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조선만(東朝鮮灣) 또는 동한만(東韓灣)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남쪽 끝과 강원도 북쪽 끝 사이에 위치한 만이다. 다만, 동해안이기 때문에 간석지가 없다. 성천강과 금야강(표준어: 용흥강)이 흘러들며 주요 항구로 원산항과 흥남항이 위치해 있다.[1]
동조선만은 함경남도 북청군 신포읍 앞바다의 마양도(馬養島)와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서 동해안으로 돌출한 수원단(水源端) 사이에 있다. 동조선만은 동해안 최대의 만이다. 너비는 148㎞, 만입(灣入)은 약 80㎞이며 수심은 내만(內灣)에서는 10m 안팎이나 외만(外灣)으로 갈수록 깊어져 만구(灣口)에서는 200m 이상이 된다. 만안에는 영흥만(永興灣)과 함흥만(咸興灣)이 있고 영흥만 안에는 다시 덕원만(德源灣)과 송전만(松田灣)이 있어서 3중 구조이다. 가장 깊이 들어간 부분인 영흥만은 함경남도와 북한 강원도 사이에 위치한다. 만의 남·북 연안에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랴오둥(遼東) 방향의 함경산맥과 남북으로 뻗은 낭림, 태백의 두 산맥이 해발 1,000m 이상의 높이로 동해안에 다가서 있어서 단조로운 해안지형을 이룬다. 평지가 별로 없는 한반도 동해안에서도 특히 평야가 넓은 지역으로 기후도 북부치고는 따뜻해서 북한의 곡창지대로 기능하고 있다. 내만의 깊숙한 연안에는 동해안 최대의 충적평야로 관북 지방의 곡창지인 함흥평야와 영흥평야가 있다. 만내의 해류는 여름에 한류인 북한해류가 연안을 따라 남류(南流)하고, 난류인 동한해류가 외만에서 북류(北流)하여 만나게 되므로 7월과 8월 사이에는 해상에 안개가 많이 낀다.[2]
동조선만은 한·난류의 교류로 조경수역(潮境水域)을 이루어 고등어, 오징어, 방어, 삼치 등 난류성 어족과 명태, 대구 등 한류성 어족이 풍부하다. 바람은 대체로 편서풍이고 북동풍 내지 남동풍과 같은 동풍 계열의 바람은 약한 편이다. 만 주변의 주요 어항으로는 명태잡이로 유명한 마양도, 신포와 원산, 장전(長箭)이 있다. 장진호(長津湖)와 부전호(赴戰湖)의 수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한 북한 제1의 중화학 공업 단지인 함남공업지대가 있으며, 이 지역 생산품의 적출항은 흥남과 원산이다. 연안에는 원산, 흥남 등 천연의 양항이 발달하였다. 특히 원산의 송도원해수욕장, 갈마반도(葛麻半島)의 명사십리 등은 해수욕 피서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해금강(海金剛), 총석정(叢石亭) 등 금강산의 해금강 지구에도 명소가 많다.
[3]
대한민국 정부는 1950년 1월 16일 국무원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 중에서 <"조선"은 지명으로도 사용하지 못하고 "조선해협" "동조선만" "서조선만" 등은 각각 "대한해협" "동한만" "서한만"으로 고쳐 부른다>고 하여 명칭을 변경하였다. 북한에서는 동조선만이라 한다.
영흥만[편집]
영흥만(永興灣)은 북한 강원도 동해안에 있는 만으로 원산만(元山灣)이라고도 한다. 폭은 15∼18㎞에 이르며 수심은 내만에서는 극히 얕아 2∼5m에 지나지 않으나 만구 부근에서는 20m에 달한다. 만으로 흘러드는 하천으로는 장사봉(將師峰, 629m)에서 발원하여 문천면 남쪽을 흘러 만으로 흘러드는 남천강(南川江)과 덕원면 남쪽을 흘러 만으로 흘러드는 심포천(深浦川) 등이 있다. 북쪽에서 호도(虎島)반도가 내리뻗고, 남쪽에서 갈마(葛麻)반도가 돌출하여 영흥만을 둘러싸고 있다. 두 반도 사이의 바다에는 여도(麗島), 웅도(熊島), 신도(薪島), 모도(茅島) 등을 비롯한 많은 섬이 만구(灣口)를 감싸고 있다. 영흥만은 지질시대에 함몰로 형성된 만으로서 북부의 송전만(松田灣), 남부의 덕원만(德源灣)으로 나누어진다. 함몰된 고(古)영흥만은 낭림산맥에서 흘러내리는 용흥강(龍興江), 덕지강(德地江), 남대천(南大川) 등에 의해 운반된 토사가 퇴적되어 넓은 충적평야가 되었다. 송전반도와 호도반도로 구획된 송전만 연안에는 복합삼각주가 형성되어 계속 퇴적이 진행되고 있으며, 해안선의 굴곡도 복잡하다. 남부의 덕원만은 외해인 동해에 개방되어 있으며, 호상사빈(弧狀砂濱)이 형성되어 송도원(松濤園), 명사십리(明沙十里) 등의 해수욕장이 있다. 갈마반도의 서쪽에는 동해안 유수의 큰 항구도시인 원산이 발달하였고 정미, 기계, 조선, 차량, 정유 등의 공장이 입지해 있다. 송전만 안에서는 굴의 양식이 성하고, 영흥만 전해역에서 고등어, 가자미, 청어, 명태, 전갱이 등의 어로가 활발하다.[4]
- 덕원만(德源灣) : 송전만(松田灣)과 함께 영흥만(永興灣)을 이루는데, 명사십리(明沙十里)라고 하는 갈마반도(葛麻半島)에 둘러싸여 깊숙이 들어간 만이다. 그 안쪽에 원산항(元山港)이 있어서 원산만이라고도 부른다. 만내는 수심이 깊고 파도가 잔잔하여 천연의 양항(良港)이 형성되어 있다. 만 서쪽으로는 영전천(永田川)과 심포천(深浦川)이 흘러들며, 원산 시가지 북쪽에는 유명한 백사청송(白沙靑松)의 송도원해수욕장(松濤園海水浴場)이 있다.[5]
- 송전만(松田灣) : 호도반도(虎島半島)에 둘러싸여 있으며, 영흥만, 함흥만 등과 더불어 동한만(東韓灣)에 속한다. 만내에는 대저도(大猪島), 소저도(小猪島), 신도(薪島) 등의 섬이 있으며, 용흥평야를 관류하는 용흥강(龍興江), 전탄강(箭灘江), 덕지강(德池江), 영포천(永浦川) 등이 흘러들어 많은 퇴적물을 형성하였고,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어 어족이 풍부하다. 호도반도의 형성은 송전만의 외해를 막는 곳에 호도가 있었는데, 북한해류가 남류하면서 동으로 뻗어나온 삼봉산의 해안을 깎아 사주를 길게 형성하여 20㎞에 이르는 반도를 형성하였다. 즉, 북한해류는 호도의 북쪽에 토사를 퇴적시키면서 상포(上浦), 하포(下浦), 신장지(新獐池), 구장지(舊獐池), 두무포(斗武浦) 등의 석호(潟湖)를 형성하였다. 반도 남쪽 끝 대강곶(大江串)은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여 있다. 만의 입구 동안에는 외해의 파도를 피할 수 있는 장구억항(長九億港)이 있다. 영흥만에 비하여 수심이 8m 이하로 얕으며 간만의 차는 90㎝ 전후이다. 특히, 용흥강과 덕지강에는 연어가 많이 잡힌다.연평균기온 10.6℃, 1월평균기온 -4.5℃, 8월평균기온 24.3℃, 연강수량 1,055㎜이다. 주요수산물은 명태, 정어리, 고등어, 대구 등이다. 그 밖에 굴양식도 활발하다.[6][7]
함흥만[편집]
함흥만(咸興灣)은 영흥만(永興灣)과 함께 동한만(東韓灣)의 부만(副灣)으로 북쪽 서호곶(西湖串)에서 남쪽 장흥단(長興端) 사이 20km의 넓은 만구(灣口)를 가진다. 만이 육지에 굽어든 깊이는 깊지 않고 해안선은 대체로 완만한 원을 이룬다. 북쪽의 서호반도(西湖半島)에 감싸인 안쪽에는 서호진(西湖津), 흥남 두 항구가 있고, 만 북부에는 성천강(城川江), 중부에는 광포강(廣浦江), 남부에 금진강(金津江)이 흘러들어 만두에는 광대하고 비옥한 함흥평야가 전개된다. 북쪽 흥남항 연안을 제외하고는 만안전체에 30km에 달하는 사빈해안이 발달되었고, 중부 이남에는 사주(砂洲), 석호(潟湖)가 발달되었다. 만내에 대진도(大陳島), 소진도(小陳島), 입암(立岩), 화도(花島), 소화도(小花島), 간도(間島), 형제암(兄弟岩) 등의 섬이 있다. 부근 수역은 동한난류(東韓暖流)와 북한해류(北韓海流)가 여름, 겨울에 교체되는 조경(潮境) 어장으로 가자미, 명태, 청어 등의 어획이 많고 서호진은 주요한 어업기지이다. 연평균 기온 10.6℃, 1월 평균기온 –4.5℃, 8월 평균기온 24.3℃, 연강수량 1,055㎜이다.[8]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동조선만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한국의 산
|
가야산 • 가학산 • 개마고원 • 계룡산 • 계방산 • 계양산 • 관모봉 • 구대봉 • 구름산 • 구월산 • 국사봉 • 국사봉 (영암) • 굴봉산 (춘천) • 궁산 (대구) • 금강산 • 금오산 • 남포태산 • 남한산 • 낭림산 • 내장산 • 대둔산 • 대청봉 • 덕유산 • 도덕산 • 두류산 • 두타산 • 마니산 • 만월산 • 망우산 • 매봉산 (태백시) • 멸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문수봉 • 문학산 • 반야봉 • 백두산 • 백록봉 • 백운봉 • 백운산 (광양) • 북대봉 • 북포태산 • 비로봉 (금강산) • 비로봉 (치악산) • 설악산 • 성산일출봉 • 성인봉 • 소백산 • 속리산 • 송악산 (개성) • 송악산 (제주) • 수도산 (김천) • 오대산 • 와룡산 (대구) • 월악산 • 일월산 • 장군봉 • 정일봉 • 조령산 • 주왕산 • 주화산 • 지리산 • 천문봉 • 천왕봉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팔달산 • 한라산 • 향로봉 • 화개산 • 화장산 (울산)
|
|
서울의 산
|
개운산 • 개화산 • 관악산 • 구룡산 • 국사봉 (서울) • 굴봉산 (서울) • 궁산 (서울) • 낙산 • 남산 • 노고산 • 대모산 • 도봉산 • 매봉산 (강남구) • 매봉산 (성동구) • 백련산 • 백운산 (서울) • 봉화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성산 (서울) • 수도산 (서울) • 수락산 • 연희산 • 오패산 • 와룡산 (서울) • 와우산 • 용마산 • 용왕산 • 아차산 • 우면산 • 우장산 • 응봉산 • 인릉산 • 인왕산 • 일자산 • 청계산 • 초안산 • 화장산 (서울)
|
|
한국의 산맥
|
강남산맥 • 광주산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북정맥 • 낙남정맥 • 낙동정맥 • 남원산맥 • 낭림산맥 • 노령산맥 • 마식령산맥 • 마천령산맥 • 만풍산맥 • 멸악산맥 • 묘향산맥 • 무등산맥 • 백두대간 • 백두대간 생태축 • 부전령산맥 • 북수백산 • 소백산맥 • 언진산맥 • 예봉산맥 • 임진북 예성남 정맥 • 장백정간 • 적유령산맥 • 차령산맥 • 철령산맥 • 청남정맥 • 청북정맥 • 추가령구조곡 • 태백산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정맥 • 한북정맥 • 함경산맥 • 해서 임진북 예성남 정맥 • 해서정맥 • 호남정맥
|
|
한국의 고개
|
남태령 • 노령 • 대관령 • 마등령 • 마식령 • 마천령 • 문경새재 • 미시령 • 미아리고개 • 부전령 • 삼수령 • 육십령 • 이화령 • 적유령 • 조령(새재) • 죽령 • 진부령 • 차령 • 철령 • 추가령 • 추풍령 • 팔량치 • 한계령
|
|
한국의 평야
|
김제평야 • 김포평야 • 김해평야 • 나주평야 • 논산평야 • 만경평야 • 박천평야 • 부평평야 • 수성평야 • 안성평야 • 안주평야 • 여주평야 • 연백평야 • 영흥평야 • 예당평야 • 용천평야 • 이천평야 • 장남평야 • 재령평야 • 진영평야 • 철원평야 • 파주평야 • 평양평야 • 평택평야 • 함흥평야 • 호남평야
|
|
한국의 강
|
가야하 • 경안천 • 경인아라뱃길 • 고막원천 • (굴포운하) • 금강 • 금야강(룡흥강) • 금호강 • 낙동강 • 낙동강 삼각주 • 남강 • 남강 (평안남도) • 남한강 • 대동강 • 대령강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두만강 삼각주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백마강 • 보성강 • 보통강 • 부르하통하 • 부전강 • 북한강 • 비류강 • 삽교천 • 서낙동강 • 서두수 • 섬강 • 섬진강 • 소양강 • 수영강 • 아이허 • 안면운하(판목운하) • 안성천 • 압록강 • 압록강 삼각주 • 영산강 • 예성강(례성강) • 오십천 • 옥동천 • 왕숙천 • 임진강 • 자성강 • 장자강 • 장진강 • 재령강 • 주천강 • 진위천 • 창릉천 • 천내강 • 청천강 • 초강 • 충만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함평천 • 해란강 • 허천강 • 형산강 • 홍단수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주강 • 훈강 • 훈춘강
|
|
서울의 강
|
고덕천 • 난지천 • 당현천 • 도림천 • 도봉천 • 목감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학천 • 봉천천 • 불광천 • 성내천 • 성북천 • 세곡천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도 샛강 • 여의천 • 우이천 • 정릉천 • 중랑천 • 청계천 • 탄천 • 홍제천
|
|
한국의 호수
|
경포호 • 고삼호 • 광포 • 구암저수지 • 구암호 • 금성호 • 나주호 • 대청호 • 동번포 • 동복호 • 동정호 (강원도) • 동정호 (경상남도) • 랑림호 • 만포 • 백록담 • 벽골제 • 부전호 • 삼일포 • 삼지연 • 상사호 • 새만금호 • 서번포 • 서흥호 • 소양호 • 수풍호 • 시중호(강동호) • 시화호 • 안동호 • 연탄호 • 영랑호 • 예당저수지 • 옥정호 • 용담호 • 우포 • 운봉호 • 은파호 • 의림지 • 의암호 • 이동저수지 • 일감호 • 임남저수지 • 임하호 • 장수호 • 장연호 • 장진호 • 주암호 • 진양호 • 창녕우포늪 • 천아포 • 천지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탑정호 • 태천저수지 • 파로호 • 팔당호 • 평택호(아산호) • 하포 • 합천호 • 현담지(흑지) • 화진포 • 횡성호
|
|
한국의 호수공원
|
광교호수공원 • 기흥호수공원 • 동탄호수공원 • 미사호수공원 • 석촌호수공원 • 세종호수공원 • 송도센트럴파크(송도호수공원) • 은계호수공원 • 일산호수공원 • 청라호수공원
|
|
한국의 계곡
|
가평 명지계곡 • 밀양 쇠점골계곡 • 방화동 가족휴가촌 • 산청 대원사계곡 • 설악산 구곡담계곡 • 설악산 천불동계곡 • 순창 송정계곡 • 양평 중원계곡 • 지리산 칠선계곡 • 평창 흥정계곡 • 한라산 탐라계곡
|
|
한국의 폭포
|
관음폭포 • 구룡폭포 • 대승폭포 • 두문폭포 • 박연폭포 • 불일폭포 • 비룡폭포 • 삼부연폭포 • 소승폭포 • 소정방폭포 • 수옥폭포 • 엉또폭포 • 연산폭포 • 용대리폭포 • 용소폭포 (가평) • 용소폭포 (인제) • 위봉폭포 • 이끼폭포 (삼척) • 재인폭포 • 정방폭포 • 직소폭포 • 직탕폭포 • 천제연폭포 • 천지연폭포 • 토왕성폭포 • 파래소폭포
|
|
한국의 바다
|
가로림만 • 가막만 • 강령만 • 강진만 • 강화만 • 강화해협 • 거제만 • 견내량 • 경기만 • 경기해 • 경포만 • 광량만 • 광양만 • 남양만 • 남해 • 남해안 • 노량해협 • 다도해 • 대동만 • 대한해협 • 동조선만(동한만) • 동해 • 동해안 • 동해퇴 • 득량만 • 마산만 • 명량해협(울돌목) • 보성만 • 부산해협 • 사천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서해안 • 송전만 • 순천만 • 아산만 • 안용복해산 • 여수만 • 여수해만 • 여자만 • 영일만 • 옹진만 • 우산해곡 • 울릉대지 • 울릉분지 • 원산만 • 장수만 • 제7광구 • 제8광구 • 제주해협 • 진해만 • 천수만 • 함흥만 • 해주만 • 황해(서해)
|
|
한국의 섬
|
가거도 • 가덕도 • 가도 • 강화도 • 거금도 • 거북섬 (부산) • 거북섬 (시흥) • 거제도 • 고군산군도 • 교동도 • 구리도 (신안군) • 구리도 (평안북도) • 금란도 • 금오도 • 나로도 • 남해도 • 내나로도 • 노들섬 • 녹둔도 • 다이아몬드제도 • 대부도 • 대연평도 • 대저도 • 대청도 • 덕적도 • 독도 • 돌산도 • 두루섬 • 류초도 • 릉라도 • 마라도 • 마양도 • 매직아일랜드 • 미륵도 • 반달섬 • 밤섬 • 백령도 • 보길도 • 비단섬 • 사량도 • 서래섬 • 서부두섬 • 서해5도 • 석도 • 석모도 • 선유도 (군산) • 선유도 (서울) • 세빛섬 • 소록도 • 소연평도 • 소청도 • 신미도 • 신안가거초(가거초) • 안면도 • 양각도 • 여의도 • 연평도 • 영도 • 영종도 • 영흥도 • 오리암초 • 옹진소청초(소청초) • 완도 • 울진왕돌초(왕돌초) • 외나로도 • 욕지도 • 우도 (서해5도) • 우도 (제주도) • 울릉도 • 위도 • 위화도 • 을숙도 • 이어도 • 제부도 • 제주도 • 조도 (진도) • 조도 (부산) • 진도 • 창선도 • 청산도 • 초도 (남포시) • 초도 (여수시) • 추자군도 • 추자도 • 파랑초 • 한산도 • 호랑이암초 • 홍도 • 황금평 • 흑산도
|
|
한국의 반도
|
갈마반도 • 강령반도 • 고성반도 • 고흥반도 • 김포반도 • 룡연반도 • 마산반도 • 무안반도 • 변산반도 • 산이반도 • 송전반도 • 여수반도 • 옹진반도 • 읍저반도 • 장흥반도 • 태안반도 • 한반도 • 해남반도 • 호도반도 • 호미반도(장기반도) • 화원반도
|
|
한국의 곶
|
간절곶 • 무수단 • 섭지코지 • 장산곶 • 호미곶(장기곶)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세계의 바다
|
곡물해안(후추해안) • 구단선 • 그린란드해 • 남극해 • 남대서양 • 남동대서양(동남대서양) • 남인도양 • 남중국해 • 남태평양 • 노르웨이해 • 노예해안 • 대서양 • 데이비스해 • 동대서양 • 동시베리아해 • 동인도양 • 동중국해 • 동지중해 • 동카리브해 • 동태평양 • 동해 • 랍테프해 • 래브라도해 • 래카다이브해 • 레반트해 • 로스해 • 리구리아해 • 링컨해 • 마르마라해 • 바덴해 • 바렌츠해 • 반다해 • 발레아레스해 • 발트해 • 백해 • 버마해 • 베링해 • 벨링스하우젠해 • 보르네오해 • 보퍼트해 • 보하이해(발해) • 북극해 • 북나투나해 • 북대서양 • 북인도양 • 북태평양 • 북해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코럴해) • 상아해안 • 서남극빙하 • 서대서양 • 서인도양 • 서지중해 • 서카리브해 • 서태평양 • 세일리시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술라웨시해 • 술루해 • 스코샤해 • 아드리아해 • 아라비아해 • 아라푸라해 • 아문센해 • 아일랜드해 • 아조프해 • 알보란해 • 에게해 • 오대양 • 오호츠크해 • 올란드해 • 웨들해 • 이오니아해 • 인도양 • 자와해 • 중부지중해 • 중태평양 • 지중해 • 챌린저해연 • 축치해 • 카라해 • 카리브해 • 카스피해 • 켈트해 • 코로해 • 코르테스해 • 크레타해 • 태즈먼해 • 태평양 • 티레니아해 • 티모르해 • 포인트 니모 • 필리핀해 • 홍해 • 황금해안 • 황해 • 흑해
|
|
세계의 만
|
가고시마만 • 가베스만 • 경기만 • 과야킬만 • 관타나모만 • 그단스크만 • 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만 • 기니만 • 나폴리만 • 노턴만 • 다롄만 • 도야마만 • 도쿄만 • 동조선만(동한만) • 라이저우만 • 라플라타만 • 랴오둥만 • 리가만 • 마푸투만 • 맥스웰만 • 메인만 • 멕시코만 • 모튼만(모레톤만) • 무쓰만 • 바레인만 • 바타바노만 • 배핀만 • 베네수엘라만 • 베네치아만 • 베이부만 • 벵골만 • 보타니만 • 보트니아만 • 보하이만(발해만) • 브로큰만 • 브루나이만 • 브리스톨만 • 비스케이만 • 사가미만 • 사로니코스만 • 산마르티나만 • 산조지만 • 샌파블로만 • 샌프란시스코만 • 샤먼만 • 서조선만(서한만) • 선전만 • 세인트로렌스만 • 세인트마르코스만 • 세인트빈센트만 • 센다이만 • 셸리호바만(셀리호바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스펜서만 • 시드니항 • 시드라만 • 아나디리만 • 아덴만 • 아리아케해 • 아무르만 • 아문센만 • 아카바만 • 알래스카만 • 어드미랄티만 • 오만만 • 오비만 • 오사카만 • 온두라스만 • 와카사만 • 우수리만 • 우치우라만 • 이세만 • 이시카리만 • 자오저우만 • 제노바만 • 제임스만 • 조지언만 • 지브롤터만 • 진주만 • 체서피크만 • 카라보가스골만 • 카펀테리아만 • 캄바트만 • 캄페체만 • 코린토스만 • 코츠뷰만 • 쿠웨이트만 • 쿠치만 • 타란토만 • 타이만 • 타주라만 • 타진만 • 통킹만 • 파나마만 • 파리아만 • 파푸아만 • 펀디만 • 펄스만 • 페르시아만 • 포시예트만 • 포트필립만 • 폰세카만 • 표트르대제만 • 플렌티만 • 핀란드만 • 하롱베이(할롱만) • 하우라키만 • 하이저우만 • 항저우만 • 허드슨만 • 히로시마만
|
|
세계의 해협
|
간몬해협 • 골든게이트해협 • 네벨스코이해협 • 네어스해협 • 노스해협 • 다르다넬스해협 • 대만해협(타이완해협) • 대벨트해협(스토레벨트해협) • 대한해협 • 데이비스해협 • 덴마크해협 • 도버해협 • 드레이크해협 • 드미트리 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해협 • 롱아일랜드해협 • 루손해협 • 림협만 • 마젤란해협 • 마카사르해협 • 말라카해협(믈라카해협) • 메시나해협 • 모잠비크해협 • 바시해협 • 밥엘만뎁해협(바브엘만데브해협) • 배스해협 • 베링해협 • 보니파시오해협 • 보스포루스해협 • 보하이해협 • 부산해협 • 브랜스필드해협 • 비글해협 • 세인트조지해협 • 소벨트해협(릴레벨트해협) • 순다해협 • 스미스해협 • 스카게락해협 • 시칠리아해협 • 싱가포르해협 • 쓰가루해협 • 쓰시마해협 • 아폴리마해협 • 영국해협 • 오트란토해협 • 외레순해협 • 유카탄해협 • 이르베해협 • 이즈메니해협 • 제주해협 • 조지아해협 • 조호르해협 • 지브롤터해협 • 카라해협 • 카리마타해협 • 카테가트해협 • 케르치해협 • 쿡해협 • 타타르해협(마미야해협) • 토레스해협 • 포크해협(팔크해협) • 플로리다해협 • 하이난해협(충저우해협) • 허드슨해협 • 호르무즈해협 • 환드퓨카해협
|
|
세계의 해곡
|
난카이해곡 • 노섬벌랜드해곡 • 마리아나해곡 • 마리아나해구 • 베뉴해곡 • 사가미해곡 • 사우스셰틀랜드해곡 • 솔튼해곡 • 수아킨해곡 • 스루가해곡 • 오키나와해곡 • 케이맨해곡 • 킹스해곡 • 티모르해곡 • 헤스페리데스해곡
|
|
세계의 빙붕
|
라슨빙붕 • 로스빙붕 • 론빙붕 • 브룬트빙붕 • 섀클턴빙붕 • 애머리빙붕 • 필히너빙붕
|
|
세계의 방조제
|
새만금 방조제 • 주다치 방조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