에 속하는 강화도, 석모도, 볼음도 등의 섬 주변에 발달되어 있으며, 옹진군에 속하는 장봉도, 영흥도, 자월도, 덕적도, 대부도 등 외해와 직접 연하여 있는 서쪽 해안에는 독립적인 갯벌이 산재되어 있다. 한강을 비롯하여 임진강·예성강 등 큰 하천이 흘러들며 이들 하천의 하구 부근에는 경기평야·연백평야 등 대곡창 지대가 분포한다.
- 수심이 얕고 수온의 계절적인 변동이 심하지만 한·난류의 영향이 적고 조류의 작용이 활발하여 해저의 영향 염류와 각종 유기 물질이 풍부하여 좋은 어장을 이룬다. 만 북부의 연평도는 조기잡이로 유명하여 성어기 때에는 파시를 이루었다. 그 밖의 인천·해주·옹진도 주요 어업 근거지이다.
경기만의 형성[편집]
- 경기만에는 갯벌 및 조류 방향으로 평행한 사질 퇴적체가 형성되어 있고, 퇴적물은 대부분 한강, 임진강, 예성강 등을 통한 육상기원의 물질들이 이동되어 퇴적된 것이다. 경기만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개경과 한양이 만의 배후에 입지했던 관계로 일찍부터 해상 교통과 무역이 활발했던 곳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천연의 요새지로 내·외적으로부터의 변란이 있을 때마다 수도 방위와 피난지로서 중요시되어 왔다. 오늘날에도 군사분계선이 만을 가로지르고 있어 수도 방위상 중요하다.
- 경기만의 연안에는 수도 서울을 배경으로 한 한국 최대의 종합 공업지대가 입지하고 있으며, 이 공업지역에서 소요되는 원료와 생산되는 제품의 하역 및 적출을 위한 대항만 도시인 인천이 연안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과거의 간척사업은 농경지와 염전 개발을 위하여 추진되었으나, 근래에는 특히 임해공업단지의 조성을 위하여 대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경기만의 배후에는 수도권이 자리한다. 인천광역시를 비롯하여 경기도 시흥시·안산시 등의 도시가 자리 잡고 있으며, 수도권 공업 지대와 인천항·인천국제공항 등이 있다. 시화국가산업단지가 자리한 시흥시 남쪽의 정왕동 해안은 시화방조제의 완공으로 시화호가 만들어지면서 경기만과는 분리되었다. 시화방조제의 시흥시 구간에서 오이도해양단지, 오이도선착장, 배다리선착장, 덕섬, 배곧 신도시 등지가 경기만과 직접 닿아 있다.
남양만(南陽灣)[편집]
- 경기만(京畿灣)의 남부 수역(水域)을 차지하는 만이다. 북쪽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반도와 그 서쪽의 도서군, 남쪽의 충청남도 당진시 사이의 수역으로, 남쪽에는 좁고 긴 지만인 아산만(牙山灣)이 만입한다.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만 안쪽에서는 10.4m에 달하고, 간석지가 넓게 분포하여 염전 및 굴을 비롯한 수산양식장이 많다.
- 연안 일대는 어류의 산란장으로 적합하여 봄·여름에 난류성 어족이 모여든다. 한편, 연안에는 간척으로 조성된 땅이 넓으며, 특히 1974년 5월에 아산만 안쪽의 안성천(安城川) 하구부와 지만인 분양만(分陽灣) 안쪽에 방조제를 준공하여 아산호·남양호의 두 담수호를 구축함으로써 염전의 답지화(畓地化) 및 간척개답(干拓開畓) 면적이 크게 늘었다.
인천만(仁川灣)[편집]
- 경인지방의 서해안 경기만(京畿灣)의 중앙부를 차지한 인천항(仁川港)의 앞바다이다. 북쪽과 서쪽은 인천반도 ·월미도(月尾島) ·영종도(永宗島) ·신불도(薪佛島) ·용유도(龍遊島) 및 대 ·소무의도(大小舞衣島)로 둘러싸였다. 남쪽은 군자반도(君子半島) ·조이도(鳥耳島) ·영흥도(靈興島) ·자월도(紫月島) 등에 둘러싸여 있어 만내는 넓고 수심이 깊고 풍랑이 심하지 않아 천연적인 내만(內灣)을 이루어 선박출입과 정박이 안전하다.
- 간만(干滿)의 차가 9 m에 달하는 세계적 대조차(大潮差) 지역이므로 선박의 출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수문식 독을 축조하였다. 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 개발계획도 세우며 만내의 소월미도(小月尾島) ·팔미도(八尾島) ·북장자도(北長子島)에는 등대가 있어 항해에 도움을 준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만〉, 《위키백과》
- 〈만〉, 《나무위키》
- 〈경기만〉, 《나무위키》
- 〈경기만〉, 《위키백과》
- 〈만〉, 《네이버지식백과》
- 〈경기만(京畿灣)〉, 《두산백과》
- 〈경기만(京畿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연섭 논설위원, 〈(지지대) 경기만 소금길〉, 《경기일보》, 2020-10-19
- 이상묵 기자, 〈시흥시, '시흥시티투어' 4년 만에 재개〉, 《데일리임팩트》, 2023-03-14
- 장병환 기자, 〈시흥시, 경기도 11번째 인구 50만 돌파 ‘대도시’ 반열 올라〉, 《중앙신문》, 2020-12-28
- 박혜림 기자, 〈(경기만 소금길, 생명을 담다) ④발길 떼기가 아쉽다…도보여행 첫 걸음〉, 《인천일보》, 2020-07-24
같이 보기[편집]
이 경기만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북한)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산이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세계의 바다
|
곡물해안(후추해안) • 구단선 • 그린란드해 • 남극해 • 남대서양 • 남동대서양(동남대서양) • 남인도양 • 남중국해 • 남태평양 • 노르웨이해 • 노예해안 • 대서양 • 데이비스해 • 동대서양 • 동시베리아해 • 동인도양 • 동중국해 • 동지중해 • 동카리브해 • 동태평양 • 동해 • 랍테프해 • 래브라도해 • 래카다이브해 • 로스해 • 리구리아해 • 링컨해 • 마르마라해 • 바렌츠해 • 반다해 • 발레아레스해 • 발트해 • 백해 • 버마해 • 베링해 • 벨링스하우젠해 • 보르네오해 • 보퍼트해 • 보하이해(발해) • 북극해 • 북나투나해 • 북대서양 • 북인도양 • 북태평양 • 북해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코럴해) • 상아해안 • 서남극빙하 • 서대서양 • 서인도양 • 서지중해 • 서카리브해 • 서태평양 • 세일리시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술라웨시해 • 술루해 • 스코샤해 • 아드리아해 • 아라비아해 • 아라푸라해 • 아문센해 • 아일랜드해 • 아조프해 • 알보란해 • 에게해 • 오대양 • 오호츠크해 • 올란드해 • 웨들해 • 이오니아해 • 인도양 • 자와해 • 중부지중해 • 중태평양 • 지중해 • 챌린저해연 • 축치해 • 카라해 • 카리브해 • 카스피해 • 켈트해 • 코로해 • 코르테스해 • 크레타해 • 태즈먼해 • 태평양 • 티레니아해 • 티모르해 • 포인트 니모 • 필리핀해 • 홍해 • 황금해안 • 황해 • 흑해
|
|
세계의 만
|
가고시마만 • 가베스만 • 경기만 • 과야킬만 • 관타나모만 • 그단스크만 •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만 • 기니만 • 나폴리만 • 노턴만 • 다롄만 • 도야마만 • 도쿄만 • 동조선만(동한만) • 라이저우만 • 라플라타만 • 랴오둥만 • 리가만 • 마푸투만 • 맥스웰만 • 메인만 • 멕시코만 • 모튼만(모레톤만) • 무쓰만 • 바레인만 • 바타바노만 • 배핀만 • 베네수엘라만 • 베네치아만 • 베이부만 • 벵골만 • 보타니만 • 보트니아만 • 보하이만(발해만) • 브로큰만 • 브루나이만 • 브리스톨만 • 비스케이만 • 사가미만 • 사로니코스만 • 산마르티나만 • 산조지만 • 샌파블로만 • 샌프란시스코만 • 샤먼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선전만 • 세인트로렌스만 • 세인트마르코스만 • 세인트빈센트만 • 센다이만 • 셸리호바만(셀리호바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스펜서만 • 시드니항 • 시드라만 • 아나디리만 • 아덴만 • 아리아케해 • 아무르만 • 아문센만 • 아카바만 • 알래스카만 • 어드미랄티만 • 오만만 • 오비만 • 오사카만 • 와카사만 • 우수리만 • 우치우라만 • 이세만 • 이시카리만 • 자오저우만 • 제노바만 • 제임스만 • 조지언만 • 지브롤터만 • 진주만 • 체서피크만 • 카라보가스골만 • 카펀테리아만 • 캄바트만 • 캄페체만 • 코린토스만 • 코츠뷰만 • 쿠웨이트만 • 쿠치만 • 타란토만 • 타이만 • 타주라만 • 통킹만 • 파나마만 • 파리아만 • 파푸아만 • 펀디만 • 펄스만 • 페르시아만 • 포시예트만 • 포트필립만 • 폰세카만 • 표트르대제만 • 플렌티만 • 핀란드만 • 하롱베이(할롱만) • 하우라키만 • 하이저우만 • 항저우만 • 허드슨만 • 히로시마만
|
|
세계의 해협
|
간몬해협 • 골든게이트해협 • 네벨스코이해협 • 네어스해협 • 노스해협 • 다르다넬스해협 • 대만해협(타이완해협) • 대벨트해협(스토레벨트해협) • 대한해협 • 데이비스해협 • 덴마크해협 • 도버해협 • 드레이크해협 • 드미트리 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해협 • 롱아일랜드해협 • 루손해협 • 림협만 • 마젤란해협 • 마카사르해협 • 말라카해협(믈라카해협) • 메시나해협 • 모잠비크해협 • 바시해협 • 밥엘만뎁해협(바브엘만데브해협) • 배스해협 • 베링해협 • 보니파시오해협 • 보스포루스해협 • 보하이해협 • 부산해협 • 브랜스필드해협 • 비글해협 • 세인트조지해협 • 소벨트해협(릴레벨트해협) • 순다해협 • 스미스해협 • 스카게락해협 • 시칠리아해협 • 싱가포르해협 • 쓰가루해협 • 쓰시마해협 • 아폴리마해협 • 영국해협 • 오트란토해협 • 외레순해협 • 유카탄해협 • 이즈메니해협 • 제주해협 • 조지아해협 • 조호르해협 • 지브롤터해협 • 카라해협 • 카리마타해협 • 카테가트해협 • 케르치해협 • 쿡해협 • 타타르해협(마미야해협) • 토레스해협 • 포크해협(팔크해협) • 플로리다해협 • 하이난해협(충저우해협) • 허드슨해협 • 호르무즈해협 • 환드퓨카해협
|
|
세계의 해곡
|
난카이해곡 • 노섬벌랜드해곡 • 마리아나해곡 • 마리아나해구 • 베뉴해곡 • 사가미해곡 • 사우스셰틀랜드해곡 • 솔튼해곡 • 수아킨해곡 • 스루가해곡 • 오키나와해곡 • 케이맨해곡 • 킹스해곡 • 티모르해곡 • 헤스페리데스해곡
|
|
세계의 빙붕
|
라슨빙붕 • 로스빙붕 • 론빙붕 • 브룬트빙붕 • 섀클턴빙붕 • 애머리빙붕 • 필히너빙붕
|
|
세계의 방조제
|
새만금 방조제 • 주다치 방조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