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위키원
(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 서울역사

(驛, station)은 철도지하철에서 여객을 승하차시키거나 화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기차가 출발하거나 멈추는 장소를 말한다. 철도지하철이라는 특정한 교통수단에 국한되어 사용되며, 정거장의 일종이다.

개요[편집]

역은 고대부터 교통기관의 하나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용했던 시설이다. 그 의미가 오늘날에는 철도역으로 축소되었지만, 옛날에는 역마(驛馬)를 갈아타는 곳이었고, 인마(人馬) 또는 마차(馬車)가 머무르는 여관과 차고(車庫)의 구실도 하였으며, 통신을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되었다.

현재의 역은 고대의 의미와는 아주 다르게 발전되었으며 교통기관의 한 부분이기는 하여도 그것이 '철도'라는 특정한 교통수단에서 전용하는 용어로 축소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역은 차량이 멈추는 장소인 '정거장(停車場)'으로 인식되기도 하나, 정거장의 일종이지 역이 바로 정거장 전체를 뜻하지는 않는다.

한국 철도에서는 역을 '열차를 정지하고 여객 또는 화물의 취급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정거장의 범주 내에 역・조차장(操車場)・신호장(信號場)이 포함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차량이 멈추는 시설만으로는 역이라 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여객 또는 화물의 취급'인 것이다. 즉, 여객이든지 화물이든지 적어도 한 가지는 취급을 하여야 비로소 역이라고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철도영업을 하여 공중(公衆)과 접촉을 하여야 역이라고 한다.[1]

역사[편집]

공무 여행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선 시대에 실시되었던 역제(驛制)는 근대적인 교통수단이나 통신 시설이 발달하지 못하였던 시대에 교통로의 형성과 운영 등 교통 체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역제는 중국에서 실시되던 제도를 모방하여 삼국시대에 국지적으로 실시되었고, 고려 시대에 와서 전국적으로 행하여졌다.

조선 시대에는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였으며, 고려 때에 이루어진 교통로를 중심으로 도로를 정비, 발달시켰다. 따라서 조선조의 모든 제도가 정비되었던 성종대에 역제는 9대 간선도로와 140여 개의 지선을 중심으로 교통망이 형성되었으며, 전국적으로 23개의 찰방도(察訪道)와 18개의 역승도(驛丞道) 관할하에 모두 543역이 분포하였었다.

그 후 일부 구간에서 역의 폐지, 신설 등이 있었으며, 찰방이 모두 역승으로 대체되었을 뿐 역제는 큰 변화 없이 1895년(고종 32) 우체사(郵遞司)의 설치와 함께 폐지될 때까지 지속하였다. 이들 도로는 정치적인 목적에 의하였으나 군사적인 목적이 더 강하였기 때문에 최종 관할은 병조(兵曹)였고, 실질적인 관할은 병조의 승여사(乘輿司)였다.

각 역에는 역장(驛長)・역리(驛吏)・역졸(驛卒)・역정(驛丁)・역노(驛奴) 등을 두어 역무와 공역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관둔전(官屯田)과 마전(馬田) 등의 역전(驛田)을 지급하여 역의 운영 경비와 역원들의 급료를 충당하게 하였다. 그러나 역정의 문란으로 그 폐해가 심하여졌고, 결국 우체사의 설치는 역제의 완전 폐지를 유도하였다.

역제의 폐지로 역이라는 용어도 사라졌으나, 1899년 경인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철도 교통에 한하여 다시 쓰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하철이 도시 내 대중교통 수단으로 1974년 등장하면서 지하철이 정차하여 여객을 승하차시키는 장소도 역이라고 부른다. 근대적인 철도역은 1899년에 7개에 불과하였으나, 1944년에는 762개로 증가하였다.

철도역의 종류[편집]

철도 교통에서 역의 분류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규정상에 따른 분류로 보통역・운전 간이역・간이역・임시 승강장 등 네 가지로 나눈다.

보통역에는 역장과 역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보통역은 영업상이나 운전 취급상 통상적인 취급을 하는 역을 말한다. 서울역・영등포역・부산역 등 역이 이에 속한다.

운전 간이역이란 역장을 배치하고 영업상으로는 보통역과 같으나 운전 취급을 하지 않는 역을 말한다. 선로가 본선뿐이어서 신호 장치가 전혀 없고 승강장만 있는 곳으로 동순천역・제물포역 등 역이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 운전 간이역은 보통역으로 함께 분류되기도 한다.

간이역이란 역장을 배치하지 않고 여객만을 취급하는 역을 말한다. 직원을 배치한 배치 간이역과 직원을 배치하지 않은 무배치 간이역이 있다. 무배치 간이역에서는 민간 대매업자가 승차권을 발매한다.

임시 승강장이란 특정 계절이나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여객과 화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이에는 한탄강역 등이 있다.

둘째, 역의 취급 기능상에 의한 분류로는 여객역・화물역・일반역 등 세 가지가 있다.

여객역이란 여객과 수하물・우편물 등을 주로 취급하는 역을 말한다. 서울역이 이에 속한다. 화물역이란 화물만을 취급하는 역으로 이문역・서강역 등이 있다. 일반역이란 여객과 화물을 함께 취급하는 역을 말하며 대부분의 역들이 이에 속한다.

셋째, 형태상의 분류로 역 시설의 위치, 열차의 종류, 선로의 형태 등 세 가지가 있다.

역 시설의 위치에 따라 지상역・지하역・선상역・선하역으로 구분한다.

열차의 종류에 따라서는 재래식 일반 열차만 다니는 일반역, 전동차만 다니는 전철역, 두 종류 모두가 다니는 병합역 등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선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시단역(始端驛)・중간역(中間驛)・분기역(分岐驛)・중단역(中斷驛) 등으로 나뉘어진다.

시단역이란 선로가 끝나는 역으로 여기에는 춘천역・인천역・목포역 등이 있으며, 중간역이란 중간에 위치한 역을 말한다. 분기역이란 두 개이상의 선로가 만나는 역을 말하는 것으로 대전역・익산역・영주역 등이며, 문산역과 신탄리역은 휴전선에 의해 정치적・군사적으로 운행이 중단된 중단역이다.

철도 교통으로 승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역은 서울역・부산역・영등포역・동대구역・대전역 순이다.

기본시설[편집]

역에는 취급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기본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여객을 취급하는 시설로는 역광장・대합실・매표구・개집표구・승강장 등이 있다.

역광장은 철도를 이용하는 여객들이 모여드는 장소이며, 철도와 배후의 취락을 이어주는 접점이다. 따라서 여객과 화물이 집산(集散)하는 분기점이기도 하다.

대합실은 많은 사람이 체류하므로 채광과 환풍이 잘되도록 해야 하며,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매표구는 각종 승차권을 파는 곳으로 철도와 여객 사이의 승차권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장소이다. 여객들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용자 수를 추정하여 그에 상당하는 창구를 설치하여야 하며, 노선별 또는 열차의 등급별로 창구를 달리하는 것이 좋다. 근래에는 역무 자동화의 목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승차권 예매 전산 시스템이 개발되어 왕복승차권 발매와 전화 예약에 의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객이 여행을 시작하거나 끝내는 장소인 개집표구에서는 여객이 적당한 승차권을 소지하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따라서 여객이 짧은 시간 내에 유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여객이 적당한 열차편으로 여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알아보기 쉬운 표지판과 안내 방송을 하여야 한다.

승강장이란 여객이 열차를 타고 내리는 장소이다. 따라서 승하차 시에 불편이 없도록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며, 눈・비・햇빛을 피할 수 있는 지붕 시설이 필요하다. 승강장의 명칭은 역사에서부터 차례대로 '1번 홈', '2번 홈' 등으로 불린다.

개집표구와 승강장 사이는 여객의 안전을 위하여 지하도나 구름다리로 연결된 것이 보통이다. 일반 열차용이 승강장은 객차 출입구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전동차용보다 약간 높다.

화물을 취급하는 시설로는 화물적치장(貨物積置場)・화물선(貨物線)・야적장(野積場)・화물홈 등이 있다.

화물적치장은 탁송할 화물이나 토착할 화물을 임시로 쌓아두는 곳으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작업하기에 편리하도록 열차별・행선지별로 구분하여 쌓아두는 것이 좋으며, 자동차나 지게차・기중기 등의 출입이 가능해야 한다.

화물선에는 화물홈을 설치하고 정비할 차량을 일시 유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화물홈은 화물을 화차(貨車)에 적하하는 장소이다. 야적장은 석탄이나 목재를 쌓아두는 곳으로 넓은 공간이 요구된다. 화물홈은 기능상 승강장과 유사하나 운반 차량이 드나들 수 있어야 하며, 화물을 적하하는 특수한 장비와 화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량기 등이 있다.

역무 시설이란 역장 이하 각 종사원들이 열차 운행과 영업을 위하여 업무를 집행하는 제반 시설을 말한다. 역의 규모에 따라 그 구조는 차이가 있으나 역장실・서무계・여객계(매표실・개집표실・안내소 및 반환 창구)・운전계・구내계・화물계 등이 기본이다. 규모가 적은 6급 역에서는 모든 업무가 한 사무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기타 시설로는 항상 열차가 운행되는 본선(本線)과 열차의 조성 및 차량을 입환(入換)할 때 필요한 측선(側線), 각종 신호 보안 장치, 운전 설비 등이 있다.

각주[편집]

  1. 〉, 《네이버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네이버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역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